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7/27 08:12:22
Name 삼공파일
Subject [일반] 콰인 "존재하는 것은 변항의 값이다"
지난번에 과학과 유사과학이라는 글을 쓰다가 지치는 바람에 대충 마무리졌다가 엄청 까이고 그만 두려다가 후속으로 포퍼를 썼는데 팟져님의 멋진 해석으로 빛을 봤습니다. 원래는 다음 주제로 쿤에 대해 써보려고 했습니다. 팟져님과 eLeejah님, 또다른 분들이 지적해주신 문제들이 쿤과 라카토슈, 이후 파생되는 과학사와 과학사회학의 논의에 포함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어질 것 같았거든요. 사실 조금 쓰다가 말았는데 댓글로 민주당 욕하다가 보니(?) 시간이 너무 지난데다가 제가 흥미가 떨어져 버렸습니다. 쿤에 대한 평가와 비판, 그리고 이를 계승하는 관점에서 과학사회학에 대해서는 이미 잘 정리되어 있는데 굳이 또 정리할 의욕이 안 나더군요. 그러다가 개미먹이님과 논쟁에서 화두에 올랐던 콰인이 생각나서 열대야 동안에 몇 줄 읽었습니다. 이건 쓸 의욕이 나는데 왜냐하면 제가 이해가 안돼서(…) 쓰면서 정리를 좀 하려고요. 이 글은 콰인에 대한 (제가 거기까지 밖에 못 읽어서) 매우 간략한 서론 정도가 될 것입니다. 교과서로 널리 쓰이는 M.K. 뮤니츠의 <현대 분석 철학>을 보고 썼고, 다른 책에서 본 것도 좀 섞어 넣었습니다.




분석철학 = 러셀의 철학

본격적으로 콰인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분석철학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교과서에서는 프레게, 러셀, 전기 비트겐슈타인, 논리 실증주의, 후기 비트겐슈타인, 콰인의 순서대로 나오는데 철학사적인 입장에서나 실제 다루는 내용이나 방법론에서나 분석철학을 위와 같은 범위로 정하는 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는 측면에서 수월하고 실제로 시간적 순서도 일치하기 때문에 분석철학의 흐름을 저렇게 파악하지만, 아주 단순하게 보면 분석철학은 “러셀의 철학”입니다. 프레게가 주목 받은 것은 <수학의 원리>를 다 써놓은 러셀이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졌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프레게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수학의 원리>를 보강했기 때문이고, 러셀의 입장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러셀이 남겨 놓은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논리 실증주의는 그러한 시도의 1차적 해답이었던 <논리-철학 논고>의 파생물이었고, 콰인은 <수학의 원리>의 공저자인 화이트헤드의 제자였으며 프레게와 러셀의 전통적 방법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죠. 즉, 분석철학의 흐름 중간에 러셀이 있는 것이 아니라 (후기 비트겐슈타인을 제외한) 각각의 모든 사상에 러셀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러셀의 철학”은 과연 무엇일까요? 20세기 철학자라면 으레 그렇듯이, 러셀의 작업도 칸트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합니다. 칸트하면 떠오르는 “분석 명제”와 “종합 명제”가 있죠. 분석 명제는 주어가 지칭하는 개념을 파악하여 술어와의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명제고, 종합 명제는 주어가 술어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경험을 통해 이해해야 하며 실제로 지식을 넓히는 명제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분석 명제는 논리학이고 종합 명제는 과학인 것이죠. 칸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수학의 위상을 정의하는데요, 수학을 선험적 종합 명제라고 말합니다. 7 더하기 5는 12라는 명제가 있을 때, 7 더하기 5라는 주어는 술어인 12다라는 사실을 개념적으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종합 명제고, 7 더하기 5가 12라는 명제의 참 거짓은 경험에 의해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선험적이라는 것이죠. 즉, 칸트는 수학을 직관에 의존하면서도 실제 세계의 시공간을 표현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는 칸트가 뉴턴 물리학에 직접적이고도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는 점이었고 이러한 생각은 칸트 이후 정설처럼 철학의 입장으로 받아들여집니다. 무슨 얘기인지 모르시겠다고요? 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칸트를 이 이상으로 설명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여기서 중단할 수 밖에 없네요. 지금 맥락에서 가장 중요한 건 칸트에 의하면, 논리학과 수학은 완전 다르고, 수학과 과학은 조금 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는 정도겠습니다.

