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16 15:23:55
Name 알테마
Subject [일반] 오늘 미국의 백신 접종 현황 발표가 있었습니다. (수정됨)
오늘 미국 질병 관리국에서 나온 백신 접종 현황을 CNN에서 보도했습니다.

미국에서는 현재 7천7백만명이 백신 접종을 완료했습니다.(1회 접종자까지 포함하면 약 1억 2천만명)

화이자/모더나의 경우 2회 접종, 얀센의 경우 1회 접종을 실시했고, 접종자 중 5,800명이 코로나에 감염되었습니다.

감염자 중 74명이 사망했고, 약 7%는 중증 질환을 앓고 입원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접종 후 감염자의 65%는 여성으로, 여성의 예방률이 남성보다 떨어지는 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또한 감염자의 40%가 60대 이상의 노인이었습니다.

백신 종류 별 예방률을 살펴보면 화이자 91%, 모더나 90%, 얀센 72%로 임상 3상 결과에 수렴하는 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얀센 백신이 혈전 이슈로 접종 중지되면서, 당분간은 화이자/모더나로만 접종할 것 같은데, 백신 접종 계획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겠습니다.

mRNA 계열 백신이 안정성 및 효과성 모두 가져가는 분위기입니다. 우리나라의 백신 수급 및 접종 전략의 재고가 필요해 보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1/04/16 15:26
수정 아이콘
그렇습니다 악신 마라 파피야스의 영향이 심각하여... 우리나라가 우리마라가 되었습니다.
공정은 없어지고 모두가 분열하며 생명이 탄생하지 않습니다...

는 농담이지만 여튼 암울하네요. 백신 어쩔..
알테마
21/04/16 15:29
수정 아이콘
앗 오타 수정했습니다.

얀센의 접종을 완전히 중단한 건 아니고, 언젠가 재개할 거라고 하고 있지만 이미 미국의 접종 플랜이 딜레이 되고있고 그에 따라 한국이 받을 시기도 딜레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바이러스 벡터 방식 백신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도 계속 추락할 것 같네요.
이른취침
21/04/16 15:27
수정 아이콘
다들 mRNA 신기술이라 불안하다고 했었는데, 알고보니 신기술이 좋더라...
국가적 단위에서는 리스크관리 차원에서라도 여러 방면으로 미리미리 투자해놓고 관리해야 함을 이번에도 배웠네요.
라프로익
21/04/16 15:31
수정 아이콘
뉴욕은 백신 빨리 맞고 싶은 사람은 최소 1차는 다 접종한거 같네요.
나주꿀
21/04/16 15:33
수정 아이콘
나중에 변종나왔을 때도 빠른 대응을 하려면 이번 사태가 끝나더라도 mRNA 관련 공장에 투자는 해야할듯요
21/04/16 15:37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어제하루 백신 접종이 9만 넘고, 그중 화이자는 7만3천 쯤 되는데
현재 우리나라 화이자 물량이 어느정도 인지 궁금하네요.
이제 의료진쪽은 다 맞는 듯하고 이제 일반 노약자 부터 맞는 2단계인지도 궁금하네요...
판을흔들어라
21/04/16 15:43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은 이제 야외에서도 마스크 벗는다는 군요... 우린 내년은 되야할듯
21/04/16 16:16
수정 아이콘
워싱턴주는 16세 이상에게 백신접종이 다 오픈되어서 주위에서 많이 맞고 있습니다. 어제자로 인구대비 약 25%가 2회 접종, 1회접종자 포함시 38%이네요. 드라이브스루로 30분 안에 모더나 백신 접종이 끝나니 이게 천조국파워구나 느끼게 되더라고요.
플래쉬
21/04/16 16:20
수정 아이콘
5월중에 바이든이랑 정상회담 있다는데 거기 가서 백신 좀 얻어와야겠네요
VictoryFood
21/04/16 16:32
수정 아이콘
생산과 접종 계획 등의 문제와 별개로 현대 과학의 위엄이네요.
JP-pride
21/04/16 16:57
수정 아이콘
현대과학의 위엄과 동시에 역시 과학은 돈이 최곱니다 크크크
한편으론 그 힘들다는 RNA백신도 돈을 때려박아서 1년만에 만들었는데 상대적으로 만들기 쉬우면서도 꼭 필요한 아프리카지역 관련 백신들은 돈이 안되니까 지금까지 안만드는게 안타깝기도 하군요
21/04/16 18:07
수정 아이콘
백신만 들어오면 우리나라가 압도적으로 빠르게 맞을수 있으니 조금이나마 빠르게 따라갈수 있다는 것도 무의미하게 잘 접종하고 있네요..

