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8 08:11:56
Name The xian
Subject [일반] 아침부터 먹먹해지지만, 알아야 하는 메르스 진행상황.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7644900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24596142&oid=469&aid=0000067914

오늘 아침 보건복지부 발표에 의하면 메르스 확진자가 23명 늘어 전체 환자 수가 87명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이렇게 확진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데에는 보건당국의 어처구니없는 조치와 병원간의 메르스 정보에 대한 공유 부재가 일을 키운 원인이라는 사실도 또 다시 드러났습니다.

삼성서울병원의 브리핑에 의하면. 14번 환자가 옮겨졌을 때 이 환자의 메르스 환자 접촉여부 사실을 몰랐기 때문에 메르스 환자로 볼 수 없었다고 했지만, 보건당국이 14번 환자에게 메르스 감염 의심환자라고 통보하고 이 사실을 14번 환자가 병원 측에 알린 다음에야 격리 및 소독 조치가 이루어졌다는 것이지요. 이러면 방역을 하고 추적조사를 한들 들이는 노력에 비해 성과는 성과대로 없고 환자는 더 퍼질 수밖에 없는 일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적어도 첫 병원부터, 첫 환자부터 관리가 제대로 되고 정보 공유가 제대로 되었다면 이런 문제가 발생했을지는 의문입니다. 이미 시흥, 순창, 김제, 용인, 부산 등에서 확진자 또는 양성자가 나왔다는 보도가 속속 나오고 있고, 얼마나 더 늘어날지 모르겠습니다.

메르스의 실제 치사율이 40%가 아니라 독감 수준이라 한들, 공기감염이 안 된다고 말한들, 이런 식으로 보건 및 방역에 대한 구멍이 뻥뻥 뚫려버리면 불안한 것은 국민들입니다. 전국의 약국에서 마스크와 손소독제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게 단순한 조심 차원일까요, 아니면 언론이나 어떤 불순한 누군가에 의한 광풍이나 선동일까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선동과 소란의 몸통은 언론도 아니고 유언비어를 퍼뜨린 누군가도 아니고, 다름아닌 대한민국 정부와 보건당국입니다. 정부와 보건당국이 계속 헛소리를 하고, 거짓말을 퍼뜨리고, 오보를 내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지 못하여 국민을 안심시키지 못하고 지켜주지 못하고 있으니 국민들은 자기 살 길을 찾아야 하겠고, 그러니 이 난리가 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공무원들은 선출직이건 임명직이건 국민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내놓을 의무가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들도 사람인데 실수할 수 있지 하는 듣기 편한 소리는 근본적인 일처리가 제대로 되었는데 어쩔 수 없는 피해가 발생했을 때나 쓸 말이지, 기본도 지킬 줄 모르고 되레 예전 사례보다 퇴보한 행동으로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무능한 행동을 하는 권력 도둑, 세금 도둑들에게 쓸 말이 아니지요. 사스 유행 시의 전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전례보다 훨씬 퇴보한 조치로 논란과 혼란을 자초하고 있는 보건당국 및 정부에게는 욕설을 내뱉을 기운조차 아깝습니다.

옛 말에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말이 있는데. 이젠 가래로도 못 막게 생겼습니다. 에휴.


- The xian -

P.S. 덤으로. 대한민국은 세계 2위 메르스 발병국가라는 불명예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국격에 심각한 타격이라는 사실. 알려나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프리프
15/06/08 08:15
수정 아이콘
장관부터가 좋은 교훈운운하면서 끝난일 취급하는대 당연한 결과죠 씁슬합니다...
15/06/08 08:21
수정 아이콘
이왕에 할거면 1위하자는게 목표일까요? 하아
15/06/08 08:22
수정 아이콘
3~4백명까진 금방 늘겠다는 생각을 하네요.
15/06/08 08:24
수정 아이콘
지금도 제대로된 대처가 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요... 원외 감염도 우려되는 상황이고.. 위에 있는 사람이 감염우려가있으면 제대로 대처하지 싶네요.
IntiFadA
15/06/08 08:25
수정 아이콘
낙타도 없는 나라가 콩리아라니... ㅠㅠ
고무신
15/06/08 08:27
수정 아이콘
이속도라면 1위도 위협할만 하다 생각합니다...
귀가작은아이
15/06/08 08:28
수정 아이콘
좋은 교훈 얻었다고 하지 않습니까.
학을 뗐어요....
쑤이에
15/06/08 08:3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참 좋아하는 것 있잖아요, 세계최고 세계최초... 최초는 안되니 최고가 될려난 모양입니다. 씁쓸하네요
영혼의공원
15/06/08 08:32
수정 아이콘
어제 밤 딸아이 학교 선생님으로 부터 긴급 문자가 오더군요 "지난주 부터 휴업하던걸 이번주에도 연장 됩니다" 8살 아이한테 머라고 설명해야 할지 ....
다행이 아이엄마가 육아휴직 상태라 집에 있지만 그렇지 못해서 학교로 보내야 하는 집들은 얼마나 불안하고 원망스러울지 걱정입니다.
15/06/08 08:37
수정 아이콘
분명 심각해지는 건 맞는데
자꾸 들으니까 면역 되서 별거 아닌 거 같다고 느끼는 중입니다.