러셀은 이러한 생각을 정면으로 부정했습니다. 수학의 근간은 논리학이며 논리학이 기본으로 삼고 있는 몇 가지 기본적 공리들로부터 수학의 모든 것을 귀납할 수 있다고 생각했죠. 그러한 작업이 바로 <수학의 원리>입니다. 그리고 논리학을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에 적용하여 “명료한” 언어로 대체하면 철학의 모든 문제들이 해결된다고 믿었습니다. 러셀보다 몇 년 앞서서 프레게가 이 작업을 단독적으로 했는데 러셀이 이를 재발견해 널리 알리고 동시에 프레게가 사용한 몇 가지 공리에서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이 오류를 해결한 방법들이 유명한 “유형론”과 “한정 기술구”이고, 러셀의 이러한 전반적인 철학을 “논리 원자론”이라고 합니다. 러셀은 <수학의 원리>를 다 쓰고 왠지 찝찝함이 몇 개 남았지만 너무 힘들어서 쉬운 책이나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습니다. 그러던 찰나에 러셀의 연구실에 독일어 쓰는 ADHD가 의심되는 청년이 노크를 하는데, 그가 바로 천재 중의 천재 비트겐슈타인입니다.




콰인

한편, 러셀과 <수학의 원리>를 같이 쓴 화이트헤드는 하버드로 떠납니다. 콰인은 화이트헤드의 지도를 받아 철학 교수가 되고 한평생을 하버드에서 지냅니다. 네이버캐스트에서는 콰인을 “논리 실증주의의 적자”라고 표현하면서 등에 칼을 꽂았다는 식으로 써놨던데 과도한 묘사인 것 같습니다. 다른 분석철학자들과 다르게 콰인은 비트겐슈타인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놓여 있지도 않았고 카르납과 교류한 것은 몇 년에 불과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콰인은 프레게와 러셀의 수리철학을 자신의 가장 기본적인 바탕으로 깔아놓고 언어 철학과 의미론, 나아가 존재론에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분석철학의 적자”임은 확실합니다. 콰인의 작업은 논리 실증주의가 과도하게 나간 지점을 원래대로 복귀시키고 분석철학을 철학의 영역에 돌려 놓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콰인의 작업은 크게 언어철학과 의미론의 영역, 존재론의 영역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고 이를 각기 대표하는 두 가지 논문인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Two Dogmas of Empiricism)”“존재하는 것에 관하여(On What There Is)”가 있습니다. 특히, 언어철학과 의미론의 영역에서 쓴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은 과학철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프랑스의 과학철학자이자 과학사학자였던 피에르 뒤앙의 논지를 인용해 논리를 전개했기 때문에 “뒤앙-콰인 논제(Duhem-Quine Thesis)”라고 하는데, 아주 간단하게 말해서 포퍼 빼고 모든 과학철학자와 과학사학자들이 다 갖다가 씁니다. 물론 분석철학 자체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다만, 두 종류의 작업은 매우 서로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는 것은 편의를 위함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일단 먼저, 콰인의 존재론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콰인은 매우 충실하게 프레게와 러셀의 수리철학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흥미롭게도 형이상학의 지위를 회복시킵니다. 프레게와 러셀의 방법을 통해, 존재론이 수리철학과 모순되지 않고 그 안에 어울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논리 실증주의가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극단적인 주장에 대항하는 것이면서도 분석철학을 다시 철학의 범주에 포함시켜 놓은 작업이죠. (논리 실증주의가 파시즘적으로 묘사되는 것은 그 이론들의 정교함과 세련됨에 비하면 좀 억울할 수는 있겠지만, 어쨌든 대충 결론이 그러니까!) 그렇다고 해서 콰인이 논리 실증주의를 정면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논리 실증주의가 지적하는 궤변론적이고 무의미한 형이상학은 혐오해야 마땅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형이상학을 부정하는 것은 과도한 행태라는 생각이었죠.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양비론 느낌 나는 학설은 양쪽에서 까이기 마련입니다. 콰인의 이론은 매우 격렬한 반발에 부딪히지만, 이미 콰인의 논문들은 고전의 반열에 올랐고 그가 분석철학의 전통에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그 일례로, 콰인 역시 분석철학 전통을 잘 따라서 성질이 매우 더럽고 기고 아니고가 확실했던 것 같습니다. 해체주의로 유명한 자크 데리다가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게 되자 저런 사이비철학에다 궤변이나 일삼는 사람에게 학위를 주어서는 안 된다고 탄원서를 냈다는 일화가 있더라고요.




