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6 23:44:54
Name Daydreamer
Subject [연재] E-sports, 망하는가? #6.5.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 팬의 수 - 3.5
E-sports, 망하는가? #6.5.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 팬의 수 - 3.5

  정말 오랜만입니다. 시험이 끝나면 써야지 했는데 시험이 이런 저런 사정으로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 -_-; 갑갑하고 답답한 마음을 살짝 가라앉히고 글 좀 써보려고 이렇게 앉았습니다. 너무 늦어서 정말 정말 죄송합니다.
  이번 회는 지난 3회동안 연재되었던 ‘E-sports 팬의 수’에 대한 글을 보충하는 부분입니다. 스타크래프트에 국한되었던 지난 회의 한계를 보완하여, 워크래프트3과 기타 다른 E-sports 종목에 대하여 <짧게> 짚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정식 편수를 부여하지 않고 0.5를 덧붙인 이유가 그래서입니다.
  많은 관심 가져주셨던 여러분들에게 정말 감사합니다. 더더욱 열심히 쓰겠습니다.

<저번 회 보기>
#1. 인사말을 겸한 소개
#2. 현재의 E-sports의 상황
#3. E-sports의 과거와 현재
#4.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의 팬의 수 - 1
#5.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의 팬의 수 - 2
#6.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의 팬의 수 - 3



스타크래프트를 제외한 다른 E-sports

  이들의 간략한 역사에 대해서는 지난 3편에 서술한 바 있으니 다시 쓰지 않겠습니다. 아무튼 현재 <게임방송으로 리그가 방송되고 있거나 일정 정도 이상의 게임리그가 진행중인> E-sports의 종목은 다음과 같다고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1)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
2) FPS - 카운터스트라이크, 스페셜포스, 서든어택 등을 총망라
3) 스포츠 게임 - 피파, 위닝
4) 캐주얼 게임 - 카트라이더

그럼 위의 게임들에 대해 현재의 수용층 상황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 앞으로의 방안에 대해 - 가능하다면 - 간단하게 서술하고 넘어가겠습니다.