이러면 안되는데 ;;;
ridewitme
15/06/08 08:38
수정 아이콘
87명, 말이 87명이지요. 사실은 3287명째 감염자쯤 되지 않을까 싶네요.
건이강이별이
15/06/08 08:38
수정 아이콘
지방이라 그래도 좀 먼일이라 생각했는데 이제 제 생활권 내에 들어왔더라구요.....
초기에 하는 것들 보며 더이상의 감염은 없네, 3차 감염자는 절대 없네. 이런 소리가 다 개소리로 밝혀지면서
"이거 여기까지 올수도 있겟는데?" 했는데..
이런 예상은 슬프게도 틀리지 않아..
15/06/08 08:43
수정 아이콘
현재 병원밖에서 감염 사람도 있는건가요?
개념은?
15/06/08 08:47
수정 아이콘
아직은 없다고는 하네요. 근데 이쯤되면 밖에 감염된 사람이 없는게 더 신기한듯...
15/06/08 08:53
수정 아이콘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기는한데 원외 감염 없이 이정도라니 역대급이기는하네요.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여주는 비범함이네요.
15/06/08 09:55
수정 아이콘
네이처 말이 맞나보네요.
지르콘
15/06/08 08:48
수정 아이콘
초기 대응이 개판이었는데 괴담이라고 우길때부터 불안하긴 했죠.
15/06/08 08:48
수정 아이콘
이미 정부는한번 거짓말을했는데 이또한 정확한사실이 아닐수도있겠다라는생각을해보게 되네요
불신지옥이 지금 이순간일겁니다
llAnotherll
15/06/08 08:51
수정 아이콘
http://media.daum.net/society/welfare/newsview?newsid=20150606065906597&RIGHT_REPLY=R7
http://www.ajunews.com/view/20150607140505914

변이해서 더 잘퍼졌다.. 라는 변명은 현재로써는 힘들것 같습니다. 전에 있던 이야기는
'이렇게까지 잘퍼지다니.. 변이한거 아냐?' 정도의 추측이었던것 같고.
치즈맛도리토스
15/06/08 08:52
수정 아이콘
네이쳐가 온라인 판으로 메르스 관련해서 기사 낸것이 있는데 돌아가는 꼴을 보니 상당히 신빙성이 있어 보입니다.
요지는 메르스 환자의 호흡곤란으로 삽관 등의 조치 때문에 병원에서만 잘 걸리고 일상에서는 잘 퍼지지 않는 병이다라는 내용입니다.
http://www.nature.com/news/south-korean-mers-outbreak-is-not-a-global-threat-1.17709
http://media.daum.net/society/all/newsview?newsid=20150606110309027
llAnotherll
15/06/08 08:52
수정 아이콘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0608044609337
[단독]정부 '병원 밖 감염' 없다더니, 평택 폐렴환자 메르스 검사한다

중증 폐렴환자·신장질환자 등으로 검사대상자 확대 공문 내려 보내
"100% 병원 감염" 대외 언급과 달리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 이미 열어 둬
15/06/08 09:02
수정 아이콘
이건 깔 일은 아니고 진작 준비하고 이번 발표때 미리 이야기 했어야 한다고 봅니다. 괴잉대응이라고 보지만 만일에 하나가 있으니까요.
llAnotherll
15/06/08 09:04
수정 아이콘
그렇죠 가능성은 열어두는게 맞겠죠
딱히 깔려고 가져온건 아니었습니다.
전소된사랑
15/06/08 09:03
수정 아이콘
참 답답하네요. '병원 밖 감염은 없지만 일말의 가능성이라도 차단하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한 검사를 진행하겠다' 정도로만 얘기해도 웬만한 사람들이면 이해할겁니다. 오히려 이제라도 해야 할 일은 제대로 하는구나라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말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의도라 하더라도 이런 식으로 하면 앞에서는 큰소리 땅땅 쳐놓고 뒤에 가서는 쫄려하는 걸로 밖에 안보입니다.
김연우
15/06/08 09:04
수정 아이콘
저도 이 기사를 읽었는데, 제목과 달리 깔건 아니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히려 반대로 진작 했어야 할 일인거 같아요. 좀 오버해서 투자해서 호미로 막을것 가래로 막개 안하는게 좋은거 같아서요.
켈로그김
15/06/08 09:04
수정 아이콘
김제에도 1차 양성자 떴다네요.
이러면 안되는걸 알지만.. 오늘 한가할거라고 생각하니 내심 기쁜 것도 사실..;;;
단약선인
15/06/08 10:09
수정 아이콘
장난 아니게 한가합니다. 님 말씀 듣고 기뻐하기로 했습니다.
켈로그김
15/06/08 10:25
수정 아이콘
근데 장난 아니게 바쁘네요 ㅡㅡ;;
...소아과는 예외인가 봅니다;;
스키너
15/06/08 13:07
수정 아이콘
내과도 바쁘네요;;;
귀가작은아이
15/06/08 09:06
수정 아이콘
관련 글을 쓸까 하다가, 댓글화 하는 게 왠지 pgr의 기조(?) 인 것 같아 댓글로 씁니다. ^^