존재론적 개입(Ontological commitment)

“존재하는 것에 관하여”에서 콰인은 기존의 존재론에 대한 본인의 불만을 표시합니다. 존재하지 않는 것들의 존재(being)를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 현실적 실재들과 가능적 실재들을 구분하고 가능적 실재들에 대해서 특수한 위치를 부여하는 입장, 개별자와 보편자를 구분하여 보편자의 객관성과 영원성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철학자들의 입장을 나열하고 그들이 가지는 문제를 지적합니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존재론들의 확정함(평가함과는 다른데 이 차이를 인식하는 것이 콰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합니다)에 있어서 명료한 기준을 세웁니다. 이 때 수리철학을 사용하죠.

페가수스와 빨갛다의 예를 통해 기존의 존재론에 대한 콰인의 비판을 설명하면 완성도 높은 글이 되겠지만, 힘들어서 생략하려고 합니다. 요약하자면, 1) 가능적 실재들을 다른 가능적 실재들로부터 구별 짓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 즉, 정체성이 없으면 실재도 없다(No entity without identity). 2) 명명하는 것이 존재해야 한다는 오류는 이미 러셀의 한정 기술구 이론에서 폭로되었다. 또한, 술어로 대체될 수 없는 개념(명사)는 임의적으로 설정한 술어의 파생어로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역시 한정 기술구 이론으로 설명된다. 3) 추상 명사는 그것이 기술하는 개별적 대상에 대한 참 거짓을 가릴 수 있는 술어적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기 때문에 존재를 지칭할 필요가 없다. 즉, 용법에서의 유의미성이 실재에 대한 이름으로서의 기여를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 4) ‘의미’라는 특수한 매개적 실체를 요구하지 않아도 유의미한 것과 무의미한 것을 구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아마, 페가수스와 빨갛다가 어떤 식으로 적용되었는지 대충 짐작하셨으리라고 봅니다. (는 죄송합니다.)

진짜 핵심은 지금부터인데 (무슨 서론이 이렇게 길죠?) 각각의 철학이 보여주는 “존재론적 개입”을 논리학을 통해 명확히 하는 것이 콰인의 핵심적인 작업이었습니다. 이런 작업을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 지점에서, 각각의 존재론에 대한 찬반을 밝히는데 이 때는 논리학이 관여하지 않습니다. 어떤 존재론을 채택하느냐, 즉, 어떤 철학을 채택하느냐는 “관용과 실험적인 정신”이라고 말합니다. 일종의 실용주의적 입장이라고 볼 수 있겠죠.

콰인은 누누히 말했듯이 프레게와 러셀의 전통 위에 서 있습니다. 따라서 일상 언어가 가지고 있는 부적절성과 혼란을 제거하고자 논리학을 적극 도입하는데 찬성하며 이를 철학의 기본적 작업으로 전제하고 있습니다. 즉, 논리학을 통해 언명을 적절하게 재서술하는데, 양화(quantization)를 통해 변항을 속박해야 합니다. 갑자기 외계어가 튀어나오는데 프레게에 대한 기초적 설명을 간략하게 동반하겠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유명한 삼단논법이 있죠.

1)        모든 사람은 죽는다.
2)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3)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그런데 이 삼단논법에서 사람은 주어로도 쓰였다가 술어로도 쓰입니다. 프레게의 논리학은 이러한 오류를 바로 잡습니다.

1)        모든 x에 대하여, x가 사람이면 x는 죽는다.
2)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3)        따라서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이를 조금 간단하게 써보자면 이렇습니다.

1)        (∀x) F(x)⇒G(x)
2)        F(a): true
3)        ∴ F(a)⇒G(a): true

이렇게 논리학의 도움을 빌려서, 불분명한 술어의 위치를 명확하게 만들고, ‘모든(∀)’이나 ‘어떠한(∃)’ 같은 보편 양화사를 쓰고, 변항들을 ‘속박’하면서 언어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죠.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어떤 철학에서 사용하는 우리는 1차 양화 명제, 즉, 모든 x는 어떠하다 혹은 어떠한 x는 어떠하다라는 문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속박되어 있는 x는 개별적 대상들을 지칭하게 되는데 이 개별적 대상들이 포함되는 값의 정의역을 설정하는 작업에서 각각 철학이 사용하는 존재론의 차이가 드러나게 됩니다.