1. 워크래프트3 - 새로운 가능성

  저 개인적으로는 워크래프트3(이하 워3)를 매우 좋아합니다. 워3와 프로즌 쓰론 모두 정품으로 샀었고 한때는 정말 열심히 했었죠. (물론 제 승률은 바닥을 깁니다. ;;;) 그래서 한때는 워3 리그를 열심히 시청했었습니다. 처음 전지윤 선수가 베르트랑 선수를 잡고 온게임넷 리그를 우승할 때부터, 마지막 오리지널 리그에서의 김대호(긷매호라고 쳐야 하나요? ^^;) 선수가 이중헌 선수를 3:0으로 스윕할 때, 엠비씨게임 프라임 리그의 개막과 박세룡, 장재호 선수의 용호상박, 그러다 결국 깨어나버린 희대의 괴물 안드로 장... 전부 챙겨보지는 못했고 봐도 잘 모르지만, 꽤 많은 경기를 봤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안드로 장의 첫 번째 전승우승이었던 WEG의 개막, 그리고 그와 함께 진행되었던 프라임 리그 V. 그때 저는 비록 온게임넷이 워3 리그를 중단했었지만 이런 형태로 살아남는다면 점차 워3 리그도 인기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곧 터진 장재영 파문으로 큰 타격을 입고, WEG는 3차 이후로 열리지 않고 있으며(WEG 마스터스는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군요) 엠비씨게임의 프라임리그는 MWL으로 바뀌었다가 2차 이후로 열리지 못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양대 방송사의 주력 상품이 스타크래프트이고 주력에 집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바람직한 태도이기는 하지만, 지금까지의 E-sports의 ‘미디어가 아니면 존재할 수 없는’ 특성상 다른 종목이 좀 숨 쉴 틈도 줘야 할 텐데 라는 아쉬움이 컸었죠.
  그런데 이번에 슈퍼파이트 2회의 장재호와 그루비의 혈전, 그리고 그를 전후해 벌어졌던 엠비씨게임의 W3에서 벌어진 그루비대 노재욱, 장재호대 황태민, 장재호대 유안 메를로, 그리고 인터넷으로 진행되었던 IEST 2006 등을 보면서 많은 걸 느꼈습니다. 그리고 이게 ‘우리나라에서’ 워3가 살 길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지금의 워3의 ‘게이머’층은 극도의 위축 상태입니다. 어느 PC방의 게임 폴더 스샷이 이를 반증하는데요. 프로즌 쓰론의 아이콘 설명이 ‘카오스’로 돼 있었다죠. (사진 제목이 ‘프로즌 쓰론의 굴욕’이었던 생각이 나네요. (웃음)) 그리고 게이머층이 없으니 팬층도 극히 드물겠죠. 특히 오랜 기간 방송 노출이 되지 않았던 워3 게이머들인지라 이전부터 그들을 지지했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아보는 그런 열성팬을 제외하면 팬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뭐랄까, 이전 한때 워3가 한창 인기를 구가하던 시절에 잠시 워3를 접했다가 어떤 점들로 인해 멀어진 ‘소극적 수용자’들, 아니 아예 소극적이기는커녕 수용을 그만둬버린 그런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죠.
  그런데 이것이 이번을 계기로 점차 바뀌고 있는듯합니다. 일단 워3를 새로 시작하거나 접었다 다시 시작한다는 사람의 숫자가 크게 늘었고요. (PGR만 해도 워게에 몇분 계시죠.) 시청자 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단적인 예로, 12월 첫째주에 있었던 김성식 선수와 박준 선수의 대결은 평균 6천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장재호와 유안 메를로 선수의 경기는 평균 1만 2천, 그리고 명경기로 소문이 자자한 장재호 선수와 황태민 선수의 1경기는 무려 1만 7천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을 쓰고 있는 현재 엠비씨게임의 주력상품인 곰TV MSL의 최고 조회수 경기인 12월 7일의 마재윤 vs 진영수의 1만 9천에 근접하는 수준이며, 전반적으로 워3 쪽의 VOD 조회수가 고른 편이라 평균을 계산하면 더 클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는 워3 리그가 열릴 당위성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수요가 있다는 것이니까요). 또한 해외에서 치러지는 한국 워3 선수들의 경기 또한 보는 사람이 꽤 많습니다. 아프리카에서 중계하는 방에는 방이 꽉 차서 도대체 들어가지지를 않더군요. -_-;
  이렇게 볼 때 지금 와서 워3가 다시 인기를 얻는 이유는 크게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겠습니다. 그것은 (1) 장재호의 부활, (2) 국가대항 성격의 경기, (3) 팬들의 인식 변화 등입니다. 특히 중요한 것이 (2)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WCG에서 김동문 선수가 아쉽게 16강에서 탈락하고 말았는데요, 이때 수많은 팬들이 중국 선수인 Sky에게 분노했습니다. 32강에서 만났던 같은 중국 선수가 리플레이를 빼돌려서 보여줬기 때문인데요, 아무튼 이때 워3를 모르던 팬들도 분노하였습니다. 또한 장재호 선수와 그루비 선수의 ‘동서양 워3 최강자의 만남’은, 워3를 몰라도 장재호는 안다는 사람들의 인식과 더불어 이를 마치 한국챔피언의 세계타이틀매치 도전 같은 분위기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즉, 지금 워3는 스타에 비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이를 아는 사람이 매우 부족합니다. 이런 사람들에게 워3가 흥미있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그저 재미있는 경기만으로는 모자랄지도 모릅니다. 이때 심정적으로나마 우리나라 선수를 응원하게 하는 것, 그리고 나아가 ‘어라, 재미있네?’하고서 워3를 시청하게 하는 것은 ‘국가대항전’ 성격의, 국내 선수와 외국 선수의 잦은 대결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또한 이번에 엠비씨게임에서 시작한 ‘스톰과 문의 워3 강좌’같은 프로그램도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덧붙여, 장재호 선수를 위시한 한국 선수들의 역할이 중요하리라고 봅니다. 특히 장재호 선수는 스타크래프트에서 임요환 선수가 했었던 역할, 즉 대중들의 인식 변화, 경기의 질적인 향상, ‘판’ 전체의 규모의 확장을 워크래프트에서도 - 비록 그 양상이 크게 달라질 수 있지만 - 해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렇게만 된다면 워3는 지금의 스타크래프트와는 달리, 한국, 중국, 유럽을 3대 축으로 하는 세계적인 규모가 될 수 있고, 한국에서도 매주 방송에 노출되면서 많은 팬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지 않을까요?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렇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에 ‘게임 시장’을 다룬 편에서 말씀드리죠)


