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0/13 18:55:33
Name asdqwea
Subject [일반] 미래에 과학이 예술이나 법에 도입되는 날이 올까요? (수정됨)
뇌과학계에선 인간의 뇌가 어떤 화음이나 코드진행에 예민하게 반응하는가를 찾는 연구같은것도 이루어지고 있다는데

(구글에 뇌 연구방법론을 통해 살펴본 음악 처리과정 연구라고 검색하시고 위에서 두번째로 나오는거 누르시면 됩니다)


이런게 미래에 발전하면 어마어마하겠군요



기존의 화성이론 같은게 전부 뒤바뀔수도...



그외에 통계학 기반의 인공지능도 활발히 사용될거고



한마디로 기존의 경험주의로 쓰여온 예술들에 과학이론과 통계적 방법론이 도입되는 날이 오는것이죠



그리고 법 같은 경우도 현대 과학(특히 생물학)이 점점 철학의 많은 분야를 잡아먹고 있기 때문에 판결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네요



예를들어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존재하느냐 이런것도 이제 철학자보다 과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연구하고 있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13 19:16
수정 아이콘
파일을 컴퓨터에서 직접 올리면...
18/10/13 19: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구글에 뇌 연구방법론을 통해 살펴본 음악 처리과정 연구라고 검색하시고 위에서 두번째로 나오는거 누르시면 됩니다
주파수
18/10/13 19:18
수정 아이콘
D드라이브..
절름발이이리
18/10/13 19:26
수정 아이콘
과학적 사실관계와 연구 방법론은 기존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계속 여러 분야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재즈드러머
18/10/13 19:27
수정 아이콘
시기의 문제일뿐 분명히 온다고 봅니다.
그리고 자유의지가 없다는게 정설이되면
징역대신 범죄를 유발하는 유전 기질을 제거하거나 변형하는 것으로 대신할날도 올것이고요.
윤정애기와3년차
18/10/13 19:28
수정 아이콘
이미 현대 과학이 법의 판결, 나아가 법리에 영향을 주는 건 꽤 오래된 일이고, 그 영향력도 상당합니다.
그 날은 이미 왔지요. 언제 오냐는게 아니고.
라이츄백만볼트
18/10/13 19:51
수정 아이콘
이미 받고있습니다.
Patrick Jane
18/10/13 21:25
수정 아이콘
잘 찾아보시면 이제는 과학의 영향을 받지않은 분야를 찾는게 더 힘드실지도 모릅니다;
루트에리노
18/10/13 22:15
수정 아이콘
애초 과학도 철학에서 나온거니까요
떼어낼 수 없는 관계죠
18/10/13 22:25
수정 아이콘
본문이랑 관계없는데 언제부터 과학이 기술에 관여하게 되었을까요? 예전에는 분명 기술만 있었고, 연역법 등 과학철학 등장부터 과학이 나오고 나서도 한동안 따로 간거 같은데요. 에디슨 시절만 해도 과학적 이론 따져가며 발명한거 아닌거 같던데, 현 시점에서는 과학적 이론이 굉장히 중요하게 되었죠. 어느 시점부터 이렇게 된건지 신기하네요.
18/10/14 08:49
수정 아이콘
과학적 이론은 항상 종교의 자리였습니다. 'A하면 B가 일어난다.' 라는 논리들을 쌓아서, 세상 전부를 설명할 정도로 크게 만드는 작업을 선점한게 종교였으니까요.
그래서 중세의사들은 성경에 기초해서 치료를 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무슨 성경구절만을 단서로 쌓아서 약을 짓거나 그럴 것 같은데, 그런 의미는 아니고요, 로마 시대 아리스토텔레스가 갈렌이 적어둔 내용, 중동의 아비시나 또는 아불카시스가 적어둔 내용을 일단 '인정'하고 그 근거를 성경으로 만들어진 세상체계에 때려맞추는 것으로 진행됬습니다. 그래서 '여자는 (성경에도 남자의 육신에서 창조되었듯이) 영혼이 없다. 오죽하면 주기적으로 몸 중앙에서 신체가 떨어져나간다.' 같은 괴상한 논리가 덧대지고, 이게 또 나중에 다른 치료법의 근거가 되거나 막 이런 식으로 현대적 시점에 볼 때는 개판인 상태가 오게 됩니다.
