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4/09 01:54:09
Name Toby
File #1 boan.jpg (116.4 KB), Download : 49
Subject [일반] 크롬에 저장된 비밀번호 조회가 가능합니다. 알고 계셨나요?



먼저 참고하실만한 글 하나 링크하겠습니다.

도아 :: 구글 크롬에 암호를 저장하지 마세요!!!
http://offree.net/entry/Dont-Save-Password-at-Chrome


질문게시판에 크롬 관련 답글을 달아주다가 문득 생각나서 글을 써봅니다.

어느덧 크롬 사용자들이 많아져서, 피지알에서는 크롬 사용자의 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구글 Analytics로 수집한 pgr21.com의 브라우저 점유율입니다.

34.67% Chrome (2,311,386 방문수)
30.65% Internet Explorer (2,043,863 방문수)
23.30% Android Browser (1,553,481 방문수)
7.61% Safari (507,357 방문수)
1.82% Firefox (121,863 방문수)
1.95% 기타 (128,770 방문수)

예상하기로는 어느정도 접속인원이 나오는 국내 사이트중에서는 가장 크롬의 점유율이 높은 사이트가 아닐까 싶네요.


크롬 사용자분들중 많은 분들이 비밀번호 자동저장 기능을 사용하고 계시겠지요.
비밀번호 저장기능. 저도 참 좋아하는데요.

저장된 비밀번호를 조회 할 수 있다는 것은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으실 것 같습니다.
위의 링크에서 설명하고 있는 비밀번호 조회가, 여전히 같은 방법으로 되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버전의 크롬에서는 아래의 경로로 첨부이미지와 같은 화면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메뉴 > 설정 > 고급설정표시(설정메뉴 최하단의 작은 글씨) > 비밀번호 및 양식 > 저장된 비밀번호 관리

저 화면에서 *****으로 표시된 [표시]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가 화면상에 나타납니다.
크롬이 plain text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거죠.

즉, 크롬은 비밀번호가 네트워크상을 통해 해킹당하는 것에 대한 보안은 대비를 해두지만,
사용자의 PC를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게되는 물리적인 해킹(?)상황은 없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Windows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PC를 처음 켤 때 사용자 로그인 과정이 있지요. (레지스트리를 변경해서 뜨지 않게도 하지만요)
이 기능을 사용해서 각자 자신만의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을 정상적인 사용으로 보고,
같은 윈도우 사용자로 로그인해서 여러명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비정상 사용으로 보는 것입니다.


뭐 아무튼 그렇습니다.
자신이 자주가는 사이트의 비밀번호를 잊었을 때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 할 수도 있겠지요.
악용될 가능성도 있겠지만, 결론적으로 이런 정보는 널리 퍼지는 쪽이 오히려 좋습니다.

크롬의 비밀번호 저장기능을 사용하고 계신다면 이 사실은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aranoid Android
13/04/09 01:57
수정 아이콘
헐..크롬 쓰시는 분들은 조심하셔야겠네요.

뭐 저야..익스플로러 안드로이드 유저라 상관없지만....
안드로이드 브라우져는 기본이나 사파리 돌핀 오페라등을 다포함한 수치겠지요?
어느정도 예상은 했지만 굉장히 높은 수치네요.
크롬이 더 높은것도 대단하구요.
13/04/09 02:07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기본 브라우저만을 집계한 수치입니다.
설치형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수치로 집계됩니다. (자체 엔진이 아닌 웹뷰를 사용하는 브라우저는 안드로이드 통계에 합산됩니다.)

