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10/05 22:37:46
Name 계층방정
Subject [일반] 베네룩스 삼국을 빚다 -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수정됨)

텍스트, 지도, 아틀라스이(가) 표시된 사진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베네룩스 3국을 빚다: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그림 1.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 지도


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 - 프랑스와 독일 사이의 ‘베네룩스 삼국은 사실 중세의 한 ‘실험에서 비롯했다세 나라는 면적은 작지만 인구 밀도가 높고 부유해 유럽 정치·경제의 핵심 축이다2차 세계대전 중 ‘베네룩스라는 이름으로 관세동맹을 맺었고, 1965년에는 공동 법원(베네룩스 법정)으로 사법 협력까지 시작했다.

이 일대는 전통적으로 해수면보다 낮은 지형이 많아 ‘저지대 지방’(The Low Countries)이라 불렸다. ‘네덜란드라는 국명 자체도 네덜란드어로 ‘저지대를 뜻한다.


중프랑크 왕국과 저지대의 지정학

지도, 텍스트, 아틀라스이(가) 표시된 사진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베네룩스 3국을 빚다: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그림 2. 로타링기아(중프랑크 잔여)의 분할 지도

저지대는 한때 프랑스(서프랑크)와 독일(동프랑크사이의 완충지대인 중프랑크 왕국의 일부였다왕가 분할과 단절자연 방어선의 부재다양한 지역 정체성(저지대·로렌·부르고뉴·프로방스·이탈리아)이 겹치며 왕국은 분해되었다

저지대는 로타링기아로 묶였다가 동프랑크(후일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되며황제의 분할·견제 정책 아래 수많은 세속 제후국·주교후국·자치도시가 병존하는 분권적 환경이 갖춰졌다.


저지대의 사회·경제적 발전

저지대에는 11세기 이후 습지 개간과 바다 간척을 통해 대규모 농지가 형성되었다. 12~13세기 플랑드르·브라반트의 양모 산업, 14세기 홀란트·제일란트의 청어 어업이 번성해저지대는 프랑스·독일 내륙·발트해·이탈리아를 잇는 무역 허브로 성장했다도시가 강했지만 도시국가로 가기보다는 도시영주 공존의 균형이 자리를 잡았다.


부르고뉴의 저지대 통합 실험

텍스트, 지도, 아틀라스이(가) 표시된 사진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베네룩스 3국을 빚다: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그림 3. 용담공 샤를 시기의 부르고뉴 복합국 최대 판도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은 결혼·상속·정복·정략으로 저지대와 부르고뉴의 작위를 대거 손에 넣었다화려한 궁정 문화 후원과 엘리트 포섭으로 귀족과 도시를 묶고저지대 각 영토 대표가 참여하는 신분제 의회를 소집해 통합의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

이어서 중앙집권을 정비하고 양측(저지대·부르고뉴)에 고등법정을 설치세수를 바탕으로 유럽 선도적 상비군을 갖췄다새 왕국 승격 시도는 주변 반발 속 전쟁과 군주의 전사로 좌절됐다.


카를 5세의 제국과 ‘스페인 통로’, 그리고 펠리페 2

지도, 텍스트, 아틀라스이(가) 표시된 사진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베네룩스 3국을 빚다: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그림 4. ‘스페인 통로’(밀라노브장송룩셈부르크)와 중프랑크 왕국 영역.

부르고뉴 계승 전쟁 뒤 저지대는 합스부르크의 손에 들어갔다(합스부르크령 네덜란드). 카를 5세는 조부모들을 통해 저지대·오스트리아·이탈리아·스페인을 상속받아 북해-지중해-대서양을 잇는 사적 제국을 구축했다본거지는 저지대였다(겐트 출생브뤼셀 집정브뤼셀 퇴위).

카를은 합스부르크령 네덜란드를 행정 통합하고 제국 내 부르고뉴 제국관구로 특화해 ‘저지대라는 단위를 공고히 했다동시에 밀라노와 저지대를 잇는 스페인 통로를 열어 회랑을 연결했는데이는 중프랑크의 축을 사실상 재현한 셈이었다.

가혹한 과세와 종교 탄압도 있었지만저지대 엘리트를 등용하고 일부 조치는 완화하는 등 카를은 ‘저지대 군주라는 인식이 분명했다반면 아들 펠리페 2는 스페인식 중앙 통제를 밀어붙였고귀족 탄압과 종교 문제로 대규모 반발을 초래했다이것이 네덜란드 독립 전쟁(80년 전쟁)의 도화선이 된다.


베네룩스 3국의 성립

지도, 텍스트, 아틀라스이(가) 표시된 사진AI 생성 콘텐츠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베네룩스 3국을 빚다: 부르고뉴 국가와 카를 5세 제국

그림 5. 1839년 런던 조약 이후 분할네덜란드(1·2), 벨기에(3·4), 룩셈부르크(5)

독립 전쟁은 북부의 개신교 세력과 남부의 가톨릭 세력을 갈라놓았고스페인의 공식 승인으로 네덜란드 공화국이 성립했다남부는 오스트리아령을 거쳐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체제를 통과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빈 체제 후 열강은 남부를 네덜란드에 붙여 연합왕국을 만들었지만이미 종교·정치·경제의 체질 차가 커 1830년 벨기에 혁명으로 분리되었다룩셈부르크는 서부(왈롱어권)가 벨기에로나머지는 네덜란드와 동군연합·독일 연방 사이의 이중 연결로 남았다가강대국의 조정을 거쳐 영세 중립을 보장받으며 독립했다.


