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14/10/27 11:06:17
Name OnlyJustForYou
Subject [스포츠] [스포츠] 한수진의 SBS전망대 - 김성근 감독 인터뷰 "꼴찌가 어디서 놀아요"
한수진의 SBS전망대 - 2014/10/27(월) 김성근 감독 (한화 이글스)
▶ 김성근 감독:
선수가 죽은 거 아니라 내가 죽은 거 아닌가 싶은데요(웃음).
▷ 한수진/사회자:
(웃음)감독님이 죽게 생겼다. 아니, 워낙 지옥 훈련으로 유명하시니까.
▶ 김성근 감독:
선수는 원래 김태균이나 정근우는 다 휴일인데, 어제부터 연습하기 시작했을걸요, 아마. 준비하기로.
▷ 한수진/사회자:
벌써 연습을 시작했다고요.
▶ 김성근 감독:
뭐 휴일을 하나도 안주려고 해요.
▷ 한수진/사회자:
휴일도 없이요. 감독님 지시사항인 거네요.
▶ 김성근 감독:
네.
▷ 한수진/사회자:
이제부터 이렇게 바로 연습 들어가야 된다, 휴일도 없다.
▶ 김성근 감독:
당연하죠, 꼴찌가 어디서 놀아요.
▷ 한수진/사회자:
아니 근데 벌서 취임식도 하기 전에 이렇게 강력한 지시를 내리셨군요.


다시 듣기 주소입니다.
http://radio.sbs.co.kr/gorealra/exe/GorealraPlayer.jsp?vod_id=V0000337960&podcast_id=pcastP0000002664

출처 : 엠팍 한게

김태균 신인시절 몸매 보나요 크크
한화팬은 시즌만 끝나면 신나네요. 내년엔 시즌 중에도 신났으면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0/27 11:07
수정 아이콘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kbotown2&mbsIdx=668561&cpage=1&mbsW=&select=&opt=&keyword=

이게 인터뷰 전문입니다. 으하하 애들좀 팍팍 굴려주세요 제발!! 우리 꼬꼬마애들 좀 제대로 컸으면 좋겠어요
노련한곰탱이
14/10/27 11:09
수정 아이콘
웰컴 투 헬
장어의심장
14/10/27 11:09
수정 아이콘
꼴어놀 크크크

올시즌 마지막 명언급이군요
낭만토스
14/10/27 11:12
수정 아이콘
가을 야구 가망 있으시답니다. 성큰피셜
가만히 손을 잡으
14/10/27 11:12
수정 아이콘
정근우...불쌍하지만, 다 너를 위한 거야. 크크.
로각좁
14/10/27 11:12
수정 아이콘
꼴어놀 크크크크크
정지연
14/10/27 11:13
수정 아이콘
크크 김태균 100kg 이하 몸무게를 볼 수 있는건가요
작은 아무무
14/10/27 11:14
수정 아이콘
꼴어놀 크크크크크크크크
14/10/27 11:15
수정 아이콘
탈꼴찌를 위해서 열심히 하시는 건 좋은데, 프로야구 선수들은 노동자가 아닌건가요?

언론에서 당당히 휴일도 없다고 선포할 수 있는 직업인 지 궁금하네요.

추가: 찾아보니 프로야구 선수도 개인 사업자가 아닌 노동자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있어왔군요.

야알못 입장에서 볼 때 김성근 감독님은 원칙을 중요시 하시는 것 처럼 보였는데(시즌 중에 감독 경질하는 팀엔 가지않는다), 이런 것들을 보면 별로 그렇지도 않은 모양이네요.
14/10/27 11:17
수정 아이콘
사용자 근로자 관계가 아니라 사업주 개인사업자 관계인걸로
14/10/27 11:23
수정 아이콘
네, 아직은 개인소득 사업자로 분류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관련 논문 및 조사들을 볼 때 꾸준히 노동자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포츠 활동이 근로인가? - 프로 스포츠 선수의 노동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h.html?dbGubun=SD&m201_id=10021871

