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10 00:24:28
Name 종이사진
File #1 FB_IMG_1433861629587.jpg (56.0 KB), Download : 54
Subject [일반] 독일 슈피겔 온라인 메인 화면을 차지한 대한민국.


제목 그대로 입니다.

독일어는 잘 모릅니다만,
[ 현재 의료기관 외에서 발병된 흔적은 없지만 전 사회적으로 굉장히 높은 수준의 대응(집단 휴교, 추적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메르스에 관해 밝혀진 사실이 많지 않아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
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얼마전 네이처에 실린, [한국은 잘하고 있다]는 내용하고는 시각의 차이가 보입니다.
물론 저널마다 논조의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만 적어도 한국의 대처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보편적인 시각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메르스가 완전히 제어되고 있지 않은 상황에 완치자가 나오니 어느정도 고비는 넘긴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만,
여전히 확진자와 사망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트릴비
15/06/10 00:30
수정 아이콘
1면을 차지했다는 표현은 좀 과장 섞인것 같네요
지면 신문의 타이틀 같은 느낌인줄 알았는데 그건 아니고 프론트 페이지에 나오는 기사들 중 하나군요 뭐 비중이 낮게 실린건 아닙니다만
종이사진
15/06/10 00:32
수정 아이콘
제목에 '온라인 1면'이라고 썼습니다만...
잘못된 표현일까요?
트릴비
15/06/10 00:34
수정 아이콘
보통 온라인 페이지를 1면이라고 쓰진 않으니까요 1면이라 하면 보통 종이신문의 대문짝만한 메인 기사가 떠오르기 마련이라..
뭐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종이사진
15/06/10 00:38
수정 아이콘
제가 사진 사이트를 자주 들러서인지,
온라인 페이지에 걸린 사진을 두고

'1면 등극'

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보통 그렇게 쓰진 않는다하시니 수정하겠습니다.
존 맥러플린
15/06/10 01:37
수정 아이콘
프론트페이지와 1면이 어떻게 다릅니까?
15/06/10 00:36
수정 아이콘
보통 메인을 장식했다, 메인에 올랐다 이러지 않나요?
온라인에 1면이라는 단어는 조금 어색합니다..
종이사진
15/06/10 00:39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15/06/10 00:38
수정 아이콘
온라인 메인에 떴다고 하시면 될듯요
종이사진
15/06/10 00:40
수정 아이콘
말씀대로 수정했습니다.
tannenbaum
15/06/10 00:54
수정 아이콘
1면이든 프론트든 메인이든 슈피겔 온라인에 한국 메르스 이슈가 비중있게 올라왔다 그말인거 같은데.....
중요한건 내용이 아닐런지요
존 맥러플린
15/06/10 01:39
수정 아이콘
1면이고 프론트고 메인이고 그게 중요한가요?
원숭이 사태가 트라우마가 된 듯 자꾸 생각이 나네요
표절작곡가
15/06/10 01:51
수정 아이콘
호흡기 마스크가 서울의 거리 풍경을 지배하며 사람들은 치명적일 수 있는 메르스바이러스를 두려워하고 있다. 약 100명의 한국인들이 감염되었다. 혹시 그들의 지인들이 검역기간에 격리될지 핸드폰은 확인될 수 밖에 없다(?)(참 매끄럽지 않는 직역입니다....ㅠㅠ)
서울 흐리스티오 보이체프 기자

대충 이렇게 해석되네요....
맞는지는 모릅니다....ㅠㅠ
15/06/10 01:53
수정 아이콘
이 정권 들어 코리아가 외신 온라인 첫페이지에 많이 보이죠....

윤창중 BBC온라인 1면이 진짜 대박이었죠
花樣年華
15/06/10 01:53
수정 아이콘
최선의 정치는 입방아에 오르지 않는 것이죠.

입막음만 만렙스킬 찍어놓았는데 왜 외신한테는 써먹질 못하니...
스타트
15/06/10 02:18
수정 아이콘
왜 항상 첫플부터 크게 중요하지 않은걸로 그럴까요? 본문에 대한 감상에 더해서 쓴다면 모를까.
피로링
15/06/10 02:52
수정 아이콘
인간의 슈퍼파워는 첫플을 다는 능력이죠.
지니팅커벨여행
15/06/10 06:59
수정 아이콘
국격과 선진화라는 말이 어느새 많이 쓰이는데 그걸 쓰자고 했던 놈들의 대응 수준이 지금의 상황이라는 게 참 슬프네요.
Galvatron
15/06/10 08:45
수정 아이콘
중국에 입국했던 분은 마중나오고 병원까지 데리고 간 중국직장동료한테 고소당할 예정이라고 하는거같던데...
저글링아빠
15/06/10 08:51
수정 아이콘
원문을 읽어봤는데 의학수준이 높은 한국에서 일어난 일이라 의아하다는 뉘앙스의 언급은 찾기 힘들어 보입니다.