2. FPS - 하는 사람은 많지만...

  요즘 PC방에 가보면 친구들과 스타 팀플이나 카오스를 하는 사람보다 스페셜포스나 서든어택 등의 FPS를 하는 사람이 주를 이루더군요. 그만큼 FPS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났고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겠죠.
  개인적으로는 카운터 스트라이크(이하 카스) 류를 잘 못합니다. 실력의 문제가 아니고, 그렇게 어지러운 3차원 화면을 보면 속이 좀 안좋아지는 편이라서... 그래서 카스는 딱 한번 해봤고, 스페셜 포스(이하 스포)나 서든어택은 손도 못 대봤습니다. 그래서 제가 뭐라고 왈가왈부하기는 힘듭니다. 카스와 스포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그 차이가 인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방송으로 진행되는 리그’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외국에서 진행되는 리그와는 또 어떤 영향이 있다고 딱 부러지게 설명하지는 못하겠죠.
  저번 WCG에서 카스 결승전을 정말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납니다. 온상민 해설의 절규하는(!) 해설과, wally나 neo 등의 선수가 펄펄 날면서 - 아직도 wally의 1:4에서 4명 모조리 죽이기와 그 다음 판에서 실수로 같은편 죽이기가 기억에 남네요 - 야 저거 재미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런 생각을 한 사람이 저만은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관심을 갖게 되는 게 출발점이겠죠.
  문제는 저 같은 문외한도 쉽게 눈치챌 수 있는 문제점, 바로 카스가 아닌 스포나 서든이 주종이라는 점이겠죠. 아무리 유행해봐야 ‘우물안 개구리’밖에 될 수 없는 점, 또 이런 점 때문에 카스 팀 - project_kr 등의 이름이 기억나네요 - 들이 점점 ‘먹고 살기’ 힘들어지는 점 등이 문제가 아닐까요. 그런데 이 문제는 해결책이 안보여서 더 골치로군요. 그렇다고 스타크래프트처럼 그나마 게임이 같고 우물 안에 있는 게 개구리가 아니라 드래곤인 것도 아니고 말이죠.
  또한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E-sports가 ‘방송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에 가까웠던 점, 그래서 워3나 카스는 외국으로 나갈 수 밖에 없었던 점도 수용층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FPS에 대해서는 식견 있으신 분들의 리플을 기다리겠습니다.