“어떠한 개는 하얗다”라는 명제를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이 명제에서 개성(doghood)이나 하양성(whiteness)를 상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이 명제의 변항에 들어가야 하는 하얀 개들이 존재한다고 말할 뿐입니다. 즉, 명제에 존재론적 개입이 들어가는 것이죠. 좀 더 구체적인 예로 “어떤 종이 상호교배되었다”라는 명제를 보면, 생물학적 종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개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 명제의 변항에는 종이 들어가는 것이고 이러한 종의 개념이 한정 기술구를 통해서 재서술되기 전까지는 종의 존재를 인정, 다른 말로 존재론적 개입이 들어간 셈이 되는 것이죠. “즉, 하나의 이론은 그 이론에 대한 긍정이 참으로 되기 위하여 그 이론의 속박 변항이 지시해야만 하는 그러한 실재들과 그러한 실재들에 대해서만 존재론적으로 개입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콰인의 이러한 논리학은, 존재론마다 차이점을 보여주지만 어떤 것이 존재하고 어떤 것이 존재하지 않는지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콰인은 자신의 논리학을 존재론의 본질적 내용 사이의 차이점을 속박된 변항의 정의역을 설정하는 작업이라고 말하면서, “의미론적 상승(semantic ascent)”라고 불렀습니다. 존재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은 정의역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그 정의역의 설정에 대해서는 가능성, 단순성, 환원성을 비롯한 여러 형이상학적 토론이 동반되겠죠.

이 모든 논의는 콰인의 강렬한 문장, “존재하는 것은 변항의 값이다(To be is to be the value of a variable)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자, 이제 경험론에 대한 비판으로 과학철학에 큰 화두를 던졌던 뒤앙-콰인 논제에 대해서 알아보면 너무 힘드니까 여기서 끝냅니다. 뒤앙-콰인 논제에 대해서 알아볼 일이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속박된 변항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D.루피
13/07/27 08:32
수정 아이콘
identity와 reality는 보통 철학에서는 동일성, 실재.. 요런 식으로 번역하던데.. 실체와 실재는 그렇다쳐도 정체성과 동일성은 약간 의미가 다르지 않나요..? 동일성 문장이라든가 이럴때 identity란 말을 썼던 거 같은데..
삼공파일
13/07/27 08:39
수정 아이콘
제가 가지고 있는 번역본을 다시 보니까, '실체'가 아니라 '실재'네요. 이건 그렇다치고... 일단 책에는 정체성이라고 되어 있는데 맥락상으로는 정체성에 더 가깝겠죠. 가능적 실재들을 구분할 수 있는 특성의 부재에 대해서 비판하면서 쓴 말이니까요. 물론 이 번역본이 꼭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동일성보다는 정체성이 더 자연스러운 것 같아요.

identitiy가 동일성으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identity의 서로 다른 뜻이 서로 다른 맥락에서 쓰이는 것인지 아니면 철학에서 통용되는 하나의 뜻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 전자겠죠?
몽키.D.루피
13/07/27 08:45
수정 아이콘
번역자가 철학전공자가 아니라면 오역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셸리 케이건의 "죽음을 무엇인가"라는 책에서도 동일성을 정체성으로 번역하더라구요. 언어철학에서 '개밥바라기 별은 샛별이다' 같은 문장을 동일성 문장이라고도 하고 형이상학에서도 라이프니츠의 동일성 원리 등, 동일성은 실재성과 더불어서 존재론의 깊숙한 테마중에 하나죠. 콰인의 저 논증을 잘 몰라서 확답할 수는 없지만 혹시나 해서요.. 사실 identity를 철학 아니면 동일성이라고 쓰는 데가 없습니다. 특히 심리학 쪽에서는 identity하면 그냥 정체성이니까요.
삼공파일
13/07/27 08:55
수정 아이콘
다시 찾아보니까, 원문이 No entity without identity더군요. 수정했습니다. 번역자는 과학철학의 권위자인 교수님이신지라 그 부분에서 의심할 필요는 없겠지만, 정체성이냐 동일성이냐는 논해볼 수 있겠죠.

"개밥바라기 별은 샛별이다"가 유명한 문장이긴 한데 거기서 동일성은 identity보다 tautology가 더 적절한 것 같습니다. 논리학적으로 항상 참인 문장을 뜻하는 정확한 용어니까요. 라이프니츠의 동일성 원리는 identity가 맞겠죠. identical이라고 형용사형으로 쓰면 동일하다는 뜻으로 일상어에서도 많이 쓰지 않나요?