애초에 특별한 기자의 논조가 없는 르포 기사구요.
내용을 요약하자면 현재 의료기관 외에서 발병된 흔적은 없지만 전 사회적으로 굉장히 강한 수준의 대응(집단 휴교, 추적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메르스에 관해 밝혀진 사실이 많지 않아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정도입니다.
중간에 정부가 병원에 관한 정보를 통제했으며 사람들이 SNS에 의존했고 언론들이 부정확한 정보를 앞다투어 다룬다는 취지의 단락은 있습니다만,
메르스에 관한 불확실성에 대한 부연 수준이지 그에 대한 비판적인 논조라고 보기는 어렵지 싶습니다.

원문 주소 답니다.
http://www.spiegel.de/gesundheit/diagnose/mers-virus-suedkorea-lebt-in-angst-vor-dem-erreger-a-1037890.html
15/06/10 10:01
수정 아이콘
원글자의 내용이 [의학적으로 높은 수준을 가진 한국에서 일어난 일이라 의아하다]로 본다면
중간 제목과 한 단락이 원글자의 내용으로 있긴하네요...

중간부분의 독어를 영문으로 바꿔 발췌하면..
Infektionen trotz hoher Standards => Infections despite high standards
South Korea is considered a country with a high standard of care. "Although we have good standards and protocols, but must also ensure that we comply with," said Kee-Jong Hong, director of the Institute Pasteur Korea. This was done not sufficient in this case. The instruction to the hospital staff to wash their hands, would follow only about two-thirds.

다만 저글링 아빠님께서 말씀하신데로 비난조의 기사는 아닙니다만...그 근거가 너무 한사람의 독자적인 의견만으로 이루어져 있네요..
현재 감염자수가 꽤 늘어난 상황인데, 과도하게 걱정한다는 투의 "One should not be too many to worry," 라는 말은 좀 이상한듯..
물론 주로 병원에서만 감염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close contact의 경우 이론적으로 얼마든지 병원외 감염이 가능합니다.
뭔가 앞위가 안맞는 기사라는 생각이 드네요..
저글링아빠
15/06/10 10:05
수정 아이콘
"의아하다"는 언급이 없으니 그런 내용이 없다는 겁니다. 게다가 원글자는 그것을 이 글 전체의 요약이라고까지 하셨지요. 아니라는 겁니다.
르포 기사에 대한 의견은 저와는 관련 없으니 -제가 글 쓴 기자도 아니고 그 기자의 말을 믿을 이유도 없구요- 노코멘트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건 어쨌든 원글 분이 인용하신 독일 슈피겔에서 다룬 메르스 관련 기사는 상황이 심각하다거나 의아하다거나 문제가 있다거나 대처가 잘못되고 있다는 취지의 기사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러니 언급하신 국격과도 무관하다고 보이구요.
15/06/10 10:13
수정 아이콘
한국의 의학수준은 높은데 왜 병원에서 저렇게 감염이 많이 되지? ==> 이게 의아하다라는 의미겠죠..
아랫부분의 글은 홍기종이라는 파스퇴르 디렉터의 말에 따르면 병원내의 기본적인 예방 수칙이 충분치 이뤄지지 않았다라는 의미니까
일종의 타박이라 볼수도 있겠네요..

아랫부분의 말은 제가 언급하지 않았으니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종이사진
15/06/10 11:12
수정 아이콘
독일어 실력이 부족해서 본문을 그렇게 썼네요.

좋은 지적 고맙습니다. 수정하지요.
트릴비
15/06/10 10:10
수정 아이콘
첫플 한 번 잘못 달았다가 원숭이 사태 트라우마라는 소리까지 듣게 되는군요 허
본문에 딱히 기사에 대한 전문 해석이 있는것도 아니고 저도 본문을 해석할만한 능력이 안되기도 해서 굳이 본문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을 뿐인데 슈퍼파워니 뭐니 별 소리를 다듣네요
up 테란
15/06/10 10:3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원숭이는 별의미 없는 제목에 테클을 단 것이고,
이글은 제목에 글쓴이의 의도가 강하게 느껴지니 정확한 제목을 지적할만하지요
뭐가 그리급해서 해석도 안해놓고 일단 퍼와서 까고보는건지.
종이사진
15/06/10 11:18
수정 아이콘
제 독일어 실력이 시원찮아서 벌어진 일입니다.
까고보자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었는데, 오해할만한 제목과 글을 써서 죄송합니다.
15/06/10 10:55
수정 아이콘
마지막 댓글.. 지금 한국에 있다는데 기침 몇번했다고 좀비 취급.. 한국분들을 존경하지만 5천만명 중 100명 걸렸는데 오버보도한다는거 같다는... 어떻게 보면 세상에 더 나쁜 것이 없다는 좋은 싸인이라는...

