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7/10 12:02:37
Name 카미트리아
File #1 1499648472_NxAXdEKO_IMG_2984.JPG (975.8 KB), Download : 45
File #2 Capture+_2017_07_10_11_51_19.png (2.85 MB), Download : 6
Link #1 https://brunch.co.kr/@minusseo/32
Subject [일반] 불법 도박, 불법 대출...교육은 어떻게...




학생들 사이에 퍼진 불법 토토 이야기는 가끔 들었는데...
불법 대출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초딩의 폰 결제 문제.
중고딩의 불법 대출과 불법 토토 문제..

결국은 돈이 무엇이고 어떻게 쓰고 운영해야 되냐의 문제인데요..
위에 뉴스에서도 나오지만
우리나라 공교육에 그런 건 알려주지 않죠..
저도 배운 적이 없고요..

솔직히 말하면
전 나이가 30대 중반이지만 돈관리 못합니다.
그래서 결혼하자 마자 장부 통장 인증서 다 넘기고
용돈 받아 쓰는데...

문제는 이제 슬슬 가르쳐야 한다는 거죠..
아직 어려서 당장 내일 가르쳐야 하는건 아니지만..
나도 모르고 못하는 걸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고민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0 12:20
수정 아이콘
최근 가상화폐시장이 과열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죠. 중학생 고등학생들도 사던데...
카미트리아
17/07/10 13:06
수정 아이콘
중고생도 사나요?
그건 상상도 못했는데..
그걸 정식으로 살수 있는 거였나요?
스타슈터
17/07/10 12:26
수정 아이콘
버릇이 무섭죠... 버릇을 고치는건 더더욱 어렵고요.

신용카드 같은 경우도 통장 잔고보다 더 많은 돈을 긁어대기 시작한 사람은 계속 그렇게 쓰게 되고, 월급을 저축없이 싹싹 긁어 쓰기 시작한 사람도 역시 계속 싹싹 긁어서 쓰게 됩니다. 저런 식으로 빌려서 쓰는 경우도 같겠죠.

유태인들은 아이들에게 돈과 경제에 관한 교육을 어려서부터 중요하게 가르친다는데, 그런 점은 정말 본받을만한 것 같습니다.
카미트리아
17/07/10 13:07
수정 아이콘
좋은 버릇을 어떻게 붙이냐가 정말 어렵죠..

유태인의 교육법이라도 찾아봐야할까요...
언어물리
17/07/10 12:32
수정 아이콘
실생활에서의 돈과 경제에 대한 교육은 필수라고 생각해요. 삶을 구성하는 하나의 필수요소이거든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2
수정 아이콘
필수인데 교육을 정식으로 받는 경우는 드문것 같아요.

경제와 법 교육은 국영수만큼 중요한 것 같은데..
가정 교육밖에 없는데..
알려줄만큼 잘 몰라서 문제네요
17/07/10 12:50
수정 아이콘
포커를 좋아해서 도박에 관련된 이야기 참 많이 들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 도박 참 좋아합니다. 그런데 좋아는 하는데 정말 못합니다.
솔이바보
17/07/10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포커하는 사람인데 반갑네요.
무무무무무무
17/07/10 12:51
수정 아이콘
아는 사람끼리야 저렇게 많이 한다지만 모르는 사람과 개인정보 까고 저러는 건 와....
17/07/10 12:58
수정 아이콘
사채꾼 우시지마
카미트리아
17/07/10 13:13
수정 아이콘
언제 보여주느냐가 문제네요
17/07/10 13:1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엔 쩐의전쟁이 있죠...
군령술사
17/07/10 13:00
수정 아이콘
다른 교육과 마찬가지로 경제교육 역시 일상 생활에서 습득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절약하는 습관이나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비하는 신중함 같은 것은 부모의 모범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인감도장과 사인의 무서움은 어렸을 때부터 각인을 시키는 게 좋은 것 같아요.
("보증서는 자식은 낳지도 말라더라"가 저희 어머니의 교육입니다. 크크크)
그리고 도박묵시록 카이지(도박하면 망한다), 사채꾼 우시지마(사채 쓰면 망한다), 검은 사기(사기 당하면 망한다)는 현대인의 생존 필독서가 아닌가 싶어요.
카미트리아
17/07/10 13:16
수정 아이콘
나 스스로가 돈 관리를 잘하는게 아니다 보니..
더 고민인 것 같아요..좋은 모델이 아니다 보니..

그 삼신기는 좋은 교재이긴 한데..
언제 보여주냐가 관건이네요
담배상품권
17/07/10 16:12
수정 아이콘
노동법/금융교육은 필수죠. 정말 공교육이 가르쳐주어야 하는건 답 맞춰서 성적 올리기가 아닌데 흠...
살려야한다
17/07/10 17:29
수정 아이콘
http://www.fss.or.kr/edu/main141.jsp

금융회사 지점과 1사 1교 금융교육 결연을 맺고 방문 교육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안 하는게 아니라 하는데 안 듣는거죠.
카미트리아
17/07/10 18:46
수정 아이콘
이건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이가 다니게 될 학교에도 있기를 바래야겠네요
서리한이굶주렸다
17/07/10 21:06
수정 아이콘
벌써 고리대금업을...
답이머얌
17/07/10 23:33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다 환경과 사연이 다르겠지만 전 마트가서 좀 이해안가거나 무서울 때가 있습니다.