결론부터 말하자면 저는 오늘 출근하다가 전수조사;를 당했습니다. 크크크

제가 일하는 대학병원에서는 출입문을 2개만 남기고 전부 폐쇄했는데,

그 2개 출입문에 직원을 3명씩 배치해서 내원객 전부에게 알콜젤로 손소독 시키고 열감지 카메라로 한명한명 확인후 들여보내더군요

(병원 입구에 뭔 줄이 이렇게 늘어섰나.....하고 봤더니... 아주 진풍경이었지요)

근데 그나마도 자기들끼리 커뮤니케이션이 안돼서 우왕좌왕 허둥지둥 해가며...


메르스 첫 확진자가 나온것이 5월 20일이죠?

21일, 늦어도 22~23일에는 했어야 할 방역을...

그로부터 어언 2주 이상이 흐른 6월 8일 오늘에서야 하고 있어요.

메르스의 공포는 조금 수그러든 듯 합니다만... (처음에는 뭐야 무서워 걸리면 죽는거야? 패닉이었던...)

정부의 대처는 정말 제가 알고 있는 모든 욕을 갖다 붙여서 쏴주고 싶을 정도입니다.

아, 그리고 [메르스 환자 내원시 지침] 이 직원들에게 하달된 것은 6월 4일 경입니다.

어휴..
엔하위키
15/06/08 09:06
수정 아이콘
젊은층은 잘 안걸린다고 하니 걱정되진 않는데, 저희 부모님이 걸릴까봐 걱정이네요. 하루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5/06/08 09:10
수정 아이콘
거 1위가 어디요? 금방 따라잡아 주겠어~!
아아~~국격이 상승하고있어~~~
프로아갤러
15/06/08 09:11
수정 아이콘
박근혜 정부는 세월호에 이어서 연타석으로 환상적인 일처리 보여주네요
15/06/08 09:13
수정 아이콘
http://www.who.int/csr/disease/swineflu/GlobalSubnationalMaster_20090503_1630_lrg.jpg?ua=1
미국도 2009년에 국격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군요.
BakkyFan
15/06/08 09:28
수정 아이콘
국격이라는게 전염병이 퍼진다고 깍이는게아니죠.
막을수 있는걸 독재후진국 코스프레 하다가 뻥뻥 뚫리면 국격이 깍이는거고
(ex. 한국의 훌륭한 의료체제를 가지고 전염성도 낮은 메르스에 영혼까지 털림)
할만큼 했는데 전염성이 높으면 어쩔수 없는거죠
절름발이이리
15/06/08 10:36
수정 아이콘
한국의 의료체계가 훌륭하다라고 평가 받는 부분은 싼 금액에 양질의 의료를 받을 수 있어서지, '제대로 된 (돈이 드는) 치료'를 받기엔 오히려 부족함이 많고, 특히 이번 메르스의 경우 다인실 체제/가족이 간호(결국 이게 돈이 드는 제대로 된 치료를 못해서 나오는 문제입니다)로 인해 확산된 면모가 큰걸 감안하면 오히려 메르스 같은 전염병엔 취약한 체계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아수라발발타
15/06/08 12:21
수정 아이콘
체계가 어떻든 한국 정도의 압도적인 의료인프라가 있는 나라에서 전염병에 취약하다는건 말도 안됩니다
절름발이이리
15/06/08 12:30
수정 아이콘
한국의 의료인프라는 그다지 압도적이지도 않다고 보는데요. 앞서 말했듯이 싼 값에 중하지 않은 병 진료받는데에만 훌륭하죠.
아수라발발타
15/06/09 13:22
수정 아이콘
더 알아보니 그다지 압도적이지 않군요... 제가 잘못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의사 한분의 코멘트이지만 메르스정도를 관리할 의료인력이나 인프라는 충분하다고 하시더군요
솔로10년차
15/06/08 09:57
수정 아이콘
국격에 타격을 입은 건 사실이죠. 뭘.
국격이란 게 여러가지 면에서 평가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BakkyFan
15/06/08 10:05
수정 아이콘
[심각한타격] 인지는 의구심이 드네요.
솔로10년차
15/06/08 10:07
수정 아이콘
기준에 따라 다르죠. 종합평가면에서야 일본처럼 원자력발전소를 감당하지 못하는 정도가 아니면 큰 타격이 아니겠죠.
하지만 방역이라는 측면에서는 심각한 타격을 입겠죠. 그 쪽 관계자들에겐 국격에 심각한 타격을 입는 거죠.
15/06/08 10:45
수정 아이콘
국격까지는 잘 모르겠고, 관광산업과 국내소비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확실하네요.