애초에 뭐가 있어야맞죠?
여우별
21/04/16 22:46
수정 아이콘
부럽네요 크크...
미국 사는 제 친척들은 이미 2월달에 빠르게 신청해서 다 맞았다는데요 참..
AaronJudge99
21/04/16 18:08
수정 아이콘
아예 물량을 안풀어줄줄이야 크크
아밀다
21/04/16 19:16
수정 아이콘
아직 7700만ㅠ 쟤들이 한 2억은 완료해야 물량 좀 풀 텐데...
21/04/16 19:52
수정 아이콘
미국도 느린 거 보면 정말로 올해 30억개 생산하는 게 맞는지...
알테마
21/04/16 20:16
수정 아이콘
화이자와 모더나는 생산량에 한계가 있고(특히 모더나), az에 이어 얀센까지 고꾸라지면서 접종 속도가 더뎌지고 있습니다.

얀센 백신의 접종 재개가 이뤄지지 않으면 백신 수출 시기가 점점 더 딜레이 될 겁니다.
21/04/17 00:32
수정 아이콘
대충 1년 반전에 제가 대학원 수업 들을때만 해도 mRNA가 되네마네 이런말이 많았는데, 역시 돈을 부으니 다 되는군요.
현대 과학은 집단지성을 모아서 돈을 부으면 다 되는건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104 [일반] 대한항공-아시아나 마일리지 통합안이 나왔습니다. [22] BitSae6034 25/09/30 6034 2
105103 [일반] <어쩔수가 없다> 후기(노스포) [4] 라이징패스트볼5029 25/09/30 5029 0
105102 [정치] 지귀연, '尹구속취소 청구'·'술 접대 의혹' 때마다 휴대폰 교체 [133] 전기쥐9847 25/09/30 9847 0
105101 [정치] 논란의 김현지, 총무비서관에서 부속실장이 되다 [202] 춘식이죠11969 25/09/30 11969 0
105100 [일반] 왜 이리 허망한 감정이 오랬동안 유지되는가. [24] 영호충6715 25/09/30 6715 32
105099 [정치] [NYT] 전운이 감도는 카리브해, 미국-베네수엘라 [70] 철판닭갈비13003 25/09/29 13003 0
105098 [일반] 9월 극장 상영 일본 애니메이션 감상평(스포X) [16] 왕립해군5734 25/09/29 5734 1
105097 [일반] 99년 후반기 나스닥 blow off top은 왜 생겼을까? [20] 기다리다6332 25/09/29 6332 0
105096 [일반] 어쩔수가없다 후기 (강스포) [53] theo9278 25/09/29 9278 9
105095 [일반] 내 생애에 즐겨온 아웃도어 활동들 (소개 / 자랑글) [26] 건방진고양이6345 25/09/29 6345 26
105094 [일반] [영화] (스포) 체인소맨 극장판 : 레제편 - 전부 너였다. [34] Anti-MAGE6135 25/09/29 6135 1
105093 [정치] 어느정도까지 평등해야 만족하시나요? [167] 수지짜응14210 25/09/28 14210 0
105092 [일반] 교황의 용병 [3] 식별5985 25/09/28 5985 12
105091 [정치] 한강버스, 내일부터 한 달간 운항 중단..."성능 안정화 점검" [130] 동굴곰11745 25/09/28 11745 0
105090 [일반] [팝송] 에이바 맥스 새 앨범 "Don't Click Play" [2] 김치찌개5774 25/09/28 5774 0
105089 [일반] 올해도 불꽃놀이를 보고 왔습니다 [14] 及時雨7622 25/09/27 7622 10
105088 [정치] 좌우 양쪽에서 까이고 있는 권력의 변방 3대장 [267] 유동닉으로14866 25/09/27 14866 0
105087 [일반]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10] 식별4915 25/09/27 4915 8
105086 [일반] 그래서 XXX는 영포티 브랜드인가요? [70] 카레맛똥10164 25/09/27 10164 5
105085 [정치] 민주국가는 성장을 못하는가 (2/3) 한국의 성장에 독재는 필수였나 [72] 사부작5069 25/09/27 5069 0
105084 [일반] 국가 전산망이 멈추었습니다. [58] 군림천하8624 25/09/27 8624 7
105083 [일반] 겪어보기 전엔 모르는 세계 – 부모되기 [18] 굄성3597 25/09/27 3597 18
105082 [정치] 종교개혁의 함의: 정치적 패배와 문화적 승리 [11] 슈테판4270 25/09/27 4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