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1/02 15:07:57
Name kimbilly
Subject 2013년 GSL 차기 시즌을 위한 '2013 GSL 시즌1 승격/강등전' 본격 개막!
- 오는 1월 6일 오후 6시 일요일 승격강등전을 시작으로 2013 GSL 투어 시작
- 차기 시즌의 코드S 진입을 위한 마지막 관문으로 총 12명의 선수가 코드S에 진입
- 첫날 ‘리쌍록’ 이영호 선수와 이제동 선수의 경기로 개막전부터 뜨거운 관심 예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Blizzard Entertainment, Inc.)의 국내 e스포츠 및 방송 파트너사인 곰TV는 오는 1월 6일 ‘승격강등전’을 시작으로 2013년의 GSL 투어를 개막한다고 밝혔다. 승격강등전은 1월 6일부터 1월 11일까지 6일 동안 매일 오후 6시부터 서울 목동 곰TV 스튜디오에서 진행된다.

승격강등전은 차기 시즌의 코드S로 진출할 수 있는 마지막 관문으로 총 30명의 선수들이 6명씩 5개조로 나눠서 조별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며, 결과에 따라 각 조의 상위 2명은 코드S로 진출한다.

또한 차기 코드S의 출전이 확정된 최성훈(TSL_polt) 선수가 미국 유학을 결정하면서 공석이 된 한 장의 티켓과 함께 후원사 시드에 배정된 두 장의 티켓 중 한 장은 ‘스테파노’ 일리예스 사토우리 선수에게 배정됐으며, 나머지 한 장은 이번 승격강등전을 통해 선발한다. 이에 각 조의 1,2위 10명은 코드S에 진출하고, 각 조의 3위는 오는 1월 11일 금요일에 치러질 와일드카드전의 결과에 따라 두 명이 추가로 코드S에 진입, 총 12명이 차기 코드S에 진출한다.

이번 승격강등전에는 ‘HUK’ 크리스 로란줴(EG) 선수와 ‘Grubby’ 마누엘 쉔카이젠 선수가 승격강등전 시드를 배정받았으며, 차기 코드S시즌에는 프로토스 선수가 많지 않은 관계로 e스포츠 팬들이 프로토스의 선전을 기대하고 있다.

프로토스 선수는 최용화(LG-IM_Yonghwa_A조), 장민철(SK Gaming_MC_A조), 서성민(MVP_Vampire_A조), 조성호(STX_Trap_B조), 박현우(StarTale_Squirtle_B조), 강현우(LG-IM_First_C조), 마누엘 쉔카이젠(무소속_Grubby_C조), 크리스 로란줴(EG_HUK_E조) 등이 경기에 참가한다.

특히 1월 6일에 진행되는 Group A조 경기는 e스포츠 팬들이 ‘리쌍록’이라고 부르는 이영호(KT Rolster_flash)선수와 라이벌 이제동(EG_JD) 선수의 경기가 예정되어 있어 개막전부터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규복 곰TV 제작본부PD는, “오는 1월 6일 승격강등전을 시작으로 2013년 GSL 투어가 대단원의 막을 올리게 됐다. 이번 승격강등전에는 첫날 경기에 ‘리쌍록’ 이영호 선수와 이제동 선수가 출전이 예정되어 있어 차기 시즌의 진입을 위한 개막전부터 뜨거운 관심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 승격강등전의 시작과 함께 2013년에도 변함없는 관심과 시청을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승격강등전은 GSL 공식 홈페이지(http://gsl.gomtv.com)와 곰TV GSL 채널 (http://gsl.gomtv.com/vod)에서 생방송과 VOD로 시청 가능하다.

(제공 = 곰TV)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uninoProdigo
13/01/02 15:14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니 코드에이밖에 모르는 모 해설이 생각납니다 크크크 자날의 마지막 시즌인만큼 지금까지의 역사가 집대성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3/01/02 15:16
수정 아이콘
일단 리쌍은 둘다 최소한 3위안에는 들었으면 좋겠네요.... 두선수 모두 어려운승부가 되긴 하겠지만
NLostPsiki
13/01/02 15:23
수정 아이콘
흠... 외국 선수들이 별로 없나봐요...
어떤 강함이란 것은 그것을 증명해주는 상대방이 있을때 더 빛난다고 생각하는데, 외국 스2 수준이 그정도가 안되는거야 예전부터 그랬지만 시드 줄 사람이 없는것이 슬프기는 하네요.
JuninoProdigo
13/01/02 16:07
수정 아이콘
시드 줄만한 선수는 많죠. 스칼렛, 너치오가 바로 떠오르네요. 이 두 선수는 해외대회에서도 좋은 기량을 보여주고 지금까지 gsl 시드를 거절하고 있죠. 아무래도 스케쥴이 맞지 않을 수가 있어서요.

이외에도 마나, 센, 볼틱스 등도 코드에이 시드 정도는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실력자죠.

외국 선수들이 한국을 기피하는 건 아무래도 체류나 연습, 일정의 문제가 큰 것 같습니다. 이번에 스테파노가 온 것도 프로리그에 참가하는 겸으로 온 셈이니까요.
가루맨
13/01/02 17: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칼렛이 시드를 못 받는 게 아쉽네요.
그리고 최근 기량만 놓고 보면 너치오보다는 볼틱스가 나아 보입니다.
도움주는이
13/01/02 15:26
수정 아이콘
기대합니다. 리쌍록..대박매치네요. 재경기 무한루프 기대합니다.
13/01/02 15:49
수정 아이콘
블쟈컵 끝나고 gsl 경기가 없어서 심심했는데 드디어 시작하는군요!!
기대됩니다!!
Marionette
13/01/02 16:05
수정 아이콘
이번에야 말로 0시를 향하여 해봅시다!!