콰인은 가능적 실재에 대해 비판하면서 문 앞에 뚱뚱한 남자가 있다고 상상해보자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뚱뚱한 남자가 아니라 날씬한 남자라면 어떨까라고 지적했죠. 그러면서 얼마나 많은 뚱뚱한 남자와 얼마나 많은 날씬한 남자가 있으며 그들은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 것인가라고 가능적 실재를 상정한 존재론을 비판합니다. 이 맥락에서 어떤 실재를 다른 실재와 구분할 수 있는 특징에서의 의미라면 identity는 정체성이 더 올바른 번역 같아요.
몽키.D.루피
13/07/27 10:51
수정 아이콘
권위자라고 하더라고 번역이 안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번역을 자신이 안 했을 수도 있고 초벌 수준을 출판사가 그냥 내버리는 경우도 있고.. 어쨌든 철학에서 정체성이라는 단어를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그리고 동일성 문장(명제, 진술)이라는 identity statement 용어가 있습니다. entity도 사전에는 실재, 실체, 독립체 등으로 나오지만 현대 철학에서는 대상이라고 많이 번역을 합니다.
http://nicetoseeu.egloos.com/2582958 이 블로그에서는 같은 문장을 No entity without identity[동일성 조건이 없으면 대상이 없다.]라고 했네요.
저도 이 번역이 더 명쾌한 거 같아요. 더 자세히 풀어서 말하면 [(대상들을 가리키는 진술들 간의) 동일성이 없다면, 그 대상도 없는 것이다]라고 하는게 더 정확할 거 같습니다. 그 책을 읽어보진 않았지만 같은 가능적 대상을 가리킨다고 하면서 다른 조건들을 진술한다면 그 가능적 대상은 실재하지 않는다는 뜻 아닌가요?
잠깐 콰인에 대해 인터넷으로 뒤적거려 보니까 콰인의 존재론은 마치 비트겐슈타인 언어게임의 존재론 버전 같은 느낌이 드네요. http://www.weline.net/old/technote_new/read.cgi?board=life&y_number=144&nnew=1 이글에서 간략하게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거 같아요. 이 글 내용을 간단히 언급하자면,
예를 들어 A는 요정이 있다라고 하고 B는 요정이 없다라고 한다면, A와 B가 만나서 요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때 B는 마치 요정이 있는 것처럼 가정하고 말을 해야 하잖아요. 그러니까 B입장에서는 요정이라는 대상도 실체도 의미도 없는 단어를 계속 써야된다는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거죠. B가 '요정이 없어' 라고 말할 때, 그 문장이 의미가 있으려면 '요정'이라는 단어가 지칭하는 대상이 있어야 된다는 역설이 발생하는 겁니다. 그래서 콰인은 같은 체계 안에 있는 사람들끼리만 그게 가능하다고 이야기한 것 같아요. 즉, "자연과학이 상정하는 존재들과 신화나 종교가 상정하는 존재들은 각기 다르며 그 존재들은 각각의 체계 안에서 존재한다"는 겁니다.
그러면 위에 문장이 더 이해가 잘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콰인의 존재론이라는 게 존재의 의미론적 기반을 만들기 위한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추상적, 가능적 대상에 대한 동일성 조건의 진술이 필요하니까요. 페가수스라는 말을 쓸 때, 그 대상이 없다면 무의미한 말이니까 만약 페가수스에 대해 기술하는 동일성 조건들이 있다면 페가수스는 가능적 대상으로 실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는 거..죠? 제가 잘 이해한 거 맞나요?
삼공파일
13/07/27 11:29
수정 아이콘
identity statement라는 말이 없다는 게 아니라 예시로 든 문장이 tautology라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링크 걸어주신 것들보다 제가 더 자세하고 더 쉽게 요약한 것 같아요. 제가 콰인에 대해서 엄청 길게 써놨는데 다른 링크를 가지고 오셔서 이러이러한 것 "같다"고 말씀하시면 드릴 말씀이 없네요.

그래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여기서 맥락은 콰인이 과거 전통적 철학의 존재론 중 하나를 비판하는 것입니다. 현실적 실재와 가능적 실재를 구분하는 존재론에 대해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죠. 페가수스는 가능적 실재로서 존재하며 단순히 현실성이라는 특징이 없는 존재라는 종류의 이야기가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요정의 예에서 지적한 문제는 러셀의 한정 기술구로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역설은 간단히 끝납니다.

