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3/30 10:39:42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80 MB), Download : 85
Subject [일반] 세계 흥행 500위 내의 영화를 가장 많이 만든 영화감독 Top10


세계 흥행 500위 내의 영화를 가장 많이 만든 영화감독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1위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입니다
감독을 맡은 영화중 세계 흥행 500위 내에 드는 영화가 17편입니다
쥬라기 공원,인디아나 존스,라이언 일병 구하기,마이너리티 리포트,캐치 미 이프 유캔등등 대단하네요!
2위는 트랜스포머로 유명한 마이클 베이 감독입니다
감독을 맡은 영화중 세계 흥행 500위 내에 드는 영화가 8편이네요
흥행 수입 1,2위인 아바타,타이타닉을 만든 제임스 카메론 감독은 총 4편이군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30 10:41
수정 아이콘
마이클 베이 감독이 트랜스포머를 버릴 수 없는 이유가 여기 있었군요 ^^;;
17/03/30 10:47
수정 아이콘
시리즈물을 한번 잘 물면... 크크크크..
시그니쳐 초콜렛
17/03/30 10:51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스필버그가 정말 거물이네요.
17/03/30 10:51
수정 아이콘
카메론 옹 진짜 -_- 아바타, 타이타닉 1,2위 ;;
감사합니다
17/03/30 10:53
수정 아이콘
조단위 비교할게 없어서 매번 4대강이랑 비교하니 엄청나긴 하네요
17/03/30 10:54
수정 아이콘
와 스필버그 진짜 넘사벽이긴 하네요 후덜덜.........
닭, Chicken, 鷄
17/03/30 10:55
수정 아이콘
크크, 그야말로 다 예상대로군요.
그보다 500위권 4편만으로도 수익 손가락에 드는 카메론 옹 덜덜덜...
윤성호
17/03/30 10:56
수정 아이콘
타이타닉이 1위인줄 알았는데 아바타였네요 근데 감독이 같은 사람일줄이야 게다가 1,2위
17/03/30 12:47
수정 아이콘
미국은 관객수가 아닌 흥행수익으로 따져야해서 3D/4D?로 나온 아바타가 더 수익이 잘나왔습니다.
Maiev Shadowsong
17/03/30 11:04
수정 아이콘
진짜 시리즈하나 잘무는게 중요하네요

해리포터 트랜스포머 배트맨 반지의제왕
여자친구
17/03/30 11:18
수정 아이콘
오 조지 루카스는 없네요? 월드와이드가 밀려서 그런건가...
Soul of Cinder
17/03/30 11:40
수정 아이콘
원 출처인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보니 루카스도 월드와이드 에피소드 1,2,3,4 합산한 금액은 위 자료의 톱 텐 감독들 급은 되는데, 편수가 4편에 그치다보니...
리콜한방
17/03/30 11:40
수정 아이콘
딱 4편이겠죠? 스타워즈 1 2 3 4
산양사육사
17/03/30 14:14
수정 아이콘
대신 디즈니에 넘길때 조단위로...
타타리17
17/03/30 12:14
수정 아이콘
후크는 망했다고 알고있는데 500위 안에 들어있군요...그러고도 망할려면 제작비가 얼마가 들어간거야..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30 12:26
수정 아이콘
감독들도 거대 트릴로지나 시리즈 같은거 하나 유치하는게 엄청 크네요.
17/03/30 12:33
수정 아이콘
1위는 누구라도 예측가능한 인물이죠. 스필버그의 위엄
17/03/30 12:39
수정 아이콘
번외가 헐리우드 최강의 돈긁개...
유부초밥
17/03/30 12:45
수정 아이콘
몇몇 영화는 도대체 왜 500위 안에 들었는지 이해가 안되는것들도 있군요
레드후드
17/03/30 13:53
수정 아이콘
역시 스필버그...이분은 거장 그 자체죠.
17/03/30 17:16
수정 아이콘
저게 물가 보정인지 궁금합니다
17/03/30 17:56
수정 아이콘
세계 흥행수입은 상영 당시 기준입니다.
북미 흥행수입은 현재 화폐 가치로 조정이 가능한데 세계 흥행수입은 통화 단위가 달라서 불가능해요.
괄호 안에 있는 원화 환율은 올해 2월 기준이네요.
17/03/30 18:29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생각해보니 그런 점이...
17/03/30 17:21
수정 아이콘
이건 감독이 시리즈를 잘만난게 아니라 시리즈가 감독을 잘만난거 아닌가요?