한국관광공사 曰 "지난 4일 현재 우리나라 여행을 포기한 외국인은 2만600명으로 전날의 1만1800명보다 74.6% 늘어났다."

한국도로공사 曰 "6일 수도권 6대 톨게이트(서울 동서울 서서울 군자 서시흥 남양주)를 이용해 드나든 차량은 74만7574대로 지난달 30일 78만3671대에 비해 4.6% 줄었다. 2주 전 토요일인 지난달 23일 통행량(86만7766대)과 비교하면 13.9% 감소했다."

놀이공원 관계자 曰 "난 주말엔 평소 주말보다 입장객이 40~50% 이상 줄었다"

영화진흥위원회 曰 "지난 6일 전국 극장 관객은 68만7872명으로 메르스 공포가 덜했던 1주일 전인 지난달 30일(85만1251명)에 비해 19.2% 감소했다."

유통업계 曰 "롯데·현대·신세계백화점의 지난 1~6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8.7% 줄었다. 같은 기간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마트의 매출도 12~12.4% 감소했다."
End.of.journey
15/06/08 10:03
수정 아이콘
질병 통제 못했다고 국격 떨어진다는 게 아니죠. 뭐 좀 떨어졌기는 했을테지만 지금 한국만 할까요.
제시하신 신종플루 자료같이... 전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질병이라면 이해라도 할 수 있어요. 이 땐 전세계가 난리였죠.
미국이고 유럽이고 국가 시스템만으로 감당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죠. 한국도 마찬가지였고....
신종플루가 원래 멕시코에서 발생한 질병이다보니, 상대적으로 미국 피해가 클 수 밖에 없기도 했었죠.

그런데 메르스는 아니잖아요. 중동 몇개국 제외하면 모두 5명 안쪽으로 통제하고 있는데 한국은....
남들은 잘 하는데 우리만 엉망일 때 국격이 떨어지는 거지, 남들도 나도 다 불가능한 거면 국격 떨어질 게 뭐 있나요.
FastVulture
15/06/08 10:12
수정 아이콘
그냥 어제부터 자꾸 미국 사례로 물타기하시더군요.
15/06/08 11:18
수정 아이콘
국가 기관이라는게 님이 생각하는것처럼 슈퍼맨이 아닙니다. 이런식이면 교통사고도 국가가 도로설계 잘못한 책임이 있고 흡연으로 매년 몇만명씩 폐암으로 죽어나가는것도 금연 캠페인을 제대로 벌이지 못한 국가 잘못이네요 안그런가요?
제가 미국 사례로 든것은 그나마 선진국의 국가 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최대한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비교하라는 의미였구요 물타기 의도는 없습니다.
FastVulture
15/06/08 11:28
수정 아이콘
아니 교통사고랑 흡연이 여기서 왜 나옵니까 -_- 교통사고랑 흡연이 유행할 수 있는, 방역 잘하면 막을 수 있는 질병입니까?
막을 수 있는걸 못 막으니까 문제죠
그리고 무슨 비교할만한걸 가져와서 비교해야죠(사스 같은)
이상한걸 가져와서 비교하는걸 우리는 물타기라 부르죠

위에서 다른 분이 쓰신 건 안보입니까 신종플루는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난리였고, 미국은 멕시코 바로 옆에 붙어있었으며
이번과 비교할만한, 사스 때는 우리나라 잘 막았잖아요
막을 수 있는걸 정부가 대처를 개판으로 하니까(정부도 인정했죠) 이 꼴이 난건데
정부 잘못은 하나도 안보이시나봐요.