한국프로야구 제도 및 선수인권 실태 토론회 중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7&ved=0CEIQFjAG&url=http%3A%2F%2Fcfile7.uf.tistory.com%2Fattach%2F116E10024B50B1790D6560&ei=2KpNVLvJG6e7mAXGi4DwCg&usg=AFQjCNEemFHN6tiqwv9oXUlfVipXkgc5QQ&sig2=-acYht-UJsUKxcKZQVmSXA&bvm=bv.77880786,d.dGY&cad=rjt

본인과 구단 간 계약관계에 대해, ‘구단에 소속된 피고용자이다’라는 응답이
71.3%로 ‘개인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개인사업자다’라는 응답 28.7%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남
올해기아우승이네
14/10/27 11:27
수정 아이콘
사실 근로자에 대한 판례법리 ( 임금을 목적, 용역의 제공, 종속적인 관계 )로 보자면 근로자로 볼 '여지'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1. 구단의 수익을 퍼센테이지로 나눠가지는 것이 아니라 고정급이 존재한다는 점
2. 코치진 등의 지시에 따라 훈련하는 시간이 존재한다는 점
3. 의무적인 훈련시간이 존재하며 의무적 훈련시간의 경우 구단에서 '지정'해준다는 점
4. 야구 유니폼이나 글러브, 야구공, 훈련장비 등을 자기의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을 구단에서 제공한다는 점

에서 종속적인 관계의 요소가 매우 많지요.

게다가 연봉 수령을 목적으로 구단에서 명령한 훈련 및 경기를 뛴다는 점은,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속성과 어느정도 부합합니다. 즉 법리상으로 보면 프로야구 선수는 근로자일 수 없다라고 무조건 단정짓기는 어려운 면이 있는 것이지요.

그러나.....

제가 알기로는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에서 프로선수를 근로자로 보지 않는다고 밝힌바가 있다고 하니(얼핏알기로 그렇습니다. 찾아보고 아니라면 수정하겠습니다 ㅠㅠ) 제가 이러한 논리를 펼친다 한들 아무의미 없지요......
14/10/27 11:31
수정 아이콘
네, 아직은 개인사업자로 분류되지만, 노동3권 등의 노동법의 보호를 받기 위해 노동자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 중인 것 같습니다.
14/10/27 12:11
수정 아이콘
물론 따지고 들어가면 그렇다는거지만 현실이 그렇다는 거지요

일본쪽에서도 아직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한거 같은데 한국에서 근로자로 인정받으려면 총파업 하던가(그럴리는 없겠지만)
일본쪽에서 근로자라고 나온 뒤에 또 한참을 기다려야겠지요
14/10/27 11:19
수정 아이콘
오 생각해보니 그러네요

노동법적용 된다면 악덕업주네요..

신개념적인 시선입니다.

그런면에서 보면 롯데 로이스터때는 훈련량도 적었다고 하는데

노동시간대비 효과가 좋은 상사였네요
14/10/27 11:25
수정 아이콘
'아직은' 법적으로는 개인사업자로 분류되는 것 같습니다.
OnlyJustForYou
14/10/27 11:22
수정 아이콘
개인사업자네 이런 건 말장난인 거 같고 휴일을 보장해주는 게 맞는 거긴 하지요.
근데 강제로 안 한다는 선수 시킬 거 같진 않고 선수, 코칭스태프 동의하에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시즌 후에 연봉으로 보장받다보니 선수들도 군말없이 따라가는 거 같고,,
14/10/27 11:26
수정 아이콘
저는 정확한 사실관계들을 잘 몰라서 판단이 어렵습니다.

계약 내용은 어떠한 지, 시즌 중에 휴일은 얼마나 있는지,

훈련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만약 강제성이 있다면 거절할 수 있는 분위기 인지 등이요.
OnlyJustForYou
14/10/27 11:27
수정 아이콘
아래 글곰님 댓글이 적당한 답이 되겠네요.
14/10/27 11:28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걸 고용 관계라 생각하면 전형적인 말장난이 되는 겁니다.
'내일 빨간날이지만 전원 출근하세요' 라는 상사의 말을 무시하고 배째라 할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겠으며,
'딱 1년만 월화수목금금금에 8시 출근, 11시 퇴근합시다. 대신 연말에 인센 화끈하게 챙겨줄게요' ...이거 정말 악몽 같은 상황 아닐까요?

