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09 03:22:45
Name 사부작
Subject [일반] [스포]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 복수는 딸의 것 (수정됨)
​이번 PTA 영화뿐 아니라 박찬욱 감독의 복수는 나의 것 스포도 있습니다. 후자를 안 보셨다면 꼭 한 번 보시기를 권합니다.

저는 이번 영화를 보면서 대번에 박찬욱의 복수는 나의 것이 떠올랐습니다. 둘 다 실종된 딸을 찾는 아빠의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전위 조직에 의한 무장 혁명이라는 것이 난감한 시대착오로 느껴지는 21세기에 웃을 수 없는 코미디로 그려지는데, 이걸 또 온건하고 민주적이며 발전적으로 해결해 보자고 수습하려니 보이는 주류 사회의 폭력이 또 굉장히 잔인하고 강하다는 게 마음에 걸리고요. 이 과정의 잔인함, 그리고 '이게 이렇게 돌아간다고?' 싶어지는 희한하고 심한 블랙 코미디 같은 진행이 묘하게 연상을 자아냅니다. 디카프리오가 정말 폭탄 전문가로서 뭔가를 보여줬다면 저는 더더욱 전기 기술자였던 송강호와 비교할 수밖에 없었을 거예요.

물론 다른 점이 더 많죠. 무엇보다 엔딩이 극단적으로 다릅니다. 복수는 나의 것의 엔딩은 희망을 아무것도 남기지 않아서 완벽합니다. 혁명 조직은 약자들의 복수를 하는 역할은 해도 사회를 바꾸는 어떤 혁명도 해내지 못할 거예요.

그러나 PTA의 이번 영화는 의외로 굉장히 긍정적인 결말을 보여줍니다. 엄마의 편지가 진짜인지 거짓인지 모르겠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아요. 혁명 조직이 실패할지언정 진짜 중요한 무언가와 싸우고 있는지, 자기기만의 값비싼 소꿉놀이를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는 것처럼요. 그래도 다음 세대로 저항의 정신이 이어진다는 게 중요한 거죠.

아이러니하게도 앞의 내용에 비해 이런 긍정적인 엔딩이 나이브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건, 트럼프나 그 코어 지지자처럼 너무나 캐리커처 같은 극우가 현실 미국에서 보이기 때문입니다. 참 요상해요.

​영화는 의도적으로 디카프리오가 연기한 밥을 겉돌게 하고요, 전위 조직은 자기들만의 성채를 쌓고 살고 있습니다. 실제 일을 일처럼 하는 건 두 팔과 다리로 미국을 굴리고 있는 이민자, 생활의 달인들의 연대입니다. 혁명 조직이 영화 도입부에서 마치 메시아처럼 이민자들을 구출했었죠? 이제 그 사람들이 묵묵히 미국을 바꿀지도 몰라요.

딸 세대가 만들 혁명은 그래서 전위 조직이 아니라 다른 뭔가가 되어야 할 거예요. 델 토로가 보여준, 대중과 유리된 전위가 아닌 완전히 지역 커뮤니티와 융합된 비상 체제 같은 것도 꼭 참고할 만하겠네요.

그럼 전직 무장 혁명가, 영포티 디카프리오는요?
엄마의 편지를 전해주든 만들어내든 스토리텔러의 역할이 있지 않을까요? 혁명의 스토리텔러,유튜브 해야겠네요. 폭탄으로 장난감 같은 거 터뜨리는 콘텐츠 같은 거 섞으면 대박이겠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허클베리핀
25/10/09 03:56
수정 아이콘
곰곰히 생각해보면, 밥 퍼거슨의 영화 내 최대 업적은 <집결지 알아내기>!

무력한 모습이 대단히 웃펐습니다.
사부작
25/10/09 11: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죠. 그것도 결국 과거의 인맥으로요
그리고 "폭탄으로 아무 것도 안했다"라는 게 또 상징적인 것 같아요. 파괴를 안 한 거니