페가수스에 대해 쓰신 부분은 완전히 잘못 이해하셨습니다. 원래 콰인은 위의 문 앞의 가상적 남자를 예로 들었는데 페가수스로 바꿔 보자면 이렇습니다. 날개가 긴 페가수스가 한 마리 창문 밖에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현실에는 없을테니 우리가 상상하는 가능적 실재입니다. 날개가 짧은 페가수스도 생각해봅시다. 이런 식으로 가능한 페가수스는 몇 마리일까요? 또, 아주 비슷해서 구분하기 거의 불가능한 두 마리를 생각해봅시다. 이는 서로 다른 존재일까요? 또, 모든 특성이 일치하는 두 마를 상상하면요? 이렇게 가능적 실재는 다른 가능적 실재와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이 없거나 매우 모호합니다. 콰인은 이 점에서 가능적 실재라는 개념 자체를 비판하고 있는 것입니다. 존재론을 정의역을 설정하는 작업으로 봤으니, 똑같은 변수를 넣었는데 다른 함수값이 나올 수 없다는 원리와 비슷하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x에 들어가야 할 값이 a인지 a'인지 b인지 분명하지 않으면 안되겠죠. a와 a' 그리고 b를 구분 짓게 하는 그것을 존재의 identity라고 부른 것이죠. 그러한 맥락에서 정체성이 더 적절하다고 봅니다.

콰인의 존재론이 그렇다면 무엇인가... 하는 부분은 본문을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몽키.D.루피
13/07/27 11:43
수정 아이콘
설명하신 것에 따르면 정체성이 아니라 동일성이 맞습니다. 페가수스를 진술하는 명제들 사이의 동일성 조건이 맞아야 페가수스라는 대상이 존재한다는 의미니까요. identity는 정체성이 아니라 동일성 조건의 동일성인 거 같습니다. 애초에 정체성이라는 말을 안 잘 쓰는데 왜 정체성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아니면 실제로 철학 수업 시간에 그런 말을 쓰는 것을 들어 보셨나요? 지난 학기 형이상학 수업에서 제가 정체성으로 번역했다가 동일성으로 다 고쳐지는 굴욕을 겪어서요;; 근데 예를 페가수스로 바꾸는 바람에 의미가 약간 달라진 거 같아요. 가상의 남자라는 가능적 대상을 진술하는 명제들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페가수스라는 신화적 대상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흰말에 날개 달린 이미지는 페가수스라는 단어를 아는 사람들에 한에서는 거의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이미지니까요. 그러면 페가수스는 존재하는 걸까요? 예, 존재하는 거죠. 콰인에 따르면, 신화적 체계 내에서 같은 동일성조건으로 진술할 수 있다면 존재한다는 겁니다. 근데 가상의 남자는 다르죠. 페가수스를 예를 드는 바람에 좀 이해하기 힘든 거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그 책을 보고 싶지만 볼 수 없어서 안타깝네요..
삼공파일
13/07/27 16:35
수정 아이콘
링크해주신 글도 유심히 다시 읽어보니 동일성이든 정체성이든 맥락상 제가 지적한 의미와 다르지 않게 쓰고 있긴 합니다.

문제는 콰인 철학을 너무 오해하고 계신 것 같아요. 콰인은 페가수스의 존재를 인정하는 존재론을 모두 비판했습니다. 동일성 조건을 뭐라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는데 그걸 만족한다고 해서 존재한다고 보는 건 콰인의 견해가 절대 아닙니다. 그러니까 동일성이 맞는지 정체성이 맞는지 논의하기 앞서서 다른 글이나 제가 쓴 본문이나 댓글을 잘 읽으셨으면 해요.

책은 가장 많이 쓰이는 분석철학 교과서 중 하나입니다. 왠만한 도서관이나 대형 서점에 있을 겁니다.
몽키.D.루피
13/07/27 17:32
수정 아이콘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 체계 내에서는 존재한다고 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과학 체계에서는 신이 존재하지 않지만 종교 체계에서는 신이 존재한다는 거죠. 그것도 언어의 의미론적으로 그렇다는 거지, 말그대로 실재한다는 것도 아니구요. 그런 식으로 접근한게 아닌가 했는데.. 아닌가 보군요. 제가 책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삼공파일
13/07/27 17:44
수정 아이콘
identity 문제는 제가 밑에 새로 썼습니다. 몽키.D.루피님 말이 맞는 것 같아요.

제 설명이 불충분하다면 책을 직접 읽어보는 것도 좋겠죠. ^^;;
cetaphil
13/07/27 11:16
수정 아이콘
토톨로지는 앞 단어의 개념이 뒷 단어의 개념과 같거나 뒷 단어의 개념을 포함해야합니다. 개밥바라기별(evening star)은 초저녁에 뜨는 금성을 뜻하고 샛별(morning star)은 새벽에 뜨는 금성을 뜻합니다. 따라서 그 문장은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지만 토톨로지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풀어말하면 두 단어가 그저 금성을 지칭할 뿐이라고 생각하면 토톨로지고, 금성에 대한 조금 다른 단어라고 생각한다면 토톨로지가 아닙니다.
삼공파일
13/07/27 11:33
수정 아이콘
그런데 "금성에 대한"이라는 말에서 이미 샛별과 개밥바라기별은 같은 대상을 "지시"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게적인 의미에서 토톨로지일 겁니다.