3. 스포츠 게임 - 게임의 리얼리티와 리얼

  예전에 E-sports 세미나를 할 때 “난 처음에 피파 리그가 꽤 히트칠 거라고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라서 깜짝 놀랐다”라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그러게, 이상하네 라고 생각했지만 점차 그 상황이 이해가 되는 것도 같았습니다.
  앞편에서 ‘게임은 왜 E-sports가 되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저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예측 불가능성’이라고 답한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 불가능성이야말로 스포츠의 가장 본질적인 재미 요소이며, 이러한 점이 게임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E-sports가 존재할 수 있다고 말입니다.
  그런데 스포츠 게임은 현실 반영도가 가장 높은 게임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다른 게임들이 현실상에서 불가능한 것을 구현하는 데 집중하는 데 비해서, 스포츠 게임은 리얼리티를 가능한한 높은 수준으로 추구합니다. 그래픽이 발전하고, 할 수 있는 조종의 종류가 늘어나고, 선수들의 모션이 점점 현실의 그것과 닮아가고, 컴퓨터의 실력도 사람에게 매번 안드로메다 관광을 다녀오던 수준에서 점차 올라가고 있죠.
  즉 스포츠 게임에는 E-sports만의 장점이 거의 없다는 점이 스포츠 게임의 E-sports화에 가장 걸림돌이 아닐까 합니다. 게임의 ‘예측 불가능성’에는 현실성, 즉 리얼리티가 뒷받침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리얼리티는 어디까지나 ‘리얼’과는 다릅니다. 스타크래프트만 해도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병기와 생물들의 싸움이고, 워크래프트에는 아예 마법, 소환물이라는 게 있죠. 하다못해 단순한 자동차 경주 게임에도 ‘드리프트를 하다가 벽에 부딪혀도 상처받지 않고 죽지 않는다’ 등의 불문율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포츠 게임은 리얼리티를 넘어선 리얼을 추구합니다. 예를 들어 피파를 하면서 “우리편의 무릎을 밟고 뛰어올라 허공에서 공중제비 세 바퀴를 돈 다음 섬머솔트킥으로 강하게 슛을 내리꽂는” 플레이를 추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저 현실의 축구 경기에서 나오는 플레이를 하죠. 호나우디뉴를, 루니를 직접 조종해 보는 것이 피파의 묘미 아니겠습니까? 물론 컴퓨터의 사양이 올라가고 프로그램이 매년 발전하면서 이러한 게임은 점점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죠.
  문제는 이미 우리 옆에 현실이 너무도 생생하게 중계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미 방송을 통해 프리미어리그, MLB등이 하루도 빠짐없이 방송되고 있습니다. 아무리 게임에 변수가 많아지고 현실을 닮아봐야 그것은 리얼에 다다르지 못하는 리얼리티일 뿐, 현실의 스포츠에서 벌어지는 그 “예측의 불가능함”을 따라갈 수는 없는 노릇이죠.
  그러므로 스포츠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재미는 기본적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 점으로 인해 ‘소극적 수용자’를 기대하기가 정말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정말 많은 사람들이 어떤 스포츠 게임을 즐기고, 그래서 게임 리그가 열리게 되고 그것이 미디어에 중계되는 - 스타크래프트가 처음 그랬듯이 - 방식으로 개최되게 된다면 ‘게이머’층의 확고한 지지를 바탕으로 ‘적극적 수용자’나 ‘팬’층을 만들어 어떠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겠지만, 설사 이렇게 된다고 해도 RTS나 FPS에 비해서 같은 전술이 더 많이 반복됨으로 인해 더 빨리 식상해지는 문제가 나타나게 됩니다. 마치 이번 WCG를 보다가 매 경기 모든 선수가 같은 전술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지겨워서 꺼버린 저처럼 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게임이 E-sports로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된다면, ‘스포츠 게임만의 무엇’을 따로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무엇’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것이 관계자들의 과제이리라고 생각합니다.


4. 캐주얼 게임 - 카트라이더 등에 대해

  일단 머릿속에 떠오르는 게 카트라이더, 그리고 생방송 PC방 등을 통해 방송된 <겟앰프트>를 비롯한 각종 캐주얼 게임들이네요. 사실 이런 류의 게임 역사는 꽤 깁니다(포트리스2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니까요. 포트리스3이 제대로 런칭했었다면 우리나라 게임시장은 다른 형태를 하고 있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포트리스2나 카트라이더가 꽤 시청률도 높고 재미있는 경기들을 양산하면서 성공적으로 첫 시즌을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심이 생각보다 빨리 사그라드는 것을 보며 원인이 뭘까 라고 생각해 봤습니다.
  무엇보다 ‘너무 짧다’는 것이 문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스타나 워3는 일정 정도의 시간을 확보하고, 그러면서 선수들이 전략을 차근차근 준비하게끔 합니다. 그렇게 되면 어떠한 부가효과가 생기느냐, 바로 선수들간에 <스토리>가 생기게 됩니다. A 선수는 B 선수를 어느 맵에서 대역전극을 해내어서 그 뒤로 천적이 되었다든지, 또는 C 선수가 D 선수를 <관광>보내었다든지 등등. 그러면서 그 스토리를 <소비>하면서 수용층이 늘어나고 그 수용층이 다시 선수와 방송의 밑거름이 되는 선순환 구조인 것이죠.
  그런데 이러한 캐주얼 게임은 기본적으로 게이머가 짧게 짧게 여러 판 즐기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게임당 길어도 5분을 넘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뭔가 몰입할 만하면 끝나서 대기화면이 나오고 이런 장면이 반복되더군요. 물론 어떤 선수가 마지막 부스터 사용으로 대역전 우승(...SIN이냐 --;;)을 일궈내는 등의 장면이 얼마든지 있을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스토리>를 만들기에는 불리한 구조이고, 따라서 <게이머> 이외의 수용층을 모으기 힘들다고 봅니다.
  게다가 <게이머>층은 금세 실력이 성장합니다. 카트라이더의 경우만 봐도, 처음에는 잘 하는 사람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2연속 3연속 드리프트가 어느새 ‘못 하는 사람이 바보인’ 기술이 되어버리게 되죠. 그러고 나면, 더 이상 실력이 늘지 못해서든, 아니면 이미 어느 정점에 달해서든 게임에 흥미를 잃고 점차 접어버리게 됩니다. (스타를 다룬 편에서 유사한 점에 대해서 설명했었죠.) 실제로 이러한 캐주얼 게임의 쇠퇴는 <게이머>층의 급감이 그 원인이라고 생각됩니다.