카메론은 정말 임팩트 갑이네요
저그의모든것
17/03/31 02:57
수정 아이콘
배트맨비긴즈가 성공한 영화였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393 [일반] 이랜드파크가 애슐리, 자연별곡을 매각 시도 중입니다. [51] 어리버리14438 17/04/10 14438 1
71392 [일반] 18세기 유럽 지식인들의 대표적인 지적 경향 - 중국, 그리고 중국 황제의 '이상화' [9] 신불해11347 17/04/10 11347 18
71391 [일반] 제가 돌아다닌 한국 (사진 64장) [281] 파츠22149 17/04/10 22149 120
71390 [일반] 한국이 볼거리가 없긴 없지요.. [133] 삭제됨18111 17/04/10 18111 7
71389 [일반] 현대기아, 세타2엔진 결함 자발적 리콜 결정에 관하여 [34] 여자친구14705 17/04/10 14705 26
71388 [일반] 중국, 미국의 북한에 대한 "액션" 동의 [121] aurelius23537 17/04/09 23537 5
71387 [일반] 중국의 지정학적 난관 그리고 패권을 드러내는 이유 [10] 테이스터10801 17/04/09 10801 10
71386 [일반] 일본 내에서 돌고 있는 트럼프-시진핑 김정은 망명제안설 [55] 군디츠마라19486 17/04/09 19486 1
71385 [일반] 미 칼빈슨 항모전단 입항과 중국 선양군 압록강쪽 이동 [56] 사고회로11500 17/04/09 11500 1
71384 [일반] 여론조사에 대한 오해 [7] 김테란7938 17/04/09 7938 12
71381 댓글잠금 [일반] 지루한 나라 : 한국 [711] 삭제됨27071 17/04/09 27071 7
71380 [일반] [책추천] "이슬람 제국의 탄생: In the Shadow of the Sword" [13] aurelius8266 17/04/08 8266 4
71378 [일반] 아마도 이러다 제 명에 못 죽을 것 같군요. [36] The xian15726 17/04/08 15726 18
71377 [일반] 개인적인 암 투병기 [20] Mighty Friend10046 17/04/08 10046 2
71376 [일반] [서브컬쳐] 2011년~2016년 일본 애니메이션 Best 20 [114] 이시스10100 17/04/08 10100 7
71375 [일반] 최근 받았던 대장내시경 경험 적어봅니다. [25] 공룡13758 17/04/08 13758 10
71374 [일반] 이번 트럼프의 시리아 공격을 보고 새삼 느끼는 무서움. [39] the3j12584 17/04/08 12584 11
71372 [일반] 피지알 회원분들도 대장암 조심하세요. [43] 페마나도13076 17/04/08 13076 3
71371 [일반] 극성 지지자들: 비합리적 정당화의 오류 [125] 다록알11199 17/04/08 11199 51
71370 [일반] 스트리밍 서비스 및 관련 기기들에 대한 잡담들 [16] neogeese12189 17/04/08 12189 4
71369 [일반] [라이프]감상평 – 짜장면 주문하니 짜장면이 나옴 (스포 없음) [41] Neanderthal11310 17/04/07 11310 1
71368 [일반] [팩트체크] 유리천장이 정말 존재하나 확인해보니 [258] 남성인권위23330 17/04/07 23330 44
71367 [일반] 2017년 3월 국내자동차 판매량 [38] G7011740 17/04/07 1174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