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10/09 20:55:58
Name 스펙터
Subject [기타] [카트] e스포츠에서 에이스결정전이 갖는 의미

[방심하지마라, 최초의 1인이 모두를 침몰시킬 수 있다! 포기하지마라, 최후의 1인이 모든 것을 뒤집을 수 있다!]





에이스결정전은 팀전제에서 매치 포인트가 되었을 시, 팀에서 믿을 수 있는 단 한 명을 뽑아서 결투를 벌이는 방식입니다.

그런 방식이기에 팀들은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습니다. 치열한 승부가 나오기에 맥빠진 승부가 나오지 않습니다.

강한 선수가 한번더 나오기에 흥행성은 두배가 됩니다. 그리고 그들이 펼치는 승부는 드라마가 됩니다.

그래서 에이스결정전은 단언컨대 e스포츠에서 없어서는 안될 방식일 겁니다.






그 에이스결정전이라는 방식이 오랜시간 개인전으로 진행되어왔던 카트라이더 리그가 팀전으로 바뀌면서 도입이 되었습니다.

요즘 e스포츠 대세인 팀전 방식과 검증된 흥행 요소인 에이스결정전 방식이 합쳐지니 대박이 났습니다.


[지금까지의 레코드, 지금까지의 모든 싸운 것들 다 필요없습니다. 이 한 판, 단판이구요. 한번의 실수면 팀까지 한꺼번에 무너집니다. 어느 때보다 집중해서 달려야 돼요!]
- 정준 해설
















때론 에결 갈 필요도 없이 압살 해버립니다. 2년 6개월만에 복귀한, 돌아온 문호준입니다.


















그리고 약팀이 강팀을 이기는 드라마도 만듭니다.

[카트라이더 리그에 에이스결정전 만든 사람 노벨상 줘야됩니다] - 정준 해설 



















여담으로, 카트리그에서는 에이스결정전 말고도 아이템전을 대회 방식으로 채택했습니다
[아무리 밀어도 오뚜기같이 일어나는 장진형, 무섭게 사이렌을 키며 쫓아가는 유영혁]
















그리고 이 재밌는 카트리그의 결승전이 10월 10일 토요일 바로 내일, 넥슨 아레나에서 오후 2시에 스포티비 게임즈에서 열립니다.

2년만에 복귀한 문호준 vs 2년동안 최강자 포스로 군림해온 유영혁

[똑같은 영상 아닙니다 크크]




제가 불판도 열테니 많이많이 참여해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꼬깔콘
15/10/09 21:04
수정 아이콘
정말 마성의 브금이라고 생각합니다 첫곡은요
김연우
15/10/09 21:05
수정 아이콘
에결등 몰아서 잘 편집하면 반응 되게 좋을거같아요.