다음편 예고

  ‘짧게’ 쓰려고 했는데 너무 오래 걸리고 너무 길어졌네요. 게다가 독창적이지도 않고 그저 의무감에서 쓴 것만 같은 기분이 듭니다. 어쩐지 함량미달인거 같아서 죄송스럽습니다.
  다음 글은 최대한 빨리 쓰겠습니다. 현재 E-sports는 ‘게임 산업’과 괴리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게임 산업 구조와도 관계가 있고, 전 세계적인 게임계의 조류와도 관계가 있습니다. 이 점 역시 E-sports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너무 늦게 돌아와서 죄송합니다. 다음에는 꼭 빨리 돌아오겠습니다. (_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06 23:49
수정 아이콘
카스와 스포츠 게임에 대해서 아주 정확히 표현하신 것 같습니다.
카스는 역사도 오래되었고, 꽤나 재밌는 게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만, 국내에서 다루기에는 유저 자체가 이제는 너무나도 없습니다.
스포츠 게임의 경우는 게이머가 다루는 루니나 호나우딩요를 보는 대신, 많은 분들이 진짜 루니나 호나우딩요가 뛰는 모습을 선호하죠. 저도 물론 그렇고요.
07/01/07 00:02
수정 아이콘
카트라이더는 '체제'의 확립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롱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만큼 박진감 하나는 살아있고
손의 땀을 쥐는 포인트제의 압박은 가면갈수록 심해집니다.
이것은 유저능력의 향상과는 크게 상관이 없다고 생각 됩니다.

너무 레이싱을 많이봐서 생긴 선입견일지도 모르겠네요. ^^
(F-1과 데이토나를 합친 분위기니.. 카트도 기본은 초고속 스톡카니까..)
Daydreamer
07/01/07 00:06
수정 아이콘
Yang님//네, 저도 동의합니다. ^^ 저도 레이싱 보는거 꽤 좋아하는 편이거든요. F-1의 박진감은 정말이지... ㅋ 말씀하신대로 카트는 앞으로 어떤 체제가 잡히느냐가 일단 중요하겠지만, 그 체제가 <팬>들을 끌어모을 수 있느냐에 가서는 위에 쓴 대로 게이머의 감소가 태클 요인이 되잖을까 생각해 봅니다.