물론 프로 선수들을 일반 직장과 비교할 순 없지만요.
애초에 근성이 일반인과 남다르니 프로가 됐겠죠(...)
OnlyJustForYou
14/10/27 11:32
수정 아이콘
아래 곰글님 댓글처럼 아예 휴식을 안 준다는 건 말이 안 되죠. 보장된 근무시간(훈련시간) 안에 최고로 굴려서 뽑아내겠다 뭐 그런 거 아닐까요.
14/10/27 11:33
수정 아이콘
여담에 가까운 이야기지만 선수들은 좀 사정이 특별한게... 아무리 빼어난 선수라도 근로할 수 있는 기간이 15~20년 수준이고, 실력이 미달하면 이십대 초반에도 쫓겨나서 백수가 되어버리는 직장이라서요. 그러다 보니 자발적인 초과근무를 해야 할 동기가 일반 직장인보다 훨씬 강하기도 하죠. 일단은 살아남아야 하고, 실력을 쌓아야 월급도 올라가는지라.
좋아요
14/10/27 11:23
수정 아이콘
훈련을 노동시간으로 인정할것인가가 쟁점이 되겠네요. 이런 경우엔
14/10/27 11:28
수정 아이콘
훈련을 인정안하는게 이상해보입니다. 인정하지 않는다면, 강제성이 전혀 없는 것이 되거든요.
14/10/27 11:42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의 교육도 노동은 아니지만 강제성은 있습니다.
훈련도 어느정도 자기자신을 위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순수 노동으로 보기에는 힘들것 같습니다.
14/10/27 12:35
수정 아이콘
학생은 우선 노동자로 분류하기에는 굉장히 멀고,

프로야구 선수의 훈련은 일반 직장인의 연수, 교육 등과 비교해야한다고 봅니다.

업무능력향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니까요.
14/10/27 12:40
수정 아이콘
업무능력향상이 상당히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곧바로 자신의 몸값 및 소득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공부하는 것과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교육과 거리가 있는 만큼이나 순수 노동과도 거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노동이 아니더라도 계약 형태에 따라 어느정도 강제성은 있을 수 있다 봅니다.
14/10/27 12:42
수정 아이콘
네, Deep님의 의견도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렇다면 제가 보기에 노동이냐 아니냐를 나누는 것은, 계약서 상에 (일정 시간 이상의) 훈련이 강제되는 부분이 있는 지라고 생각합니다.
핫초코
14/10/27 19:40
수정 아이콘
저는 노동자보단 고3에 비유하고싶네요.
나믿고 밤낮으로 공부(훈련)하면 꼴찌인 너를 스카이(선수커리어+연봉수직상승) 보내줄테니 이악물고 따라와.
14/10/27 22:39
수정 아이콘
고3은 "나 스카이 안가고 열심히 공부안할래." 라고 말할 수 있죠.

이렇게 말한다고 "그럼 너 학교 나오지마."라고 하 지는 않을테니.
핫초코
14/10/28 01:29
수정 아이콘
특별지도를 안하겠죠. 그래도 등용이 안되고 소속은 유지하잖아요.
실제 학교가 빡세서 못견디면 전학을 가든지 나오는게 답이고요.
14/10/27 11:23
수정 아이콘
저의 경우 휴일이 어디 있어는 실제로 하루도 못쉬게 하겠다기 보다는, 그만큼 열심히 훈련시키겠다라는 뜻으로 이해했습니다.
실제로 주 1회의 휴식도 안준다면, 또는 쉬라고 말은 하지만 자발적이 아닌 강제성에 의해 나올 수밖에 없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그건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14/10/27 11:26
수정 아이콘
훈련이 몸만 쓰는게 훈련이 아니니까요

그러니까 쉽게말하면 일주일 내내 지옥펑고 굴리고 하루 전술훈련 하고 다시 굴리겠다 이런게 아닌가 시프요.
14/10/27 11:23
수정 아이콘
휴일이 없다는건 일단 시즌종료 후 마무리훈련 들어가기 전에 관례적으로 주는 휴가기간이 없다는 이야기고요.
훈련때 휴일이 없는건 불가능합니다. 아주 널럴하게는 3일 훈련 1일 휴식, 아주 빡세게는 5일 훈련 1일 휴식으로 갑니다.

