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7/06/18 02:22:44
Name BeatlesChess
File #1 황제님.jpg (31.2 KB), Download : 29
출처 https://www.youtube.com/channel/UCN_A4JLn9kGaz4bMTSOhJBw
Subject [스타1] 임요환 온게임넷 스타리그 데뷔전 레전드 경기




전설의 시작..

임요환은 한빛소프트배 바로 전시즌인 프리챌배 예선에도 참가했었는데 이때는 같은 IS팀 선수인 이재항을 만나서 탈락했었습니다.
1차전에서는 임요환이 랜덤을 선택했는데 프로토스가 나와서 이겼습니다.
임요환의 원래 주종족이 프로토스였는데 즐겨 쓰던 리버가 패치로 바보가 되면서 테란으로 전향했다고 합니다.
아무튼 2차전에서는 테란으로 플레이했는데 패배했고
스코어 1대1 동률이 된 가운데 마지막 3차전이 시작될때 전날에 잠도 안 자고 연습한 피로탓인지 종족 선택 화면에서 어처구니 없게도 실수로 저그를 선택하는 바람에 허무하게 예선에서 탈락했죠.
뭐 그래도 바로 다음 시즌인 한빛소프트배에서는 예선을 6전 전승으로 통과하면서 마침내 온게임넷 스타리그 본선에 진출합니다.

임요환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첫 진출이었음에도 이미 테란의 대표 스타였죠.
임요환이 그동안 온게임넷과 유독 인연이 없을뿐 이미 다른 여타 대회에서 결승 진출과 우승을 수없이 하면서 이름을 날리고 있었습니다.
한빛소프트배 대회 시작 전에 16명의 참가 선수들끼리 누가 우승할것 같냐로 설문 조사를 했었는데
그 선수들 사이에서 우승 후보 1위로 뽑혔던 선수가 바로 임요환이었습니다.

이때는 온게임넷 스타리그뿐만 아니라 당시 기준으로 온게임넷 못지 않게 권위 있는 대회들이 무수히 많이 열리던 시기였고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열린 역사도 얼마 되지 않았던 때라 최강으로 인정 받는 선수들이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뒤늦게 모습을 보이는게 이상한일도 아니었고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참가하지 못했다고 하여 강자가 아닌게 아니었죠.

임요환과 비슷한 예로 당대 프로토스 최강 중 한명이었던 한방 토스 임성춘도 임요환과 마찬가지로 한빛소프트배가 온게임넷 스타리그 첫 진출이었으며 임요환, 김정민과 함께 테란을 대표하던 메카닉의 아버지 김대건조차도 한빛소프트배의 다다음시즌인 2001 SKY배에 이르러서야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처음으로 진출했으니까요.

근데 한빛소프트배가 재밌는게 시드 배정자인 기욤패트리와 국기봉을 제외하고 나머지 14명의 선수들은 모두 온게임넷 스타리그에 처음으로 진출하는 선수들이었다는겁니다.
시드 배정자를 제외한 나머지 선수들이 모두 대회 첫 진출인 경우는 한빛소프트배가 유일합니다.

임요환의 온게임넷 데뷔 상대였던 정완수 선수는 지금은 공인회계사에 종사하고 계시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산타아저씨
17/06/18 03:12
수정 아이콘
임 선수 정말 잘 생겼네요. 그냥 빛이 나는 듯..
카스가 아유무
17/06/18 04:41
수정 아이콘
저는 임요환선수 처음 봤을때가 그 게임 모드중에 본진이 하나라도 깨지면 게임이 끝나는 모드가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테프전에서 핵쏘고 핵떨어지기 전에 베슬로 이엠피쏴서 한방에 넥서스 터트려서 이긴 걸 봤습니다. 전 그 경기일줄 알고 들어왔는데 다른 경기네요 흐흐 아 방송이 아니라 스타리그군요.크
팩트폭격기
17/06/18 08:53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엽기대전이네요. 한빛소프트배 나오기 전에 그 대회도 임요환선수가 우승했죠.
17/06/18 19:39
수정 아이콘
그 모드 이름이 서든데스입니다.
승률대폭상승!
17/06/18 05:15
수정 아이콘
00년대 초반 당시 스타리그는 그런느낌이었죠. 각종 동네 스타리그 우승, pc방리그 우승, 준메이저급 온오프라인 대회우승자들이 치열하게 예선을 펼치고 올라가서 선수소개때 우승경력 나열하죠.

무림의 고수들이 대결할떄 문파명을 외치듯 당시 프로게이머들이 대결할때 자기가 우승한 pc방의 이름을 문파명삼아 그것을 걸고 싸우는 그런 느낌.
Juan Mata
17/06/18 17:42
수정 아이콘
요환이형 핵존잘
Love.of.Tears.
17/06/18 19:46
수정 아이콘
박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2848 [스타1] 역사 속 오늘 [17] MiracleKid6437 18/03/03 6437
312610 [스타1] 현 스타판 정세 [52] 성동구16522 17/09/14 16522
311693 [스타1] 임요환이 말하는 얼라이마인 [170] 우루오스20205 17/08/29 20205
309527 [스타1] ‘GG 않는 이야기’ 티저 영상 [4] VKRKO5516 17/07/22 5516
309488 [스타1] 정확히 10년이 지난. 역사에 남은 경기. [38] Asuna8782 17/07/21 8782
307484 [스타1] 임요환 온게임넷 스타리그 데뷔전 레전드 경기 [7] BeatlesChess8324 17/06/18 8324
307440 [스타1] 기욤패트리 vs 국기봉 FINAL 2000 온게임넷 스타리그 왕중왕전 결승 레전드 경기 [16] BeatlesChess7702 17/06/17 7702
303394 [스타1] 테란이 더 강해집니다 (오피셜) [72] 랜디존슨13464 17/03/26 13464
302243 [스타1] 여캠합방 [11] 천둥12808 17/03/06 12808
294065 [스타1] 역사의 길이 남을 2006 그랜드 파이널 영상.avi [17] 자전거도둑6133 16/10/17 6133
290957 [스타1] E-스포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jpg [22] 김치찌개9610 16/09/09 9610
288949 [스타1] 역사는 두 번 되풀이된다 [18] 똥꾼5297 16/08/22 5297
288596 [스타1] 테테전의 이영호라면 [10] Soul Tree6245 16/08/20 6245
287408 [스타1] 역사적인 스타리그 2000경기 [27] nuri5744 16/08/10 5744
285414 [스타1] 어쩌면 이영호의 커리어를 바꿨을지도 모르는 경기 [35] SKY928443 16/07/26 8443
285046 [스타1] 나름 아주 사소한 유종의 미 [7] 좋아요5879 16/07/23 5879
283870 [스타1] 갠적인 스1덕질 역사상 최고의 선봉대장 [23] 좋아요8125 16/07/15 8125
271351 [스타1] 프로리그 역사상 최강의 찍신강림 [18] 좋아요6296 16/04/11 6296
269035 [스타1] SKT1빠질 역사상 '리그시작전으로만치면' 최고의 리그 [9] 좋아요4573 16/03/25 4573
268420 [스타1] 개인적으로 덕질 역사상 가장 임팩트있었던 한문장 [20] 좋아요7730 16/03/20 7730
267787 [스타1] 벌써 8년 [21] SHIELD8761 16/03/15 8761
259820 [스타1] 에결에서 임이최 만난 이영호.avi [6] SKY924586 15/12/12 4586
259281 [스타1] 나름 이스포츠 역사에 중요한 경기였던 [31] 좋아요8232 15/12/07 82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