좋은 의견 감사드리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07/01/07 00:22
수정 아이콘
온라인에서 스포츠게임의 가능성을 보여준게 프리스타일인데.. 사실 게임이란것 자체가 보는재미와 하는재미의 갭이 너무나 큽니다. FPS는 더욱 심한게 시점은 1인칭인데 게임자체는 조직력이 굉장히 중요시되는 팀플레이다 보니까 시점은 이리저리 옮겨 다닐수 밖에 없고 보는재미는 더욱 떨어지죠. 사실 보는재미를 이렇게나 키워낸 스타판이 참 대단한 겁니다. 대부분의 게임에 있어서 보는재미 라면, 고수들의 플레이를 보면서 감탄하는 것 이상은 기대하기 힘드니까 말이죠.
생머리지단
07/01/07 00:29
수정 아이콘
스포츠게임에 대한 말씀은 정말 정곡을 콕 찔러주시네요
스포츠게임은 컴퓨터 성능의 진화와 함께 눈부시게 진화하고있지만 그래도 스포츠채널에서 중계되는 예측불가능하고 역동적인 프리미어리그나 NBA중계에 비하면 보는 재미는 많이 떨어지죠.
FPS는 저같은 경우엔 실제로 하는게임은 위닝/스타/FPS류 로 구분할만큼 좋아합니다만, 이런류의 게임은 서로 워낙 빨리 죽고죽이다보니 어떤식으로 전투가 벌어지는지 파악하기도 전에 끝나버리죠
거기다 시점이 1인칭이라는 점은 전체적인 판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알기도 어렵게 만들구요
FPS중계에서 가장 부족한 게 바로 이런 점, 즉 어떤일이 발생하고있는지 빨리빨리 파악할수 없게만드는 시각적 한계라고 보기 때문에
서든이나 카스류의 소규모 병력교전류의 게임보다는 배틀필드와같은 강렬한 그래픽효과와 대규모 전투를 함께 보여주는 게임들 위주로 일단 소개해나가는게 더 좋을 듯 싶습니다
러브버라이어
07/01/07 00:50
수정 아이콘
스포츠게임에 대한 의견 정말 공감되네요 하는건 재미있는데 방송경기는 영 아니죠..
마이스타일
07/01/07 01:04
수정 아이콘
카스같은 경우는 옵저빙의 한계와 기본지식이 없을때와 있을때의 플레이어들의 유기적인 작전운영과 심리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그러한 기본 심리전을 알기 위해선 우선 카스라는 게임을 여러번 플레이 해봐야 하지만 1주일정도 밤새워 연습하면 왠만큼 하는 서든및스포 와는 다르게 카스같은 경우는 1년간 죽어라 해도 공방에서 1~2위 먹기가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에 유저들이 금방 좌절하고 게임을 포기해버리죠.. 그래서 유저층의 확대가 전혀 일어나지 않는것 같습니다
저같은 경우도 카스 대회팀을 만들어 모여 연습하고 대회에도 여러번 나가봤지만 역시나 만난팀 또만나고 만나던사람 또 보고 항상 그러더군요
루카와
07/01/07 01:44
수정 아이콘
흠... 저도 참 카스가 안타깝더군요. 몇년이 지났음에도 먹히는 그 퀄리티란...
카스가 꼭 다시 활성화되어서 지금의 스포나 서든같은 질낮은(?) fps 를 통합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습니다.

아 사족으로, wcg에서 월리선수가 스윕한 경기는 1:4 상황이 아니라 1:5 상황에서 쓸어버렸죠 ^^
NeverMind
07/01/07 01:56
수정 아이콘
카스쪽의 문제는 일단 하는 게이머 숫자 자체가 극도로 적다는게 문제죠... 했던 사람의 숫자도 적구요...
워3는 그나마 했던 사람의 숫자는 어느정도 됬기 때문에 지금시점에서 붐이 일어나면서 부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긴 하지만...

카스같은 경우는 게임이 대세를 타기 직전 유통사 측과 피씨방 협회의 말도 안되는 알력 다툼으로 하던 사람도 다 그만 둬버리는 사태까지 갔던게 컸던거 같습니다... 카스 알면 정말 그렇게 재미있는 게임이 없죠... 왜 전세계의 게이머들이 열광하는 게임인지 알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의 연계플레이,그리고 가끔나오는 한명의 원맨쑈등등.

