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1/26 03:00:44
Name 눈시BBver.2
Subject [일반] 대몽항쟁 2부 - 2. 처인성의 우연
살리타는 2차 침공을 벌이기 전에 강화도에서 나오라고 협박합니다. 이에 대한 고려의 답은 참 구구절절하면서도 -_-; 짜증나죠. 간단히 줄이면 이렇습니다.

"아니 내가 진짜 황제께 제대로 충성할라고 하는데 군사로 핍박하시고 백성들도 다 달아나니 우짜겠습니꺼. 일단 나라 꼴 좀 제대로 갖출라고 여기 잠깐 온 겁니더."

이 때 서경 이북은 사실상 비무장지대가 된 상태였습니다. 항전했던 이들은 모두 밖으로 나왔고, 몽고군은 청천강까지 마음대로 놀러다녔죠. 이런 것 때문에 무서워서 간 거다, 핍박 안 하면 제대로 충성 바친다 뭐 이런 내용이었습니다. 살리타는 그럼 왕 대신 최우가 나오라고 했지만 그건 더더욱 안 되죠 (...)

고려가 다루가치들을 다 죽였든 안 죽였든 몽고군은 다시 들어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때는 1232년 8월이었습니다. 고려 정벌의 명을 받은 그는 9월에 다시 압록강을 건넙니다. 강동 6주부터 서경까지 이어진 방어선은 완전히 무력화 됐고, 굳이 대병을 동원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대신 철저한 정예병만 뽑았겠죠.

방침도 크게 바뀌었습니다. 공성전을 철저히 피하기로 한 것이죠. 청북이야 비무장지대가 됐지만, 황해도부터 개경까지 이런저런 산성들이 남아 있긴 했습니다. 섬으로 피한 이들도 많았지만 이전처럼 산성에서 숨 죽이고 있었죠. 최우가 내린 결정이기도 했고, 사실 방법이 그것밖에 없기도 했습니다. 어차피 몽고군의 뒤를 노릴 정도의 병력이 남아 있지 않은 상황, 살리타는 공성을 포기합니다.

서경에 다다른 살리타, 하지만 그 때 서경은 반란의 여운이 가시지도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서경 유수 등 관리들은 쫓겨났고, 백성들은 몽고군이 자기들을 죽이지 않을까 두려워하고 있었죠. 이런 모습을 본 살리타는 서경에 아무런 적대 행위를 하지 않고 대신 홍복원을 보냅니다. 몽고군에게는 고려를 치는데 1등공신이나 다름 없었죠. 이런 그의 모습은 아들에게도 이어지비다.

10월, 살리타는 개경에 도착하게 됩니다. 하지만 별 의미가 없었죠. 바다를 건널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에 놓인 살리타는 직접 배를 만든다는 대담한 결정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 동원된 것은 포로로 잡은 태주(평북 태천)사람 변여였죠. 살리타는 그에게 해로가 어떻게 되는지를 물었지만, 변여는 모른다고 했습니다. 바다라는 게 그냥 건너는 것도 아니고 지역마다 특색이 있다는 걸 생각하면, 정말 몰랐을 가능성이 크죠. 이에 몽고군은 달군 쇠로 고문하며 물었지만, 변여는 끝내 모른다고 했습니다. 다만 수로가 몹시 험하다고 답했죠. 이후 이 공으로 그는 상장군에 제수됩니다.

나름 기세 좋게 해 보려던 살리타는 포기하고 배를 모조리 불태워 버립니다. 그리고 방침을 아예 바꿔버리죠. 고려 전체를 불태워서 고려왕이 나올 수밖에 없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때 강화도 공격을 포기한 후에 방침을 바꾼 것인지, 애초에 방침이 그것이었고 강화도는 찔러보기였는지는 알 수 없군요. 다만 이미 1000명의 별동대가 방화와 약탈만 일삼으며 빠른 속도로 남진하고 있었고, 살리타 역시 본대를 여러 개로 나누어 남진하며 초토화 작전을 시작한 것은 확실합니다.



11월, 살리타는 차근차근 남진하며 경기도 광주에 도착합니다. 왠만하면 공성을 하지 않으려 했던 그였지만, 요충지였던 광주성만은 지나칠 수 없었죠. 그래도 성 하나쯤인데 하면서 공격했겠습니다만... 광주성은 몇 일간에 걸친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냅니다. 당시 광주성을 지키던 목사 이세화는 1차 침략 당시 경상도 안찰사로 있었는데, 경상도군을 이끌고 몽고군을 잘 막아낸 공으로 광주목사에 임명된 상태였습니다. 그는 임기응변을 발휘하며 성을 지켰고, 살리타는 하릴없이 포위를 풀고 우회합니다. 귀주성의 악몽이 떠올랐을 것입니다.