크롬 통계는 PC크롬사용자와 안드로이드크롬 사용자가 합쳐진 것으로 봐야겠지요.
물론 전자가 더 많습니다.
FreeAsWind
13/04/09 02:01
수정 아이콘
이건 몰랐네요.. 매뉴얼식 접근은 쉽게 되어있군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실용적인만큼 악의적으로 쓰일때도 쉬워 보이는데..
네트워크상에서의 크롬은 보안면에서 어느정도 신뢰할수 있을까요?
13/04/09 02:19
수정 아이콘
글쎄요. 크롬이나 구글이 뚫린다면 전세계 인터넷이 뚫리는 것이나 다름 없어서...
'구글이 했으니 제대로 했겠지' 정도의 예상밖에는 못하겠네요.
.Fantasystar.
13/04/09 02:04
수정 아이콘
헐 저는 웹서핑 자체는 크롬으로만 하는데-_- 큰일났네요
.Fantasystar.
13/04/09 02:05
수정 아이콘
큰일났다기보단.....관리를 잘해야겠네요
물론 제 컴퓨터를 누가 쓸일은.....없을테니 크크
키스도사
13/04/09 02:08
수정 아이콘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크롬을 쓰는 저로썬 야구영상의 존재와 더불어 제 컴퓨터를 남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이유가 하나 더 생겼군요.
KalStyner
13/04/09 02:09
수정 아이콘
불여우도 비슷하게 저장된 암호를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불여우와 keepass로 관리하는데, 브라우저 열 때 암호화된 keepass DB를 열고 브라우저 닫을 때 db도 닫는 방법으로 보호를 합니다. 브라우저 켜놨을 때 다른 사람이 PC조작하면 털리는 건.마찬가지지만요.
그나저나 불여우 사용자가 굉장히 적네요.
KillerCrossOver
13/04/09 02:12
수정 아이콘
전 알고는 있었는데, 집 컴에선 그냥 쓰고 있습니다.
어차피 도난 당하지만 않으면 뭐 크게 문제되진 않다고 생각해서요..흐흐
파폭에선 라스트패스 쓰구요.
13/04/09 02:16
수정 아이콘
저는 집과 회사 모두 크롬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크롬을 구글 계정과 동기화시켜놓으면, 비밀번호도 동기화됩니다.

집에서 저장한 패스워드가 회사에서도 보여지게 되지요.
KillerCrossOver
13/04/09 02:25
수정 아이콘
아, 당연히 외부에서 쓸 때는 크롬 동기화를 하지 않죠 :)

그러고보니 동기화에 관한 내용도 본문에 추가하시면 더 좋을 것 같네요.
업무용PC 같은 곳에선 문제가 될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으니깐요.
13/04/09 02:47
수정 아이콘
저는 크롬을 사용하면서 동기화를 사용하지 않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대신 자리 비울 때 PC화면에 락을 걸어놓고 가는게 더 좋은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호야랑일등이
13/04/09 05:37
수정 아이콘
오잉? 비밀번호도 동기화가 되나요?
크롬 새로 깔면 항상 비밀번호 저장 여부를 묻길래 동기화랑은 상관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13/04/09 02:32
수정 아이콘
크롬에서도 라스트패스 쓰시면 좋아요..^^
KillerCrossOver
13/04/09 02:42
수정 아이콘
이번 기회에 그래봐야 겠네요 흐흐
돼지불고기
13/04/09 03:09
수정 아이콘
저장만 안 하면 되는 거죠? 다행이네요 전-0- 찾아보니 저장된 게 안 보여서...
하지만 어디 공용 PC에 만약 깔린 게 저장 설정이 되었다면... 그거 좀 거시기하겠네요;
13/04/09 03:16
수정 아이콘
이 문제의 해답은 라스트패스인거 같습니다.
구글에서 자체 제공하는 자동 로그인 기능은 끄고 외우던지 아니면 라스트패스를 쓰는게 제일 안전해 보이네요..
안철수대통령
13/04/09 03:38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꿀호떡a
13/04/09 06:36
수정 아이콘
음 근데 뭐 사실 당연한 게.... 브라우저가 특별한 root 권한 없이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되면서도 제 암호를 다 쳐 줄 수 있단건 어쨌든 1. plain 형태로 암호를 저장하고 있거나 2. plain 형태의 암호를 복호화 가능한 수단으로 저장하고 있단 얘기가 되는데, 보안적 레벨에서 볼 땐 오십보 백보죠. 비단 크롬 뿐 아니라, 번거로움의 차이지 모든 브라우저가 아마 마찬가지일 겁니다. 그러니까 암호는 왠만하면 어디에든 저장하거나 적어두지 않으시는 게 좋아요.
honnysun
13/04/09 06:41
수정 아이콘
한 2년전에 본거 같은데 그냥 씁니다 흐흐
Jealousy
13/04/09 07:37
수정 아이콘
오페라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트릴비
13/04/09 08:34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애초에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는게 가장 좋은 해답이긴 하지요
탱구와레오
13/04/09 09:05
수정 아이콘
그러면 자기만의 컴퓨터를 쓰면 상관없는건가요?
13/04/09 11:28
수정 아이콘
상관없다고 봅니다. 저도 그렇게 사용하고 있구요.
Leeroy_Jenkins
13/04/09 10:15
수정 아이콘
크롬을 쓰긴 하지만 비밀번호 저장 기능 자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4월이야기
13/04/09 11:19
수정 아이콘
음...사무실 크롬 쓰는데 조심해야겠당..
피지알만 자동 로그인 쓰는데 더욱 조심해야겠다....