그리고 카트의 경우는.... 어쩔 수 없는 캐쥬얼 게임의 한계죠... 본문에도 나와있는 실력의 갭이 적다보니... 그런데 그걸 뭐라 할 수 없는게 그게 또 캐쥬얼게임의 맛 아닙니까??? 누가 이길지는 하늘만 아는.... 문호준선수였나요??? 그 10살짜리 게이머... 그 선수가 게임 하는 거 보고 아프리카 방송에서 클랜원들 끼리 얘기하다가 '워3에선 그루비를 이기는 10살짜리가 나올 수 있을까???' 란 생각이 들더군요... 그러다가 그 이야기가 홀스님이 딸아이를 지금부터 영재교육 시키면 된다는 말도 안되는 그런 우스갯소리로 바뀌였지만... 문호준 선수같은 케이스는 카트계의 양날의 검과 같은 거죠...
저녁달빛
07/01/07 02: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프리스타일의 게임 리그 활성화를 많이 기대했는데, 게임내에서 소위 골밑에서 스크린으로 자리잡으면서 파워드리블 난발하는 것 때문에 글렀다고 생각됩니다. 게임 스스로가 리그를 망치는데 일조를 한 탓에 좀 씁쓸하기도 합니다.
07/01/07 03:26
수정 아이콘
기우는 접어 두시고 이런 좋은 글 많이 남겨 주셨으면... 하는게 제 작은 바램입니다 카스판이나 카트판이나 이렇게 관심을 가지고 봐주시는 분이 있다는 점이 전 좋습니다. 조용히 다음 편이 올라오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07/01/07 11:47
수정 아이콘
카스는 정부정책상으로도 반대일 것입니다.
국산 FPS가 너무 많고, 유저들도 PC방 1-2위를 다툽니다.
그정도이기에 카스가 다시 들어서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카트라이더는 실제로 협회의 도움이 필요한데도
오로지 방송사와 제작사의 힘만으로 연명하는게 안타까울 뿐입니다.
전체적으로 진정한 E스포츠의 부흥을 위해서라면
현재 협회는 스타크래프트 협회로 업종변경을 해야 하며
정부가 새로 E스포츠 협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07/01/07 15:17
수정 아이콘
카스가 국내서 망한 건 협회나 정부의 정책이전에 밸브탓 아닌가요; 몰락에 한목한 피방쪽도 맘에는 안 들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483 [공지] 이 시간 이후로 Free & 번역게시판 운영합니다. [23] 메딕아빠5217 07/01/05 5217 0
28482 MBC게임 히어로의 우승을 축하하면서... [5] 새벽의사수4672 07/01/07 4672 0
28481 해적!! 드디어 영웅이 되다. [21] 자이너4355 07/01/07 4355 0
28480 프로리그 결승전 5경기.. 박성준 vs 서지훈 허접한 분석 [29] 초록나무그늘6509 07/01/07 6509 0
28479 MBC게임의 엔트리전략 [9] 못된놈3617 07/01/07 3617 0
28478 그나저나 오늘 STX 선수들 시상식은 어떻게 된 것인지.... [10] 벨리어스4314 07/01/07 4314 0
28477 주훈/서형석 VS 하태기/박용운 [52] 처음느낌6130 07/01/07 6130 0
28476 결승 끝 우승축하드립니다!!! ^^; 총평 및 셋팅시간 문제에 대한 지적!!!! [46] Pusan[S.G]짱5003 07/01/07 5003 0
28474 불판 갈았죠! SKY 프로리그 2006 후기리그 결승!! CJ VS MBC! [462] SKY926406 07/01/07 6406 0
28473 2006 후기리그 결승!! CJ Entus VS MBCgame Hero! 엔트리 발표! [1026] SKY9216805 07/01/07 16805 0
28472 CEG2006 서안 워크래프트3 3-4위전(천정희-스카이), 결승전(김성식-샤오티) 진행중! [95] 지포스24391 07/01/07 4391 0
28471 히어로의 혼은 바로 너다 박성준! [17] 삭제됨7024 07/01/07 7024 0
28467 [결승전 응원]나는 네가 정말 자랑스럽다. [12] Born_to_run3797 07/01/07 3797 0
28466 여성 프로게이머들의 프로리그 참여 가능성에 대해... [49] 다크고스트4366 07/01/07 4366 0
28464 2007 1.7 프로리그 현재... 그리고 예상 [10] 체념토스4170 07/01/07 4170 0
28463 그를 기다리며 [5] 지구공명3639 07/01/07 3639 0
28462 pgr21 여러분들에게 하고싶은말 [6] 그래서그대는3823 07/01/07 3823 0
28461 [결승전 응원] CJ ENTUS, 가장 위대한 하나 [43] jgooon4167 07/01/07 4167 0
28460 가상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 - 그 첫 번째 이야기. [1] 평균APM5144585 07/01/07 4585 0
28459 [연재] E-sports, 망하는가? #6.5. 줄어들 수밖에 없는 E-sports 팬의 수 - 3.5 [13] Daydreamer4947 07/01/06 4947 0
28458 개인적으로 꼽은 2006년 E-Sports 10대 사건들(2) - 창단, 그리고 과제들. [1] The Siria4660 07/01/06 4660 0
28456 [연재]Daydreamer - 13. 이방인(1) kama5247 07/01/06 5247 0
28455 내일 프로리그 결승전 엔트리을 예측해보자 [18] 그래서그대는5015 07/01/06 50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