의도가 없다고 본인이 주장하실지라도 자꾸 그런식으로 '우리만 못한게 아님 미국도 엉망이었음' 이라고 하면
다들 물타기라고 볼 수 밖에 없어요 -_- 그런게 물타기가 아니면 대체 뭐가 물타기입니까
바위처럼
15/06/08 11:48
수정 아이콘
전염병이 국가가 열심히 나선다고 무조건 막을수있고 그런 성질의 것도 아닙니다. 이번 사례가 국가 방역시스템+국내의료환경 취약점이 겹쳐진 사례긴 하지만요. 애시당초 전염병 방역에는 수많은 기본권침해가 필요한데 (병을 지닌당사자와 가족에대한, 사적재산권을지닌 병원에대한, 의료서비스인에대한 등등) 민주주의가 확립된 선진국일수록 이런 국가주도적 행위가 쉽지않습니다. 초기에 과하면 비민주적이라고 비판도 많이받고요. 이번케이스가 확산이 늘어나다보니 결과론적으로 더 빡세게했어야 같은 주장이 힘을 얻을 뿐이고요. 사스당시에도 꽤 비판이있었습니다.
국가의 행정과정이 상당한 하자를 지니긴 했습니다만, 전염병이라는게 인간의 의도대로 100퍼 관리가능한 재난은 아닙니다. 이번 대처가 미흡한건 사실이지만요.
15/06/08 11:41
수정 아이콘
국가가 도로설계 잘못했으면 당연히 국가 잘못 맞는데요. 영조물 설치 및 관리상의 하자로 인한 교통사고는 국가에서 보상해주라고 법에 나와있는데, 국가책임이 아니라니 이거이거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갑자기 세금 내기 싫어지는군요.

금연 캠페인 제대로 하지 못하면 국가 책임도 있는데요. 그래서 국민건강증진법이 만들어진거고 당해 법에서 경고문구 삽입하라고 보건복지부령으로 행정부에 위임까지하고 있는데, 만일 그걸 제대로 안해서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다면 행정부의 부작위니 정부 잘못이죠.


그런식이라면 대낮에 도심에서 폭탄테러로 1000명이 사망해도 국가는 슈퍼맨이 아니니까 아무 책임이 없고,
북한이 남침해서 서울시가 어느날 갑자기 폭격당해도 국가는 슈퍼맨이 아니니까 아무 책임이 없게되죠.



불가항력이었으니 국가에 아무 책임을 지울 수 없다면, 그 국가는 해체해야죠.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해달라고 권력도 주고 세금도 꼬박꼬박 내고 있는데, 이것도 불가항력 저것도 불가항력이면 그 국가의 존재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는 헌법은 "불가항력이 아닐때만"이었던 거군요.
15/06/08 11:15
수정 아이콘
중동에서 농사짓다가 한국와서 9일동안 잠복기여서 감지를 못한게 과연 국가가 어떻게 손쓸수 있는건지..
입국심사에서 중동에서 들어오는 사람마다 잠복기에 있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을 수도 있으니 죄다 피검사라도 하면 되나요?
그리고 현재 국가 기관이 손놓고 있는것도 아니고 관리 대상들 다 모아두고 일부 예외 케이스를 제외하면(이게 예외일지 아닐지는 더 지켜봐야겠죠) 관리 대상에서 감염이 나타나고 있고 감염 루트도 병원에서의 감염인데 무엇을 더 기대하는건지 모르겠네요. 님이 말하는 국가가 제대로 작동했다면 과연 어떻게 대처했어야 하나 말해보세요.
나의규칙
15/06/08 11:23
수정 아이콘
보건복지부 장관님께서도 초기 대응 미숙했다고 하는데 왜 자꾸 잘했다고 하세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23&aid=0002985378
문형표 장관님께서 직접 초동대처 미흡했다고 송구하다고 사과하시는 기사.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3&aid=0006566228&date=20150608&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0
청와대마저 병원 공개 늦은 것이 아쉽다는 기사.(다른 말도 많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1&aid=0007645506
여야 모두 대응 미흡하다고 지적하는 기사. 문형표 청문회를 방물케한다네요.
여당 의원님께서는 기사 인용 - 의사 출신 박인숙 의원은 "컨트롤타워가 보이지 않았고 투명하게 정보공개를 하지 않아 초기 진화의 골든타임을 여러번 놓쳤다"며 전날 정부의 병원 명단 공개에 대해서도 "혼란과 공포에 떠는 국민에게 병원 명단만 툭 던져놓고 국민이 알아서 해석하고 판단하라고 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 라고 하시네요.

특히 마지막 기사는 뭐가 잘못되었는지 여야 의원들이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열심히 잘 말씀해주시니까 읽으시면 도움이 되겠네요.
15/06/08 11:56
수정 아이콘
질환의 증세가 나타난게 5월 11일이고 질본에 연락한게 5월 18일인데 그 동안 질본이 중동갔다온 사람 일일히 다 체크했어야 하나요? 네이쳐에서도 전염된 경위를 격리조치가 되기 전의 9일이 전염을 키웠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http://www.nature.com/news/south-korean-mers-outbreak-is-not-a-global-threat-1.17709#/NotHuman
나의규칙
15/06/08 11:58
수정 아이콘
메르스 들어온 것을 막으라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들어왔을 때 어떻게 대처해서 그 수를 줄이느냐에 있는 것이죠.