+) 참고로 이 때 몽고군 장수 중에 오야이가 빠져 있습니다. 귀주성 때문에 미운털이 단단히 박힌 모양입니다. =_=;

광주를 우회한 살리타는 용인으로 향합니다. 용인에서도 병력과 백성들은 산성으로 피해 있었죠. 몽고군이 지나간 곳은 처인부곡, 천민들의 거주지였습니다. 그 곳에 처인성이 있었죠.

처인성, 그 둘레가 425m도 안 되는 아주 작은 토성입니다. 방어 목적으로 쓰기도 참 애매하죠. 때문에 이게 고려에서 쌓은 게 아닌 백제의 유산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이런 작은 규모와 정규군 및 일반 백성들이 아닌 천민들이 들어갔다는 것을 보면 이들은 그저 살려고 근처에 성 비슷한 곳을 찾아서 들어갔다고 해석해도 되겠죠.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freedom&page=1&sn1=on&divpage=6&sn=on&ss=off&sc=off&keyword=자이체프&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4677

이전에 자이체프님이 직접 답사를 갔다 오신 후 후기를 남기셨죠.

살리타가 보기에도 이 곳은 참 공격할 필요도 없는 곳이었습니다. 일개 천민들이 굳이 그들의 앞길을 막을 일은 없을 테니까요. 하지만 그는 처인성으로 향합니다. 처인성에 군량 창고가 있었다고 하네요.

애초에 상대도 안 되는 게임이었습니다. 군사훈련 같은 건 받아보지도 않았을 부곡민들, 딱히 대장도 없는 상황에서 몽고군이, 그것도 살리타가 이끄는 본군이 오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처인성에는 의외의 승려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 역시 피난 온 입장이었고, 몽고군이 처인성으로 향하자 성 안의 천민들은 그를 대장으로 추대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2/01/26 03:31
수정 아이콘
오늘도 여지없이 절단 신공 -_ㅜ 그래도 잘 읽었습니다. 점심먹고 지루할 시간에 감사합니다 ^^
눈시BBver.2
12/01/26 06:09
수정 아이콘
으흐흐 오늘 안에 다음 편 올릴테니 기다려주세요 >_<;;;
Montreoux
12/01/26 03:42
수정 아이콘
(개인글 죄송)
저.. 원래 노벨상도 안 부러워 하던 사람임 믿어주셈. 그놈의 감투나 다수가 인정하는게 뭐 대수라고 그리 길길이 뛰었는지.
울집놈 때문에 신경이 날카로웠나 봐요. 저의 눈시님 실망하지 마세요, 제가 있잖아요(어쩌라고;) 라고 위로드려도 모자랐을 판에.
지나고 보니 "뭐하자는 거냐!?" 소리가 절로 나왔써효. 용서하세요=,.=
재수반에 벌써 등록해서 5시에 일어나서 뺑이치고 있는 울집미친색히;가 눈시님께 전해 달래요.
형님 잘 읽고 있어요. 국사가 시험과목이라 머리 식히는데 도움 굉장히 된다고.
(제가 님글 긁어서 피엠피에 저장해주면 셔틀버스에서 읽습니다)
--------------------------

잘 읽었어요. M군도 꼭 전해 달래요. 눈시형님께 감사하대요.
12/01/26 04:45
수정 아이콘
거의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오겠네요. 이후는 그저 안습.

우리야 몽고에 당한 것이 많으니 심경이 복잡하지만, 몽고 입장에서는 우리를 식민지로 삼았던 것도 아니고 그냥 부마국을 삼았던 것이라서, 그쪽 역사책에는 고려가 몇 안되는 우방국으로 나온다더군요. 해서 한국인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몽고인이 해외 체류하는 국가를 인구 순으로 나열하면 중국, 러시아 다음이 뜬금없이 우리나라라고 하더군요. 돈을 벌어도 일본이 더 잘 벌릴텐데, 뭔가 동질감이 있나봅니다.