다음 세대를 건강하게 키워내는 것, 그리고 응원해주는 것, 우라 세대가 할 일은 그런 것들이라고 말하는 것 같았어요
25/10/09 11:47
수정 아이콘
저랑 보신 관점이 거의 비슷하네요
혁명이고 레볼루시옹이고 모르겠고
그냥 납치된 딸을 찾기위한 영포티 아빠의 고군분투기로 봤거든요 그래서 그런지 마지막에 만날땐 이게 뭐라고 눈물까지 났었네요
아빠와딸, 뭔지도 모를 혁명조직이 나오는 코미디라는 점에서 복수는 나의것이 생각났고
그 감독들이 커리어 최대예산을 가지고 상업적이랄 수 있는 영화를 찍겠다고 했는데 본인들 색깔이 진하게 묻어나오는 블랙코미디영화를 찍었다는게 박찬욱 감독 생각이 나더라고요
사부작
25/10/09 12:03
수정 아이콘
맞아요
혁명이 무엇이든 그건 어쨌든 우리 세대에서는 지나간 이야기이고 아빠로서 뭔가 해야 하는 거 같았어요
졸립다
25/10/09 17:36
수정 아이콘
PTA가 뭔가요?
사부작
25/10/09 19:31
수정 아이콘
감독 이름 약자요. 폴 토마스 앤더슨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5248 [일반] 놓치고 뒤늦게 후회하며 쓰는 SMR주 이야기(겉핥기) [30] 깃털달린뱀5826 25/10/20 5826 4
105247 [일반] 나를 스쳐지나간 불꽃 [2] 내꿈은세계정복3975 25/10/20 3975 27
105246 [일반] (주식 관련 글이 올라오길래) 20년 시장생존자의 의견 [21] 퀘이샤6126 25/10/20 6126 11
105245 [일반] 이 시국에 집 팔고 주식에 몰빵한 썰 [154] 휘군13681 25/10/20 13681 23
105244 [일반] <어쩔수가없다> - 기묘한 합리화. (강스포) [10] aDayInTheLife4979 25/10/19 4979 2
105243 [정치] 정부가 보유세 손대려나 봅니다 [470] 비브라늄22427 25/10/19 22427 0
105242 [정치] 국민의힘 당대표 장동혁 윤석열 구치소 면회 [118] 마라떡보끼13408 25/10/19 13408 0
105241 [정치] 정경심 교수가 최성해 동양대 총장을 고소했군요. [59] petrus11795 25/10/19 11795 0
105240 [정치] 한국과 미국 보수 진영의 정치적 동조화 [14] 유동닉으로7108 25/10/19 7108 0
105239 [정치] 석열의 봄이 성공했으면 어떻게 됐을까? [326] 스내치마스터14731 25/10/18 14731 0
105238 [정치] 중국 군 고위직 9명 숙청 [17] 如一9111 25/10/18 9111 0
105237 [일반] 로봇청소기 먼지통이 장착안되어 있다는 에러 메시지가 뜰때. [3] 헝그르르7512 25/10/18 7512 8
105236 [일반] 넷플릭스 공개작 '굿뉴스', 매력적인 기승전결 [15] 빼사스11245 25/10/17 11245 1
105235 [일반] <그저 사고였을 뿐> - '그저'의 올가미 속에서. (노스포) [6] aDayInTheLife6188 25/10/17 6188 1
105234 [일반] 중세 저지대의 경제·사회 발전 [2] 계층방정7877 25/10/17 7877 12
105233 [정치] 조국 비대위원장의 서울시장 출마가 현실화된다면 민주당이 고민할 만한 이유. [110] petrus14105 25/10/17 14105 0
105232 [정치] [NYT] 우크라이나 종전 위해 트럼프-푸틴 (또;) 정상회담 예정 [43] 철판닭갈비8578 25/10/17 8578 0
105231 [일반] 제19회 2025년 국제 쇼팽 콩쿠르 파이널 진출자가 발표됐습니다. [24] 계층방정8272 25/10/17 8272 2
105230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9] 푸끆이5571 25/10/17 5571 7
105229 [정치] 트럼프 "베네수엘라 영토 공격 검토"…마두로 "그들을 거부한다" [22] 베라히8619 25/10/16 8619 0
105228 [정치] 서울/경기 상급지 부동산의 공급 시그널인 재건축과 가격안정 [314] 유동닉으로11469 25/10/16 11469 0
105227 [정치] “김옥숙 메모 300억은 ‘뇌물’…노소영 자충수였다” [12] petrus6980 25/10/16 6980 0
105226 [정치] 특검 “尹, 계엄 명분 만들려 ‘평양 드론작전’ 승인” [155] 전기쥐10698 25/10/16 1069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