여당 의원들도 비판하고 보건복지부 장관님도 스스로 반성하시는데... 본인 마음에 드는 자료만 근거로 삼지 마세요. 제가 비슷한 의견을 가진 전문가들의 의견을 가지고 왔으면 그에 대한 반박 정도는 하셔야죠;
호호템플러
15/06/08 12:04
수정 아이콘
말레이시아에선 감염증상 나타내고 일주일 후에 사망한 환자를, 접촉가능한 사례는 모조리 추적해서 단순 격리가 아니라 일일이 메르스 검사까지 다 했습니다. 우리는 말레이시아보다 의학적,행정적 능력이 딸려서 저렇게 못했나 보군요?
15/06/08 11:31
수정 아이콘
지금 호들갑 떠는 일-전수조사니 정보공개니 그런 것들을 좀 일찍 했으면 됩니다. 별개로 대통령은 책임자 명확히 해서 힘 실어주면 되는데 그건 지금도 안하고 계시지요.
End.of.journey
15/06/08 11:38
수정 아이콘
과연 국가가 어떻게 손 쓸 수 있는건지....라니요. 다른 나라들은 손 잘 쓰고 있는데요?
다른 나라들은 다 5명 안쪽에서 잘 막아냈어요. 중동 국가 이외의 환자들 숫자 다 합쳐봐도 우리나라보다 적어요.
숫자만 봐도 우리 나라가 엉망이라는걸 바로 알 수 있는데... 이 거 이해하는 게 어려우세요?

그냥 다른 OECD 가입국들처럼 하면 되요. 특별한 대처법, 그런 거 없습니다. 기본만 잘 해줬으면 되는 거였어요.
지금 기본도 못 하고 있으니까 여야, 내외신 가리지 않고 한국 정부 무능하다고 비판하는 것 아닙니까.
나의규칙
15/06/08 11:40
수정 아이콘
근거 없다고 하실까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7644968
메르스 환자 87명 세계 2위 …"풍토병 위험은 없어"

입니다.
15/06/08 11:43
수정 아이콘
정치를 떠나 이걸 실드쳐주고 싶으십니까?
대단합니다 정말..
드러나다
15/06/08 11:47
수정 아이콘
한번 물어봅시다.
그럼 왜 우리나라만 메르스가 이리 퍼지고 있습니까? 중동은 우리나라 국민만 가나요? 홍콩 공항에서 한국국민 확진자 잡아낸건 어떻게 보십니까? 1번 환자가 스스로 메르스 진단받으러 혼자 병원들을 방황한건 뭐구요?

사람 수십명이 죽었는데, 그거 다 남들도 다 한번씩 저지르는 불가항력이었다고 하면 위안이 좀 되시나요? 불가항력일수도 있죠. 준비를 잘했는데 우연에 우연을 거듭해서 일이 망쳐진거면. 근데 지금 상황이 우연히 손쓸수도 없게 벌어진거랍니까?
호호템플러
15/06/08 11:54
수정 아이콘
국가가 제대로 작동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궁금하세요?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3442917
말레이시아에서 메르스 환자 9일만에 확진됐을 때 완전격리해서 17일만에 추가환자 없이 끝냈습니다. 접촉가능한 인원 200명 모조리 메르스 체크하고 심지어 신문광고까지 냈어요

긴급회의를 일주일 있다 하고, 감염가능성 있는 병원들을 한참동안 공개도 안하고, 확진 일주일 후에 3번째 환자 가족이 출국하는 걸 체크도 못해서 방역 빵빵 뚫린 걸 뭘 잘했다고 실드 칩니까.

참고로 저때 신종플루는 전염력이 워낙 쩔어서 미국만 뚫린 게 아니라 전세계 거진 다 뚫렸습니다. 링크된 그림은 발생 초기때 그림이라 미국만 털린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 저때 한국에서만 10만명 감염에 200명 넘게 죽었습니다. 국가간 전염병 대처능력 차이를 보려면 사스나 에볼라를 봐야죠.
15/06/08 12:07
수정 아이콘
진짜 병원 공개하고 병원에서부터 확산만 막었어도 이 사단이 안났겠어요. 아쉬움이 많이 나네요.
유인나
15/06/08 14:12
수정 아이콘
???? 왜 손을 못쓰죠? 최초 감염자가 메르스 같다고 자진신고해도 묵살하고 검사 재요청하니까 마지못해 해주면서 책임은 니가 지라고 하고 확진 이후에도 접촉자들 격리 제대로 못해서 홍콩가고 중국가고 격리자가 골프도 치러가고 하다가 이사태가 됬는대요? 그리고 어디지역 무슨병원에서 발생됬는지만 제대로 공지했어도 감염2위 국가까지 됬을까요? 뭐 다른 나라는 들어올때부터 메르스 걸렸습니다 하고 이마에 붙이고 와서 다 막은거 같아요? 참 글을 쓰시면서 뉴스라도 한번 보셨으면...
MagnaDea
15/06/08 12:13
수정 아이콘
입맛에 맞는 사진을 가져와서 진실을 호도하시는데....