도아님 블로그 오랜만에 들어가 보네요...
까칠한 느낌을 좀 받지만...그래도 좋은 정보가 많은 블로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13/04/09 13:58
수정 아이콘
하도 인터넷의 오만유저랑 키배를 뜨셔서인지 별로 의사소통이 되는 분은 아니더군요.
몇번 의견교환 하고 그만두었습니다.
뜨와에므와
13/04/09 13:07
수정 아이콘
역시 피지알도 인터넷 파워유저들이 많다보니 크롬 사용률이 높군요...

남초사이트의 특징일까요 이런것도...
13/04/10 02:26
수정 아이콘
이거 뭐여 덜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5455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29902 9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52606 28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24042 3
101706 [일반] 대한민국은 우생학의 실험실인가? '인적 자본'의 허구성 [15] 고무닦이1351 24/06/15 1351 5
101705 [일반] [서평]《기억의 뇌과학》 - 기억하고 잊는 인간에게 건네는 뇌의 따스한 소개 계층방정357 24/06/15 357 0
101704 [일반] <인사이드 아웃 2> - 다채로운 '나'를 완성하는 과정.(약스포) [10] aDayInTheLife1434 24/06/15 1434 5
101703 [일반] 자작소설) [씨육수]1 [3] 프뤼륑뤼륑1129 24/06/15 1129 7
101702 [일반] 일본 동영상 플랫폼 '니코니코동화', 사이버 공격으로 서비스 중단 장기화 [15] 及時雨5850 24/06/14 5850 0
101701 [일반] 어느 대회 부정참가자의 변명 [28] 닉언급금지10210 24/06/14 10210 5
101698 [일반] 사람을 흉기로 죽였는데 가해자가 동정받는 사건이 있네요 [45] 北海道9937 24/06/14 9937 2
101697 [일반] 왕비(妃), 배(配)달, 비(肥)만의 공통점은? - 妃, 配, 肥 이야기 [6] 계층방정3371 24/06/14 3371 4
101696 [일반] 1400억 과징금을 맞은 쿠팡 [72] 주말8306 24/06/14 8306 1
101695 [일반] Apple Intelligence 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7] 김은동3844 24/06/14 3844 8
101694 [일반] 5월 야외에서 NewJeans의 'NewJeans'를 촬영해 봤습니다. [4] 메존일각2863 24/06/13 2863 11
101693 [일반] 사촌끼리 결혼하는거 막을 합당한 이유가 있나요? [128] 北海道9030 24/06/13 9030 1
101692 [일반] "PB 검색순위 조작" 쿠팡에 과징금 1천400억원…"즉각 항소"(종합) [75] Leeka6240 24/06/13 6240 0
101691 [정치] 우리에게 필요한 것 : 집단소송제도, 증거개시제도, 징벌적손해배상 [20] 사람되고싶다3835 24/06/13 3835 0
101690 [일반] [서평]《꼰대들은 우리를 눈송이라고 부른다》 - 쓸데없이 예민한 사람들의 불평이 세상을 진보로 이끈다 [7] 계층방정3461 24/06/13 3461 4
101689 [일반] 로스쿨 지원자수가 어마어마하게 폭등 중입니다. [59] 버들소리12880 24/06/12 12880 1
101688 [일반] 증권사 보고서란 대체... [48] 시린비10456 24/06/12 10456 0
101687 [일반] 단순 맞짱도 학폭으로 취급해야 하는가? [138] 北海道11038 24/06/12 11038 1
101685 [정치] 의사 파업이 전면 확대될 분위기입니다. [241] 홍철20284 24/06/12 202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