덧붙여 가끔씩 휴일인데도 선수가 훈련하러 나와서 코칭스태프가 말린다... 뭐 그런 기사가 나오곤 하는데 그거 사실입니다. 선수의 몸은 쇳덩이가 아니다 보니 무리하게 훈련하다가 부상을 당하면 선수 본인에게도 손해지만, 팀으로서도 손해니까요. 팀도 감독도 바보가 아닙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구단의 재산인 선수를 더 오래 써먹기 위해서라도 구단은 선수에게 일정한 휴식을 보장해 줍니다. 강제성에 대한 건 이걸로 어느 정도 답이 되었나 모르겠네요.
14/10/27 11:29
수정 아이콘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날돌고래
14/10/27 11:16
수정 아이콘
아 시원해!! 사이다 한사발 들이킨것 같네요
14/10/27 11:19
수정 아이콘
꼴어놀 당연한건데 아주 상쾌하네요 크크크 이기는 한화야구좀 봅시다!
End.of.journey
14/10/27 11:19
수정 아이콘
한화팬 하면서 설레발 자제하기가 이렇게 힘든 적은 처음이네요.... 흐흐.
14/10/27 11:20
수정 아이콘
크크크. 아~벌써부터 기대됩니다.
Dark and Mary(닭한마리)
14/10/27 11:22
수정 아이콘
꼴어놀!!
여성가족부
14/10/27 11:26
수정 아이콘
기아는 8위 했응께 하루만 놀아보게요
14/10/27 11:28
수정 아이콘
와 한화팬이라면 부푼가슴에 잠못이룰거같네요

담시즌이 저도 기대될정돕니다.

과연 어디까지 올라갈수있을것인가
OnlyJustForYou
14/10/27 11:29
수정 아이콘
당장 다음 시즌은 사실 큰 기대는 안하는 게 맞지 싶지만 패하더라도 납득할 수 있는 패배 그리고 시행착오를 겪은 후 그 착오에 대한 수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만 볼 수 있다면 내년은 팬들도 납득하지 싶어요..
그래도 한화 팬들은 내년 가을 야구 기대하겠죠 크크
14/10/27 11:31
수정 아이콘
엠팍가서 인터뷰 전문읽어봣는데 인터뷰만으로도 설렙니다

내년엔 한화를 응원하고 싶어집니다.

거기서도 약간의 자신감을 비추시더라구요 가을야구는 가능하지 않나 시프요..
OnlyJustForYou
14/10/27 11:33
수정 아이콘
사실 작년 정근우, 이용규 왔다고 14년 가을야구 한다라고 설레발 떨었던 것 보단 더 현실성이 있겠다 싶기도 하고 그러네요.
이번 FA 시장에도 돈 쓴다는데 어떻게 보강되냐가 핵심이 될 거 같네요 흐흐
14/10/27 11:35
수정 아이콘
주전급선수 한두명과 레전드 감독은 변화의 폭이 다르다고봅니다.

특히 상황마다 감독의 개입이 가능한 야구는 더더욱 감독이 중요하죠
DarkArmor
14/10/27 11:44
수정 아이콘
정근우는 몰라오 이용규 영입은 당장 +요인은 안될거라 생각했고... 이용규 부상에서 회복해서 수비도 나갈 수 있고 감독님까지 김성근 감독님으로 교체했으니 내년은 더 기대 할 수 있겠네요
14/10/27 11:28
수정 아이콘
"이길 자신이 없으면 들어가지를 못하죠. 제자라고 하는 것은 과거 이야기고 지금은 일선 나가면 똑같죠, 제자가 아니죠. 상대 적의 적장이죠, 다들."

이것도 진짜 멋지다 라고 생각합니다 .. 대단한 감독님입니다 진짜 ;
ChojjAReacH
14/10/27 11:30
수정 아이콘
크크크 꼴어놀
14/10/27 12:20
수정 아이콘
정근우 : 말년에 좀 편하게 지내나 했더니 부들부들...
직박구리
14/10/27 12:34
수정 아이콘
정근우 : 부들부들.....
조인성 : 덜덜....
순뎅순뎅
14/10/27 13:32
수정 아이콘
한화 선수단은 29일부터 일본 오키나와에서 마무리캠프를 열 예정이었다. 다른 팀도 그렇듯 젊은 선수들이 주축이 돼 가는 훈련이다. 올시즌 1군에서 주로 뛰었던 주축 선수 14명에겐 휴식의 시기였다. 하지만 김성근 감독은 31일까지 1군 주축선수들 전원 복귀를 명령했다.