http://reliefweb.int/sites/reliefweb.int/files/resources/BDB1DB55202607E4852577500051F222-map.pdf

당시 신종플루는 전세계를 휩쓸었습니다. 멕시코에서 시작해서 미국으로 넘어간 그 시점의 사진만 가져오시면 안되죠. 당시 미국이 다른 나라보다 유난히 신종플루에 취약했다면야 비슷한 예가 되겠습니다만, 현재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유난히 메르스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를 비판하는데 대체 왜 신종플루 초창기 사진으로 언론플레이하려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15/06/08 12:27
수정 아이콘
이 분, 아래 글에서 "지금 죽은 사람들은 다 중증환자였고 건강한 사람이 메르스 한 방에 죽은 사례는 없고 최초 감염자는 완치되었고요." "나중에 메르스가 별거 아닌걸로 끝나면 피드백 꼭 하시고 그땐 잘못생각했다고 쿨하게 인정하시길" 하신 분입니다. 이미 엄중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면 '나중에 별 거 아닌걸로 끝난다'는 가정을 할 수가 없겠죠? 이 분은 그냥 현재까지 '중증환자'들이 몇 분 돌아가신 것 정도로는 별 거 아닌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는 분이예요. 별 거 아닌 상황이니 정부가 잘못한 것도 없겠죠, 당연히.

애초에 현실인식이 너무 달라서 옳고 그르고의 문제를 떠나 의견교환이 무의미한 상대이신데, 다른 회원분들 다들 괜히 헛심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혹시나 이 정도 내용은 규칙 위반은 아니겠죠? 워낙 분위기가 흉흉하니... 조심스레 댓글 씁니다. 참 안타까워요.
15/06/08 12:47
수정 아이콘
메르스아니었으면 죽거나 고통받을 일도 없었을텐데 이번 아니라도 독감걸려 죽거나 아팠을 사람 취급해서 정말 소름돋네요... 주변에 아픔 분이 계셔서 그런가 어떻게 저리 이기적인 얘기들을 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15/06/08 17:36
수정 아이콘
최대한 선해하자면, 중증환자 외에 사망자가 없는 걸로 봐서 그렇게까지 위험한 질병은 아니다. 언론과 대중의 반응이 과한 측면이 있다. 라는 의도로 받아들일 수 있겠지요. 그 부분은 저도 어느정도 동의하는 편이고요. 근데 그거야 최대한 선해해 줄 때 얘기인거고, 별로 그래주길 원하시는 것 같지도 않고.... 저도 참 이해가 안 됩니다. 어떻게, 왜 저리 이야기하시는지.
15/06/08 16:49
수정 아이콘
중증환자가 결핵걸리면 치명적이죠. 그럼 결핵도 통제해야하나요?
나의규칙
15/06/08 17:11
수정 아이콘
http://tbfree.cdc.go.kr/tbfree/mtbfree/main.do

결핵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결핵도 통제하죠. 위험한 사람들이 있는 곳은. 다만 증상도 치료법도 널리 알려진 병이니까 지금처럼 많은 사람들이 신경쓰지 않을 뿐...
15/06/08 17:31
수정 아이콘
.............?? 차라리 감기를 예로 드시지 그러세요. 중증환자야 감기만 걸려도 치명적일 수 있는데.
저기 위에서도 바로 아래에서도 주장하신 바가 족족 논파당하고 있던데, 쪽팔리게스리 만만해 보이는 댓글만 찾아서 변죽울리며 시비거시기 전에 "잘못생각했다고 쿨하게 인정"부터 하고 오시면 답변을 진지하게 생각해 볼게요. 어디보자, 워낙 잘못 생각하신게 많긴 한데 누구라도 쿨하게 인정할 수 있을 만큼 쉽고도 지엽적인 오류가... 아, 일단 국가가 도로설계를 잘못했으면 교통사고에도 책임이 있다는 점은 이해하셨는지요?
소독용 에탄올
15/06/08 17:40
수정 아이콘
결핵은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법률도 있을 정도로 주요 통제대상입니다.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02141#0000
15/06/08 12:29
수정 아이콘
경우에 맞지않는 예시를 가져와서 물타기 하지마세요.
sway with me
15/06/08 14:37
수정 아이콘
이건 H1N1 초기 상황을 보여주는 도표이군요.
H1N1은 당시 11월까지 유행이 지속되었고, 한국도 결론적으로는 미국과 별반 상황이 다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멕시코,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니 미국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한 것은 당연한데, 인구수 대비 한국은 발생 환자 수가 많은 편에 속했지요.
그리고 H1N1은 현재의 MERS와는 달리 말 그대로의 판데믹(pandemic)이었으니, 상황이 꽤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호호템플러
15/06/08 09:21
수정 아이콘
http://scienceon.hani.co.kr/279624
사우디에서 3달동안 메르스 환자가 255명 늘어났던 적이 있다는군요. 거기서도 중요 전염경로는 병원시설 접촉이었고...특히나 입원보다도 외래환자 감염이 더 많았습니다. 꼭 삽관같은 게 없어도 병원에서 왕창 걸려왔단 얘기죠.