그나저나 스칼렛이 국내에 한달만 빨리 왔어도 후원사 시드를 받을 수 있었을텐데...
그게 아니라면 8게임단에 입단한 메이저선수나 EG-TL 로스터에 합류한 데무슬림도 후원사 시드 한번 고려해 볼만 했을텐데 말이죠
JuninoProdigo
13/01/02 16:09
수정 아이콘
데무슬림은 정말 줄만한 명분이 없죠. BWC 결선에도 못 왔으니... 코드에이 정도는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스칼렛은 좀 아쉬워요. 지금 한국에 들어와야 뭐라도 할 수 있는데 방한이 늦어지면 차라리 군심 연습을 하는 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하후돈
13/01/02 16:43
수정 아이콘
플레이xp 보니 메이저는 케스파 구단 입단할려다가 다시 루트 게이밍으로 돌아갔다고 하던데..아닌가요??
하후돈
13/01/02 16:42
수정 아이콘
승강전 정말 기대됩니다~!
그런데 GSL 시즌1 아직 스폰서가 결정안되었나요..??
얼른 스폰서도 발표해주었으면 좋겠어요~
캡틴리드
13/01/02 16:55
수정 아이콘
GSL스폰서는 항상 코드S 32강 첫경기 방송에서 발표됐었어요. (코드A먼저했을때는 코드A첫경기 방송에서 했고)
13/01/02 17:25
수정 아이콘
2013 시즌 부터 바뀐 것이 곰TV 추천 시드가 없어지고 와일드카드전이 생기는 군요. 일요일부터 승강전을 진행해서 이상하다고 생각 되었는데 금요일 까지 6일동안 진행되네요. 조3위가 의미가 없었는데 중요해 진 것이 조3위 5명중 2명은 코드 S로 가기 때문에 치열 할것 같습니다.
NLostPsiki
13/01/02 17:28
수정 아이콘
방식이 변경되었기 보다는 이번에 시드를 줄 사람이 없어서 이를 와카전으로 대체하는 듯합니다. 앞으로 줄 사람 있으면 줄거 같아요~
kimbilly
13/01/02 19:14
수정 아이콘
없어진게 아니라 2명 중에 1명만 주고 1명(+ 최성훈 선수로 인한 공석 1명)은 와일드카드전으로 뽑겠다는겁니다.
샤르미에티미
13/01/02 17:47
수정 아이콘
와카 전 때문에 더 재미있겠네요. 왠지 여기에도 협회 선수 한둘은 속할 것 같기도 하고요. A조는 치킨 두 마리 시켜놓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549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0499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1558 13
81676 [LOL] 현재 LPL 상황 [23] 포스트시즌5116 25/09/16 5116 1
81675 [오버워치] OWCS 2025 스테이지 3 3주차 리뷰 [2] Riina2084 25/09/16 2084 0
81674 [LOL] KT vs HLE 승자조 경기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98] 자유형다람쥐12225 25/09/15 12225 10
81673 [LOL] 이 와중에 LPL 상황 [22] 포스트시즌15672 25/09/14 15672 1
81672 [발로란트] T1 이겨줘.. [7] 김삼관8470 25/09/14 8470 0
81671 [LOL] [LCP] 2025 월즈에 올 베트남 팀이 결정되었습니다. [3] BitSae6974 25/09/14 6974 0
81670 [LOL] 아무것도 예상하지 마라, LCK 플레이오프 HLE vs T1 후기 [30] 하이퍼나이프10470 25/09/14 10470 4
81669 [LOL] T1 VS 한화생명 짧은 후기 (T1 부분만 김) [53] 별나그네8310 25/09/14 8310 4
81668 [뉴스] 한화 최인규 감독 "일주일 전부터 T1전 밴픽 준비했다" [18] EnergyFlow5289 25/09/14 5289 4
81667 [LOL] 2026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선발로 가는 관문 : 케스파컵 커밍순 [20] 아롱이다롱이4033 25/09/14 4033 0
81666 [발로란트] VCT 챔피언스 DRX. 유럽 1시드를 2대0으로 승리 [3] 말레우스1249 25/09/14 1249 1
81665 [LOL] LCK 레전드 - 라이즈 그룹 포맷의 빛과 어둠. [68] 포커페쑤5630 25/09/14 5630 2
81664 [LOL] KT 팬분들 오랜만에 리뷰방송 순회하셔야죠 (포니 강퀴 클템 명예5렙 쿠로 울프) [24] 스페셜위크8441 25/09/13 8441 7
81663 [LOL] 비디디: 한번도 다른 팀 생각해본 적 없다 [38] Leeka9036 25/09/13 9036 26
81662 [LOL] KT 이 미친팀아.. [3] seotaiji6213 25/09/13 6213 11
81661 [LOL] Per Aspera Ad Astra [26] Arcturus6718 25/09/13 6718 22
81660 [LOL] 이게 스포츠가 아닐까요. [58] 자유형다람쥐8240 25/09/13 8240 25
81659 [LOL] WWE가 아닌 UFC가 되어버린 내일 경기. 각 팀 상황 설명 [98] 매번같은7598 25/09/13 7598 7
81658 [LOL] 케이티 월즈 스위스 진출 확정!! 한티는 진출 확정이 아닙니다 [109] Leeka7989 25/09/13 7989 3
81657 [LOL] 와 여름이다 [19] roqur3960 25/09/13 3960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