결론

저지대는 프랑스도 독일도 아닌 3의 공간으로부르고뉴의 통합 실험과 카를 5세의 제도화(제국관구·통로)를 거치며 정치적 실체를 획득했다카를의 사적 제국은 중프랑크처럼 긴 국경과 이질성의 벽에 부딪혀 무너졌지만그가 남긴 제도와 엘리트·도시 네트워크는 응집력으로 전환되어 오늘의 베네룩스 삼국을 떠받치고 있다.


다음 글에서는 ① 저지대의 경제 발전, ② 부르고뉴 가문의 통합 전략, ③ 카를 5세와 펠리페 2세의 통치 비교, ④ 독립 전쟁의 지정학(스페인 통로)을 차례로 살핀다.



그림 출처





그림 1: 위키미디어 공용 ), Shaund, CC BY-SA 4.0.
그림 2: 위키미디어 공용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Lotharingia-959_with_current_borders.svg), Hellos2019, CC BY-SA 4.0.
그림 3: 위키미디어 공용 ), Marco Zanoli (sidonius), CC BY-SA 4.0.
그림 4: 자작 CC BY-SA 4.0..
원본 그림
위키미디어 공용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Middle_Francia_843.svg), Alphathon, 원본: Blank map of Europe (with disputed regions).svg, maix, CC BY-SA 4.0
↳위키미디어 공용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lank_map_of_Europe_(with_disputed_regions).svg), maix, 원본: Europe countries.svg, Júlio Reis, CC BY-SA 3.0.
↳위키미디어 공용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Europe_countries.svg), Júlio Reis, CC BY-SA 3.0.
위키미디어 공용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aminoEspa%C3%B1ol.svg), Miguelazo84, rowanwindwhistler, CC BY-SA 4.0.
그림 5: 위키미디어 공용 ), Känsterle, CC BY-SA 3.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여수낮바다
25/10/06 00:19
수정 아이콘
다음 글도 미리 감사드립니다 잘 봤어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700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71025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7842 4
105345 [일반] 중국 가전제품의 약진 [13] 깃털달린뱀842 25/11/02 842 1
105344 [일반] [역사] 명장(名將)의 조건에 대한 간단한 잡상 [14] meson1249 25/11/02 1249 0
105343 [일반] "세계 역사상 처음"…국민연금, 올해 200조 벌었다 [57] 전기쥐4331 25/11/02 4331 7
105342 [정치] 윤석열의 ‘윤’자 한 번 없었다. 트럼프는 떠났고, 극우에 남은 건 ‘현실’ [57] 린버크4887 25/11/02 4887 0
105341 [정치] 1달 전쯤에 김민석 국무총리의 서울시장 출마설 기사를 보고 드는 생각. [32] petrus2571 25/11/02 2571 0
105340 [일반] 폴란드 여행기 3일차 - 그단스크, 토룬, 비드고슈치 (data & scroll 주의) [2] 강력세제 희드라981 25/11/02 981 0
105339 [일반] 뉴진스 사태를 돌아보며 인지부조화를 생각합니다 [26] 신정상화2925 25/11/02 2925 6
105338 [정치] 이제 이재명 대통령 찬양좀 해도 되나요? [213] 갈길이멀다7662 25/11/02 7662 0
105337 [일반] [웹소설 후기] 시한부 천재가 살아남는 법 (스포주의!) [35] 일월마가2462 25/11/02 2462 1
105336 [일반] 오늘기준 국장과 미장의 시총 탑텐 종목들의 올해 성적표가 나왔습니다 [9] 이게무슨소리4354 25/11/02 4354 4
105335 [일반] [팝송] 마일리 사이러스 새 앨범 "Something Beautiful" 김치찌개1828 25/11/02 1828 1
105334 [정치] 통신보안은 잘 됩니까? [82] 사부작9825 25/11/01 9825 0
105333 [일반] 상하이 여행기 [25] 푸끆이4383 25/11/01 4383 7
105332 [일반] 뒤늦게 올려보는 춘마 후기 [15] 스내치마스터3762 25/11/01 3762 5
105331 [일반] 제 경험담으로 말해보는 숏이 할게 못되는 이유 [32] 이게무슨소리4923 25/11/01 4923 11
105330 [정치] 'No Kings' 시위 와중에 신라 금관을 받은 트럼프에 대한 미국 전역의 말말말 [190] 전기쥐9701 25/11/01 9701 0
105329 [일반] '애국 진보'앞세운 38세에 '네덜란드 트럼프' 제동, '승부수' 안통했다 [3] 유머게시글3991 25/11/01 3991 1
105328 [일반] 에센피에 숏을 쳤습니다 [46] 기다리다9536 25/10/31 9536 4
105327 [일반] 엔비디아, 한국에 26만장 GPU 투입 [138] 신정상화11326 25/10/31 11326 3
105326 [일반] 지자체에 민원 넣으라고 종용하는 어플 [9] VictoryFood6605 25/10/31 660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