제시하신 후자의 관점에서 보자면 토톨로지도 아니겠지만 아이덴티티는 더욱 아니겠죠? ^^;;
cetaphil
13/07/27 11:41
수정 아이콘
토톨로지는 지칭과 관련된 개념이 아닙니다. 그리고 프레게에 의하면 더더욱 토톨로지가 아닙니다. 프레게는 단어의 의미가 대상에 의해 바로 획득되지 않고 sense(...)를 거쳐 획득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개밥바라기별과 샛별은 [동일한 대상을 지칭하지만] 다른 sense(...)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밥바리기별(evening star)과 샛별(morning star)의 동일성 문장도 이를 설명하기 위해 프레게가 직접 예를 든 문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jjohny=Kuma
13/07/27 12:02
수정 아이콘
http://www.pakebi.com/philosophy/general/frege.html 여기 그 설명이 나오는 것 같네요.
삼공파일
13/07/27 16:50
수정 아이콘
책 다시 읽어보니까 말씀해주신 게 맞네요. ^^;;
jjohny=Kuma
13/07/27 11:57
수정 아이콘
(무지렁이는 그저 입 다물고 보기만 하는 게 순리인 줄 알지만... 대화를 제대로 따라가고 있는 건지 확인차원에서... 헣헣)
1. '강타는 강타다'
2. '강타는 안칠현이다'
3. '강타는 H.O.T.의 메인보컬이다'
1번이야 누가 봐도 tautology이지만, 2번은 tautology인가 entity인가 identity인가 하는 논점인가 보네요.
3번은 2번과 비슷하게 보면 될까요, 아니면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일까요?
cetaphil
13/07/27 12:31
수정 아이콘
안칠현이 강타가 아닌 경우는 상상할 수 없지만, HOT의 메인보컬이 강타가 아닌 경우는 상상할 수 있으니 다른 이야기 같습니다.
jjohny=Kuma
13/07/27 13:06
수정 아이콘
가능성에 대한 상상의 문제라면, 안칠현 씨가 데뷔를 하지 않아서 강타가 아닌 삶을 살고 있을 가능성을 상상할 수도 있지 않나 싶은데, 그러면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 상상이라 또다른 차원이 되는 것이려나요? 헣헣
cetaphil
13/07/27 13:25
수정 아이콘
저는 데뷔를 하지 않는 가능성 속의 안칠현 씨를 (그 가능성 속에서는 그렇진 않지만 어쨌든) 강타와 동일하다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심지어 지금 우리가 안칠현 씨라고 부르는 존재자의 이름이 안칠현이 아닌 경우에도 그 존재자가 강타와 동일하다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대신에 그 가능성 속의 안칠현 씨를 HOT의 메인보컬이라고 생각하긴 힘들 것 같고요. 어떤 존재자에 관한 인식에 그에 대한 실명-예명-역할이 얼마나 고정되어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 같네요.
삼공파일
13/07/27 17:09
수정 아이콘
지금 와서 다시 보니, 여기서는 논점 없고요, cetaphil님이나 몽키.D.루피님 말이 맞습니다. ^^;; 논리학에서 항진 명제 개념은 좀 기다려서 비트겐슈타인까지 가야합니다. 그러니까 프레게 논리학에서 항진 명제 개념은 없습니다.

여튼 "샛별은 금성이다" 이 문장은 identity statement라고 보는 것이 맞고 여기서 identitiy는 equality로 보면 되겠습니다. 'a=a'와 'a=b'에 대해서 다루는 얘기니까요.