보다보면 '카트는 원래 1:1을 해야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Sgt. Hammer
15/10/09 21:44
수정 아이콘
카트 결승보고 스타 결승도 보고 아이 좋아라
pleiades
15/10/09 21:57
수정 아이콘
그 뒤로(10-11~2015) 나온 에결 BGM은 많았지만 저것만한 BGM은 없었다고 단언합니다. 16 시즌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라도 채택되었으면 좋겠네요.
상어이빨
15/10/09 22:12
수정 아이콘
와~~ 카트라이더 다시 하고 싶어지는 영상들이네요..
물론 전 아이템전만 하는 초보지만요 ^^;
입 다물어 주세요
15/10/09 22:12
수정 아이콘
카트에 대해서 잘 몰라도 진짜 쫄깃하네요.
저렇게 딱 붙어서 경기가 진행된다니 얼마나 연습했을까요.
빈민두남
15/10/09 22:28
수정 아이콘
그.. 아이템전에서 앞에가던 선수가 드리프트해서 뒤로돌더니만
뒤쪽에 따라오는 차에 미사일을 날리고 다시 돌아서 달리더군요..
사실 8명이 달릴때는 옵저버가 어느화면을 잡을지도 고민되고 보는입장에서 정신없기만하고 그랬는데 에결은 보는재미가 좋더라구요.
15/10/10 00:11
수정 아이콘
카트 영상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해설 하시는 분 목소리가 소닉님이랑 너무 비슷하네요. 처음엔 소닉님인 줄 크크크
내일뭐하지
15/10/10 00: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예전방식이 훨씬 나았다고 생각합니다.
15/10/10 01:52
수정 아이콘
전 아이템전이 너무 재미가 없네요.
선수들이 극한의 실력을 보여줘야 재밌는데 아이템은 영 긴박감도 없고 운이 너무 작용하는 것 같아서요,
아이템전 없애고 스피드전 길게 갔으면 좋겠습니다,
스펙터
15/10/10 03:00
수정 아이콘
너무 운이라기엔 아이템전을 잘하는 팀들도 있으니 실력도 가미된다고 생각합니다.
웅진프리
15/10/10 10:28
수정 아이콘
아 저도 카트리그 많이 좋아하는데 오랜만에 카트리그 글 봐서 좋네요^^ 사실 마니아층들은 기존 개인전을 좋아하지만... 이 방식도 나름대로 재미가 있는것같습니다 전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네요 결승전 인디고가 99.99999% 이길것같긴한데.. 멋진경기봤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7972 [LOL] EDG를 격파하고 한껏 고무된 유럽 [200] The Special One17365 15/10/20 17365 9
57971 [스타2] 아프리카tv는 e스포츠 전반에 물의를 일으킨 자의 방송을 정지하라. [36] 스펙터15326 15/10/20 15326 95
57970 [스타2] "프로" 라는 이름에 자긍심을 가지기 바랍니다. [11] 으르르컹컹7309 15/10/19 7309 3
57969 [스타2] 실망감이 매우 크네요... [7] Leos6560 15/10/19 6560 1
57968 [스타2] 5년 전보다 덜 아프고 덜 분노하게 될 줄 알았습니다. [24] The xian13288 15/10/19 13288 10
57967 [스타2] 러브오브티어스입니다 [7] Love.of.Tears.12056 15/10/19 12056 26
57966 [기타] [철권7] 무릎 배재민 세계대회 국가대표 본선진출 [30] 깐딩9534 15/10/19 9534 2
57965 [스타2] 지금 멘붕이 심해서 정신이 없네요. [13] 하나의꿈11384 15/10/19 11384 2
57964 [스타2] 절대 다시 일어나면 안되는 일 [30] 씨앤더10627 15/10/19 10627 2
57963 [LOL] 아시아 롤 챔피언스 컵 만들수 있을까요? [33] 글자밥 청춘10151 15/10/19 10151 3
57962 [LOL] KOO를 응원합니다. [56] SG18599870 15/10/19 9870 21
57961 [스타2] 이번 사건을 겪고 최병현에게 드는 생각 [66] 삭제됨40518 15/10/19 40518 110
57960 [LOL] 그라가스 술통 버그는 이런 겁니다. [30] 렌 브라이트12381 15/10/19 12381 0
57959 [스타2] 한국e스포츠협회, 불법도박과 승부조작 관련한 입장발표 [218] 한국e스포츠협회26254 15/10/19 26254 10
57956 [LOL] [롤드컵] 그라가스가 글로벌 밴이 된다고 합니다. [61] 주인없는사냥개12950 15/10/19 12950 1
57955 [LOL] 이번 롤드컵이 끝난 후 SKT 미드진의 변화에 대해서 [62] 담배상품권10988 15/10/19 10988 0
57954 [LOL] KT vs KOO - 미리 보는 한국 내전 [69] 철혈대공11864 15/10/18 11864 2
57953 [스타2] 2015년 10월 셋쨰주 WP 랭킹 (2015.10.18 기준) [3] Davi4ever5849 15/10/18 5849 1
57952 [LOL] 롤드컵뽕을 들이켜 슬램덩크 놀이 해봅니다 [30] 우소프8589 15/10/18 8589 1
57951 [LOL] 중국팀들의 부진에 대한 이유 및 변명 [87] 랜슬롯14565 15/10/18 14565 2
57950 [LOL] 미드의 라인 푸쉬와 안전한 라인 클리어, 라인 주도권의 차이점 [27] 차사마9608 15/10/18 9608 3
57949 [기타] 이스포츠, 한국의 위상과 해외 국가들의 추격전 [48] Lustboy13052 15/10/18 13052 23
57948 [LOL] [스포있음] 열기를 더해가는 롤드컵! 8강이 끝나고의 드는 생각 [164] chamchI12656 15/10/18 1265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