Ich befinde mich im Moment auf Geschaeftsreise in Seoul. Da ich mir letzte Woche eine leichte Erkaeltung eingefangen habe bin ich gelegentlich am Husten oder Schnaeuzen. Ich werde hier wie ein Zombie behandelt/angeguckt. Bei allem Respekt fuer die Koreaner, mit 100 Erkrankten (bei einer Population von 50.mio) die z.Z. auch in Behandlung/Quarantaene sind, man kann sich auch echt anstellen... Immer diese uebertriebene Berichterstattung. Gutes Zeichen dass sonst nix schlimmes in der Welt los ist...
DogSound-_-*
15/06/10 11:42
수정 아이콘
WHO 엠바렉 박사가 어느정도의 권위가 있는신분은 모르겠지만 그분의 말에 의하면 한국은 감염지속국가가 아니다라고 하더라구요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61005083213015
종이사진
15/06/10 12:58
수정 아이콘
이것도 재미있네요.

확진환자 2위인 국가가 감염지속국가는 아니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081 [일반] 메르스 (61세 환자분 어제 사망 평소 건강 기저질환 없음) [55] Vibe10579 15/06/15 10579 2
59080 [일반] 새누리 김용태 “‘메르스 대응’…박원순은 성공했고, 정부는 실패” [40] 김테란11437 15/06/15 11437 5
59075 [일반] 해괴한 청와대 서면 브리핑 [100] 어강됴리13314 15/06/15 13314 20
59073 [일반] 메르스에 묻힌 사건들이란 게시물을 봤습니다. [76] 쏠이8069 15/06/15 8069 16
59047 [일반] 메르스와 Risk Communication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95] 여왕의심복10795 15/06/14 10795 30
59023 [일반] 대한민국 메르스 발생 관련 몇 가지 보도 [38] The xian6744 15/06/13 6744 0
59022 [일반] 어떤 사람의 발언을 소개합니다. (feat. 내가도지산데) [28] 덴드로븀6562 15/06/13 6562 0
59006 [일반] 현재 메르스 역학조사 중인 예방의학교수의 메르스 평가 [66] 삭제됨12444 15/06/12 12444 6
58995 [일반] 요즘 글들을 읽으면서 느낀 불편한 부분 + 부탁.. [37] 마티치5806 15/06/12 5806 44
58993 [일반] 꼭 죽도록 아파야 약을 사먹고 병원을 가야하나요. [34] CoMbI CoLa6666 15/06/11 6666 2
58985 [일반] 한국 언론은 과연 '천재소녀'를 욕 할 자격이 있는가? [57] 마빠이9149 15/06/11 9149 8
58980 [일반]  [추가] 메르스 감염 삼성서울병원 의사 위독한 상태 [285] 아리마스21642 15/06/11 21642 1
58973 [일반] 메르스 환자들의 거짓말 [121] 야율아보기12675 15/06/11 12675 2
58969 [일반] 정부 즉각대응팀 "메르스 확산 진정세 확률 엄대엄"(속보) [69] 삭제됨9255 15/06/11 9255 1
58965 [일반] 실명·핸드폰·집주소…서울시 '메르스 격리자' 정보유출 [39] 토다기7607 15/06/11 7607 0
58956 [일반] [펌] 메르스와 박원순 [378] 절름발이이리16601 15/06/10 16601 24
58936 [일반] 약국 단상#1 [29] 황금동불장갑4523 15/06/10 4523 8
58929 [일반] 독일 슈피겔 온라인 메인 화면을 차지한 대한민국. [29] 종이사진9640 15/06/10 9640 3
58928 [일반] 메르스에 가려서 은근히 조용한 가뭄 문제 [64] swordfish-72만세10225 15/06/09 10225 9
58919 [일반] 서울시 공무원 시험을 강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188] ArcanumToss12466 15/06/09 12466 2
58907 [일반] 내각제 개헌? [66] Kngl7520 15/06/09 7520 2
58902 [일반] [단상] 국가관리 기능의 마비 [5] aurelius3431 15/06/09 3431 4
58888 [일반] 박근혜 대통령의 리더쉽 스타일 [85] 마빠이10621 15/06/08 10621 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