그나마 중세 말과 근대 초 '르네상스' 시기에는 사람들 머리가 좀 자라서, 그리고 종교개혁으로 하나님이 여러가지 (가톨릭 VS. 여러가지 개신교파)가 되는 상황이 오면서 후대에 잘해봤자 '연금술사'라고 불릴 존재들이 과학적 이론을 한번 고쳐보려고 노력하죠. 프랑스에서 '백과사전'을 (특정 교단의) 신을 인용하지 않고 다시 적어보려던 백과사전파, 남독일에서 제일가는 연금술사 파라켈수스, 수도사 최고의 과학자라고 회고되는 로저 베이컨 등등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도 '과학'에는 실패하고 맙니다. 당시 '상식'이었던, 별의 위치가 (바다, 그리고 따라서 바람에 영향을 주듯이) 인간에게 신체, 정신적 영향을 준다는 점성술, 물질은 다만 종류이기에 특정한 과정을 거쳐서 서로 다른 물질로 바꿀 수 있다는 연금술 같은, 성경 중심의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오긴 왔는데 아직도 판타지 (=실제 나중에 과학이 증명하게될 세상의 이치와는 다른 세계)였던 것이지요. (이어짐)
신의와배신
18/10/14 09:00
수정 아이콘
원자의 발견과 컴퓨터의 발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8/10/14 09:10
수정 아이콘
그러다가 이게 언제 뒤집히냐면, 프란시스 베이컨 (로저 베이컨과는 다른 사람입니다.), 아이작 뉴턴 등등. '영국왕립학회'가 출범하면서부터입니다. 이걸 '과학혁명'이라고 부릅니다. 대륙에서도 라부아지에 같은 과학자들이 등장하고요. 영국왕립'학회' 그러니까. '학회'가 생기고 보니까. 서로 과학자라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같은 양식의 서류를 보면서, 서로 비판하고 검증하고, 같은 언어로 글을 쓰기 시작하거든요. 물론 과도기라, 미분의 발견을 예시로 들자면, 뉴턴과 라이프니치가 각각 따로 발견하고, 다른 방식으로 적는 방법을 만드는 해프닝이 일어납니다만... 중세의 연금술 서적들 같은 경우에는 '문학적'이고 '시적'인 이유가 이런 괴상한걸 연구한다는 것을 들키면 악마숭배자로 몰린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지만, 동시에 그냥 언어가 통일이 안된 것도 컸거든요. 지금 마그네슘, 아메리카슘 같은 이름은 안 했갈리지만, 당시에는 Quicksliver (수은, 변덕)은 변덕이 심하고, Antimony (안티몬, 모순)은 모순적이고, Arsenic (비소, 남성)은 남성적이다. 같은 방식으로 적어두는 식이니 (그러니까, 원소이름이 그냥 평상시에 쓰는 단어랑 구분 없이 섞여쓰이는 겁니다.) 하지만 미적분은 결국 영국 최고의 과학자이고 왕실의 비호를 받던 뉴턴의 방식으로 적는 걸로 학회에서 결론을 내버리는 식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뉴턴이 '뉴턴 역학'이라는 것을 창조한 사람이니까 아주 덜 대단한 것은 아닙니다. '뉴턴'은 지금도 '힘'의 단위이지요. 즉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낸 엄청난 사람이었습니다. "프린키피아"라는 책이 그래서 대단한거고요. 에디슨의 전기 같은 추상적인 힘이 모두 설명되는 '과학'은 바로 뉴턴이 만든 세계이자, 뉴턴이 지어낸 것도 아니고 실제로 현실에 존재하는 관찰가능한 세계였던 것이지요. 사실 몇개의 실수가 있었지만, 아인슈타인이 "상대성이론"을 통해서 몇가지를 덧붙이니 (예를 들어, 시공간은 상대적이고 뒤틀릴 수도, 굴절될 수도 있다 등등), 현대과학은 매우 든든한 상태입니다. 사실 아인슈타인이 이걸 적어낸 이유도, 현대의 기술력이 발달하면서 뉴턴은 신경을 안써도 됬던, 너무 작은 세계 (핵폭탄! 플라즈마!)과 너무 큰 세계 (우주! GPS! 시공간!)을 건드리기 시작한 것도 있고요. 에디슨 시절과 요즘 다른게 바로 이겁니다. 그래서 '입자가속기' 같은 거대한 기초과학 설비가 없으면 응용과학을 만들어도 노벨상은 못 받고, 특허권 로열티로 다 빠져나가고...
아무튼 과학은 학회를 통해서 보정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하지요. 왜냐면 기술자는 과거에도 많았거든요. 공중정원이라던가, 안티키테라 기계라던가, 그리스의 불이라던가, 당시 시대의 평균을 초월하는 기술을 구현시키는 기술자 (흑흑 엔지니어님)는 존재했으나, 결국 그 사람이 죽으면 끝이었죠. 그런데 지금은 누군가가 학회에서 발표하면 인류 전체의 기술력이 바로 증가하게 됩니다. 아아 연금술사처럼 혼자 틀어박혀서 연구해서는 틀릴 확률이 높은 현대의 위엄이랄까요. 아무튼 제가 정리해둔 글이 공교롭게 있어서, 덧글 남기고 갑니다.
18/10/13 23:52
수정 아이콘
예술은 근대 이전 및 고대에부터 과학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습니다.
우리가 지금 접하는 모든 예술은 과학의 산물이죠.