제가 위에서 한 얘기는 identity가 property에 더 가까운 의미니까 정체성이 더 맞는 것 같다라는 말이었고요.
13/07/27 08:33
수정 아이콘
운전중이라 나중에 읽겠지만 이 글 엄청 반갑네요
삼공파일
13/07/27 08:43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13/07/27 08:38
수정 아이콘
헤헤, 아랫글 보고 일단 추천부터 드립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렵기에 머리 식히기 딱 좋네요. 흐흐
삼공파일
13/07/27 08:42
수정 아이콘
오... 이열치열인가요.
13/07/27 11:55
수정 아이콘
오오 한글인데 머리에 안들어오는 신기한 경험을!
13/07/27 15:32
수정 아이콘
존재론이란 존재하는 a b c d...의 공통요소가 z에도 있다면 Z도 존재한다는거고 Z는 보통 나죠. 주체.
인식론은 SOUL을 REASON이라는 단어로 최대한 바꿔가보는 작업이죠.
삼공파일
13/07/27 17:34
수정 아이콘
identity에 대해서 찾아보니까 "동일성"이라고 번역하는 게 맞는 것 같네요. identity가 일상어에서 번역될 때는 "정체성"이나 "동일성(유사성)" 둘 중 하나로 선택되지만, 철학에서 identity는 이를 아우르는 하나의 개념이고 콰인 역시 그 연장선 상에서 말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identity를 더 잘 표현하느냐 그런 문제가 아니라 identity를 상황에 따라서 바꿔서 번역하는 건 좋지 않을 것 같아요.

뭐, 일상어에서 identity라는 말과 정확하게 상응하는 우리 말이 없는 것 같기도... 여튼 철학적 개념에서 identity는 동일성으로 통일하는 게 맞네요.

"샛별은 금성이다"도 동일성 언명(identity statement) 맞고요, 특별히 다르다고 볼 이유는 없을 것 같고요.

허허, 제가 불필요한 논쟁을...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479 [일반] 15년만의 잠실 한일전. 비가 오니 생각나는 명승부의 추억 그리고 황선홍. [16] LowTemplar5629 13/07/28 5629 1
45478 [일반] 키코(KIKO)사태가 마무리 되어 갑니다. [18] 루치에10454 13/07/28 10454 5
45477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킹 펠릭스 9이닝 1실점 11K ND) [5] 김치찌개4684 13/07/28 4684 1
45476 [일반] 고노무 호두과자 - 비상식의 미친 질주 [199] 보고픈12054 13/07/28 12054 0
45475 [일반] 쑨양이 박태환을 존경하는 이유.....jpg [29] 김치찌개10741 13/07/28 10741 2
45474 [일반] 강남, 신촌, 홍대 가면 꼭 가봐야 하는 맛집.jpg [34] 김치찌개10134 13/07/28 10134 0
45473 [일반] LG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에게 도전장을 제대로 던지나 봅니다... [59] Neandertal11079 13/07/27 11079 0
45471 [일반] 무협을 금(禁)해야 하는가 [14] tyro7947 13/07/27 7947 23
45470 [일반] 방금 역대 최고의 꿈을 꾸었습니다. [38] DEMI EE 178015 13/07/27 8015 3
45468 [일반] 다이어트??.. 인생의 다이어트 잔혹사 [23] 기성용5557 13/07/27 5557 0
45467 [일반] 흔한 피지알러의 주말 노래 추천 [4] 달달한고양이4866 13/07/27 4866 1
45466 [일반] [논의] 아프리카 방송홍보와 게임관계자의 유예기간 면제에 대한 이야기 [126] MDIR.EXE7495 13/07/27 7495 0
45465 [일반] 뜬금없는 깜짝 공개 프로포즈는 또다른이름의 민폐 [118] 순두부10498 13/07/27 10498 2
45464 [일반] 대의멸친(怼劓滅親) ⑦ 여태후와 효혜제 [6] 후추통8085 13/07/27 8085 2
45463 [일반] 콰인 "존재하는 것은 변항의 값이다" [27] 삼공파일7873 13/07/27 7873 3
45462 [일반] 500만원을 빌려줬습니다. 후기 [124] 삭제됨10340 13/07/27 10340 6
45461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메이저리그(구로다 히로키 7이닝 무실점 시즌 10승) [1] 김치찌개4134 13/07/27 4134 0
45459 [일반] 최성국 감싸는 K리그 vs 마재윤 지워낸 e스포츠 [50] shindx8422 13/07/26 8422 0
45458 [일반] 영화 [감시자들] – 무리수를 두지 않는 영리함 (스포 없음) [19] Neandertal5907 13/07/26 5907 0
45457 [일반] [야구] 라이트한 시청자가 본 류현진 선수. [18] 왕은아발론섬에..6335 13/07/26 6335 0
45456 [일반] [해축] 오늘(금요일)의 BBC 가쉽 [38] 최종병기캐리어4523 13/07/26 4523 0
45455 [일반] 이주의 빌보드 단신 [3] Vanitas3376 13/07/26 3376 3
45454 [일반] 혼돈의 퇴근 지하철 [17] 삭제됨6254 13/07/26 625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