근데 지난 몇 년간 몽고 가서 천박한 짓 벌인 관광객이 하도 많아서 이제는 혐오 대상이라고... (이 모든 것은 엔하에 나온 이야기라서 신뢰성을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12/01/26 08:56
수정 아이콘
다음편에 스나이퍼 나오시는 건가요? 저도 고려,조선이 완전히 정복당하지 않고 계속 애매한 우방국으로 남는것이
참 신기하더군요. 완전히 정복해버리면 지리적 잇점도 챙기고 좋은 점이 많을텐데요.
제 생각으로는 완전정복 할 수도 있겠지만 관리의 어려움도 있고 희생도 크니까 적당히 구슬려서 우방으로 남기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자이체프
12/01/26 14:54
수정 아이콘
드디어 제가 답사를 갔던 곳이 나왔군요. 사실 평지에 길 옆에 있는 작은 성이라 피난 목적으로 쓰기에도 적당하지 않습니다. 영원산성같이 험난한 산속 같은데라면 모를까, 같이 가신 분들이 현장에서 토론을 했는데 성 규모에 비해 창고 건물이 크다는 점을 중시해서 일종의 '보급창고'라는 설이 대두되었습니다. 제 상상으로는 관리들과 군인들이 다 도망치고 일반백성들이 피난을 가기 전에 처인성의 창고에 가서 곡식을 가져오다가 남하하는 몽고군과 맞딱뜨린게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김윤후를 비롯한 일부 인원들이 성 밖에 나가서 지연전을 펼치다가 다음에 언급할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까 추측해봅니다.
가을독백
12/01/26 20:27
수정 아이콘
엇!우리동네!!에서 큰 승리가 있었군요. 으흐.
눈시님의 역사글 항상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좋은 역사서(?)를 써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582 [일반] 왜 한국만 유달리 압도적 초저출산율을 보여주는 걸까 [301] 나주꿀25173 21/02/24 25173 68
90581 [일반] 나사...이 참을 수 없는 너드들을 어찌할고... [14] 우주전쟁11917 21/02/24 11917 10
90580 [일반] 요즘은 웬만한 대학생보다 양아치가 나은 것 같아요. [82] 메디락스15416 21/02/24 15416 9
90579 [일반] 어제 테슬라 폭락에 관한 분석기사들을 읽고 화가 났음 [63] 단비아빠13246 21/02/24 13246 5
90578 [일반] [세계][인구]2100년 세계 인구 예측치 [21] 라이언 덕후9952 21/02/24 9952 2
90577 [일반] 지난해 출산율 0.84명 '역대 최저'…사상 첫 인구 자연감소 [281] 탐사수20886 21/02/24 20886 19
90576 [일반] [영화] 2020년 영화 베스트 21 / 기대작 5편 [11] azrock12448 21/02/24 12448 12
90575 [일반] 심인성 발기부전인거 같습니다. [44] 몽블랑집안18523 21/02/24 18523 9
90574 [일반] 사람 사는 이야기 [2] toheaven5359 21/02/24 5359 3
90573 [일반] 집단우울증에 걸린 대한민국 아닐까요?? [132] 챗셔아이19037 21/02/24 19037 78
90571 [일반] 기계 때문에 직업을 잃을지도 모르는 테니스 심판들... [50] 우주전쟁13686 21/02/23 13686 3
90570 [일반] 노들섬 산책 [8] 及時雨6496 21/02/23 6496 9
90569 [일반] 스포츠계 학폭논란을 보면서 든 나의 생각 [49] 난할수있다10544 21/02/23 10544 29
90568 [정치] 최재형 “대통령 공약은 수단-방법 안가려도 되나” [91] 미뉴잇12816 21/02/23 12816 0
90567 [일반] 비오는 날의 플라타너스 냄새를 아시나요? [9] 아스라이7319 21/02/23 7319 6
90566 [일반] 어제 있었던 화웨이의 신제품 발표회 [35] 나주꿀11616 21/02/23 11616 1
90565 [일반] 한국 대중문화에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한사람의 삶.JPG [12] insane14085 21/02/23 14085 10
90562 [정치] 투기세력이 신고가 조작?…알고보니... [39] 맥스훼인11920 21/02/23 11920 0
90561 [일반] 한국 사람에게 유용한 사이트 [4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076 21/02/23 11076 1
90560 [일반] 유명인사 1 인과 하루를 같이 보낼 수 있다면 누구를 초대하시겠습니까? [141] OrBef13006 21/02/23 13006 3
90559 [일반] 스코틀랜드 코로나 19 백신 1회 접종 결과 발표 [62] 여왕의심복14632 21/02/23 14632 31
90558 [일반] 미국 코로나19 누적사망자 50만명 돌파 [16] 타카이9081 21/02/23 9081 5
90557 [일반] 어머니 이야기 [11] 소이밀크러버7326 21/02/23 7326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