인간의 뇌가 코드에 반응한다는 얘기를 하셨는데, 꼭 뇌과학만 생각할게 아니라 통계도 과학입니다. 어떤 코드, 어떤 편곡을 했을때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는 이미 음악 작업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18/10/14 06:11
수정 아이콘
따지고 보면 음악이론이라는 거 자체가 어떤 코드, 어떤 편곡을 했을때 사람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경험적인 정리죠.
Albert Camus
18/10/14 00:18
수정 아이콘
이미 예술이나 법 등이 과학적 방법 하에서 발전해왔기에 기존 것들이 완전히 부정되긴 힘들거라고 봅니다. 기존보다 훨씬 정교해진 과학적 방법론이 도입되면, 더 세련되고 발전된 형태의 산물이 나타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인류는 그간 상당히 튼튼한 토대 위에 지식을 축적해왔기 때문에요.

한 예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나 양자역학은 기존의 뉴턴역학을 부정하지만 그렇다 한들 그건 미시세계 등 특수한 경우에서 그렇다는 것이고, 아직도 우리의 평범한 일상은 뉴턴역학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처럼요.
18/10/14 09:15
수정 아이콘
"컴퓨터화 된 법 (Computational Law)"라는 개념이 제시된 지는 10년이 넘었습니다. 모호한 법 조항을 종이에 적어서 옥신각신하느니 그냥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서, 예컨대 핸드폰에서 (당신은 법을 어겼습니다!)라고 바로바로 해결하게 만드자는 것이지요. 아마 순전히 기술의 힘으로 기존의 법체제가 곤란해지는 큰 사건이 몇번 있으면 곧 적용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예술도 법이 아니고, 법이 예술이 아니거늘, 과학은 법도, 예술도 아닙니다. 누군가 법리적인 해석을 가지고 예술작품이 이러니 저러니 하면 골치아파지게 현실인데, 과학이라는 체계는 언급하신 '진화생물학', '통계학' 등등으로 인간을 존중의 자리에서 끌고 내려올 것이거든요.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예측가능한 현상 덩어리'로서 인간을 대접하기 시작한다면, 사람이 사람을 존중안해주기로 시작한 시대에 존중 못받고 살 생각하면 끔찍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525 [일반]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다고 믿은 아인슈타인 [142] asdqwea18861 18/10/15 18861 3
78524 [일반] 고기의 모든 것, 구이학개론 2부 #1 (들어가며 - 구이의 역사) [34] BibGourmand8478 18/10/15 8478 37
78523 [일반] 쇼미더머니 시즌인김에 써보는 루피(Loopy) 이야기 [43] backtoback18154 18/10/14 18154 16
78522 [일반] [뉴스 모음] No.201.5. 이재명 지사의 충언 [63] The xian10730 18/10/14 10730 15
78521 [일반] 중국의심각한아동실종문제를 다룬영화 디어리스트 [21] noname1111572 18/10/14 11572 0
78520 [일반] 찐따의 헬스 입문기 [30] 삭제됨8432 18/10/14 8432 17
78519 [일반] 북한ICBM과 웃으면 복이 와요. [2] 미사모쯔12377 18/10/14 12377 3
78518 [일반] 2009년 이명박 정부때 살인범 320명을 사면해준 이유는 뭘까요? [58] 삭제됨13783 18/10/14 13783 7
78517 [일반] 최근 번역기의 발전 수준이 매우 놀랍네요 [90] asdqwea20016 18/10/14 20016 2
78516 [일반]  [뉴스 모음] No.201. 이재명 지사 논란 / 문재인 대통령 국회 비판 / 이해찬 대표 논란 등 [19] The xian10937 18/10/14 10937 21
78515 [일반] 부산국제영화제 영화들 한줄평 [31] 물만난고기7536 18/10/14 7536 0
78514 [일반] 쉽게 감정에 욱하는 댓글들에 대해 [184] 삭제됨12915 18/10/13 12915 5
78513 [일반] 미래에 과학이 예술이나 법에 도입되는 날이 올까요? [17] asdqwea5101 18/10/13 5101 1
78512 [일반] 우리나라 음악의 해외인기 원인은 바로 '선율'에 있습니다. [76] 무플방지협회11951 18/10/13 11951 1
78511 [일반] 7세 여아에게 '야동' 보여준 어린이집 [51] 혜우-惠雨13583 18/10/13 13583 3
78510 [일반] 9월 일반고용동향, 취업자 4만 5천명 증가! [88] 여망10840 18/10/13 10840 0
78509 [일반] 日, 국제관함식서 '이순신 깃발' 게양에 항의 [372] 삭제됨16497 18/10/13 16497 2
78508 [일반] 국정감사 도중 열받은 백종원 [141] 삭제됨25532 18/10/12 25532 20
78507 [일반] 어제 공개된 보스턴 다이나믹스 로봇 근황 [84] asdqwea12978 18/10/12 12978 2
78506 [일반] 모든 사람이 대기업에 취업하는게 아닐텐데 [43] 분당선13370 18/10/12 13370 4
78505 [일반] 이준석 "정치권은 젠더이슈 피해선 안돼…지향점 합의 주도해야" [332] 마재16524 18/10/12 16524 41
78504 [일반] 겨울이 온다 [4] 토끼4184 18/10/12 4184 0
78503 [일반] 그걸 살까말까 며칠을 최저가로 고민하는 기회비용과 욕망. [40] 캠릿브지대핳생8015 18/10/12 801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