10만원 정도 계산하면서 *개월 할부로 해주세요 라는 말을 들을때 마다 그렇습니다.

10만원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금액이지만 그 정도 금액을 *개월 할부로 돌리는 삶이라면 어느 순간 그 돌려막기가 틀어질 경우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설마 잔고가 충분한데도 재미로 또는 푼돈이지만 이자 몇 푼 아끼는 심리로 그런건 아니겠지요?

그런데 이런 말을 가끔 들으면 모르는데 정말 자주 봐서리...많은 사람들이 할부라는 것을 아주 부담없이 사용하는게 무섭더군요. 할부도 결국은 빚이니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04
수정 아이콘
무이자 할부는 안하면 손해라는 사람도 있더군요...
답이머얌
17/07/11 00:08
수정 아이콘
어떤게 이익인지 모르겠어요.

1) 무이자 할부 쓰면 카드 사용 포인트 없습니다. 보통 포인트는 0.5%쯤 되죠.

2) 무이자 할부 하면 기한의 이익을 얻습니다. 즉, 이자 비용을 줄이는 거죠. 안쓰고 남아있는 돈에 대해 이자가 붙긴 합니다만 연 0.2% 이자주는 통장에서 몇 개월 더 돈이 있다고 해서 이자 얼마 붙을까요?

정말 잔고가 충분한데도 위 두 가지 경우를 고려해서 무이자 할부가 더 이익이라고 생각해서 그러는 걸까요?
카미트리아
17/07/11 00:18
수정 아이콘
저도 이해는 못했습니다..

걍 이야기하다 저 말 나오고 끝났거든요.
다만 성향 고려했을때 그랬을지는 의문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794 [일반] 미국 역사상 최악의 식품오염사건 - 1993년 O157 집단발병 [47] metaljet11935 17/07/11 11935 22
72791 [일반] 자유한국당의 놀라운 혁신이 기대됩니다!!! [88] Neanderthal12733 17/07/11 12733 5
72788 [일반] 맥도날드가 최근 불거진 햄버거병 논란에 반박기사를 냈네요 [237] 군디츠마라16975 17/07/11 16975 7
72786 [일반] 홍익표 "이언주 발언 국민께 사과..공천 잘못한 민주당 책임".gisa [64] 몽유도원12504 17/07/11 12504 14
72782 [일반] '일진 참교육'드립, 마음이 아픕니다. [91] 서리한이굶주렸다13059 17/07/10 13059 17
72780 [일반] 안철수, 속초의 한 식당에서 발견 [134] 리얼리티즘22552 17/07/10 22552 3
72777 [일반] 한국욕에 대한 단상. [47] 삭제됨6844 17/07/10 6844 15
72774 [일반] 불법 도박, 불법 대출...교육은 어떻게... [22] 카미트리아5097 17/07/10 5097 1
72773 [일반] 중국,그리고 지나 호칭문제 [57] 삭제됨7864 17/07/10 7864 1
72772 [일반] CCM계의 신기원 [53] 미나가 최고다!8046 17/07/10 8046 1
72771 [일반] [국정원 'SNS 장악 보고서' 파문] “유명인·매체 총동원 국민 머릿속 바꿔라” 구체 계획 담아 [64] 황약사10246 17/07/10 10246 5
72763 [일반] NFL: 가끔은 가장 사악한 자가 사회의 정의를 이끈다 [26] 사장8401 17/07/09 8401 12
72757 [일반] KSOI 문재인 지지율 85.9%…국민의당 3.8(전라 3.5%) [83] Lv312461 17/07/09 12461 4
72734 [일반] 제보 조작' 이준서, 폭행 혐의 입건…영상 입수 [65] 삭제됨14380 17/07/08 14380 2
72718 [일반] 국민의당 지지율의 변화를 살펴보자 [63] 어리버리10487 17/07/07 10487 8
72717 [일반] 갤럽 문재인 지지율 83%, 정당지지율 국민의당 4% 최저경신 [124] Lv313950 17/07/07 13950 39
72716 [일반]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14조,매출 60조,영업이익률 23.3% [132] B와D사이의C11263 17/07/07 11263 3
72706 [일반] 베란다의 새끼 비둘기를 어떻게 처리할까요? [35] 콩탕망탕16449 17/07/06 16449 8
72695 [일반] 문재인 정부의 블라인드제와 지역인재 할당제 확대 [379] 전부수개표15487 17/07/05 15487 14
72676 [일반] 과학을 담당하는 장관으로 적절한가요? [358] 타임트래블14613 17/07/04 14613 19
72672 [일반] 북한의 중대발표: 北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4형 발사 성공" 발표 [242] 삭제됨12708 17/07/04 12708 2
72670 [일반] 인간이 특별하지 않다면 [48] 아수7356 17/07/04 7356 12
72666 [일반] 조지 오웰 1984 에 나오는 '이중사고' 이야기 [62] OrBef19557 17/07/04 19557 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