가족들과 4박5일 해외여행을 떠날 준비를 하던 정근우는 결제까지 끝난 가족 해외여행 환불을 요청하였다.

아...
직박구리
14/10/27 13:51
수정 아이콘
으잌 크크크크크
무지방.우유
14/10/27 14:17
수정 아이콘
꼴어놀!!!!
14/10/27 14:26
수정 아이콘
김태균 몸짱행...
소독용 에탄올
14/10/27 16:10
수정 아이콘
안하던 훈련을 하다 부상->패망 경로만 아니면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22807 [스포츠] [스포츠] 한수진의 SBS전망대 - 김성근 감독 인터뷰 "꼴찌가 어디서 놀아요" [56] OnlyJustForYou9344 14/10/27 9344
222291 [스포츠] [스포츠] 이만수 감독의 차기 행선지는? [29] 8546 14/10/21 8546
222011 [스포츠] [스포츠] 한화 감독 선임에 대한 기자의 뇌피셜 [19] 키스도사6696 14/10/19 6696
221675 [스포츠] [스포츠] 2014 KBO MVP 후보 [23] 서건창4501 14/10/16 4501
221472 [스포츠] [스포츠] 이동국 옵사이드 관련 논란 종결..... [19] 이 분이 제 어머6894 14/10/14 6894
221158 [스포츠] [스포츠] 영혼이 실린 스트라이크.gif [16] 멀면 벙커링8543 14/10/12 8543
220835 [스포츠] [스포츠] 바르샤 유스 백승호의 골.GIF [12] 키스도사7842 14/10/09 7842
220832 [스포츠] [스포츠] 183일, 그리고 5할. [26] 키스도사7832 14/10/09 7832
219417 [스포츠] [스포츠] MLB는 너무 진부한 스토리를 쓰네요!! [23] Lightkwang4392 14/09/26 4392
219359 [스포츠] [스포츠] 난 한놈만 팬다. [7] 탱구와레오4852 14/09/25 4852
218017 [스포츠] [스포츠] 이중 가장 무서운 타자는? [37] 혼자라도6979 14/09/12 6979
217970 [스포츠] [스포츠] [MLB] 하부리그의 흔한 안타 [8] 찌질한대인배4368 14/09/12 4368
217118 [스포츠] [스포츠] 뽀샤시한 류현진.jpg [8] 톼르키7640 14/09/02 7640
216859 [스포츠] [스포츠] [야구] 한화가 잘나감을 보여주는 웹툰들(최훈,불암갑) [15] 여섯넷백7918 14/08/30 7918
216806 [스포츠] [스포츠] 오재영 부정투구 논란 [38] 라뱅7798 14/08/29 7798
216096 [스포츠] [스포츠] 클레이튼 커쇼의 부상 복귀 후 방어율 추이 [8] The Special One5631 14/08/22 5631
215866 [스포츠] [스포츠] [야구]4년간의 싸움 끝에... [24] 키스도사7070 14/08/20 7070
215650 [스포츠] [스포츠] 한국과자 양에 충격받은 유리베.jpg [7] 톼르키6657 14/08/18 6657
214914 [스포츠] [스포츠] [야구] 딱 2년전 넥센과... [8] 부처4459 14/08/10 4459
213614 [스포츠] [스포츠] 태풍의 눈 [20] 어리버리6399 14/07/28 6399
213273 [스포츠] [스포츠] 와도 자리없는 타자의 인생경기 [6] 김티모3268 14/07/25 3268
213020 [스포츠] [스포츠] 류현진 MLB진출 이후 최대 피해자.jpg [7] 표절작곡가7077 14/07/22 7077
212073 [스포츠] [스포츠] [펌] 경기후 메시가 팬카페에 남긴글 [14] Duvet8403 14/07/14 84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