지금 우리는 한달도 안돼서 100명 가까이 늘었으니 진짜 이런 양상으로 가다간 환자 천명 발생한 사우디를 1년안에 제치겠습니다그려.
BakkyFan
15/06/08 09:33
수정 아이콘
초창기에 병원이름 까고 철저하게 출입통제 했으면 막을수 있었다라는 결론으로 가네요.

다들 내 책임 아니라고 도망다니니
다음에 전염병 돌아도 똑같은 일 벌어지겠죠
마스터충달
15/06/08 09:35
수정 아이콘
이렇게 소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글, 댓글 모두 잘 보고 갑니다.
15/06/08 09:40
수정 아이콘
전염율이 높아도 치사율만 높지 않으면 이렇게 불안에 떨지 않을 텐데 말이죠

확실한건 애초에 발표한 치사율 40%는 좀 부풀려진 경향이 있으니 그쪽으로 정보를 정리해서 발표해줬으면 좋겠네요

이건 뭐 공공장소에서 헛기침이라도 하면 주변 시선이 싸늘한게...
라이트닝
15/06/08 09:55
수정 아이콘
치사율은 아직 아무도 모르는 셈이죠.
중동 40%라지만 그건 중증인 환자들만 진료받아서 그렇다고 하고 그외 지역은 감염자수가 극히 적으니까요.
라이트닝
15/06/08 09:53
수정 아이콘
사실 전 한국에서만 유독 잘 퍼지길래 "유전자 변이라도 된거 아냐?"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것도 아니네요.
병원감염이 잘 되는 특성 + 병원 정보 공유 미비가 가져온 참사로군요.
메르스의 진짜 치사율은 이제 우리나라 사례를 통해서 밝혀지게 생겼군요;
루비아이
15/06/08 10:02
수정 아이콘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1250809&oid=001&aid=0007645188&ptype=052

대전서 메르스 확진받은 80대 남성 숨져

6번째 사망자가 발생했네요.
15/06/08 10:04
수정 아이콘
대전서 메르스 확진받은 80대 남성 숨져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2&cid=1018477&iid=1250809&oid=001&aid=0007645188
여기서 더이상 피해가 없으면 좋겠네요. 병원에서 치료중에 일어나니 더 불안한건지ㅜㅜ
15/06/08 10:10
수정 아이콘
여태까지 정부에서 가능성이 희박하다던 일들이 다 일어나고 있네요. 이제 가능성 운운하지 말아줬으면.
라이트닝
15/06/08 10:14
수정 아이콘
가능성이란건 최선의 상황부터 최악의 상황까지 다 고려해서 대비를 해야하는건데 굉장히 낙천적이더군요.
사람은 자기가 믿고싶은것만 믿는 법이라지만 행전관료가 그러면 안되는 법인데..
저지방고칼슘
15/06/08 10:12
수정 아이콘
이게 젊은사람들이야 걸려도 회복할 체력이 될거 같은데 나이드신분들한테 너무 치명적인거 같아서 걱정이 많네요.
15/06/08 10:14
수정 아이콘
예전에 차라리 이명박이 그리울 지경이라도 했다가 반대 대댓글을 수없이(?) 받았지만...
이전 정부에서는 전시행정일지라도, 뭔가 일이 터지면, 대통령이 여기저기 뛰어다니면서 "이 무능한 자식들! 내가 뭔가 보여주겠어!" 라도 했고,
결과적으로 각 부처들이 (뭘 하는진 몰라도) 발에 불나도록 뛰어다니게 만드는 효과라도 만들었는데,
이건뭐... 아무리 봐도 삼성카드 광고카피 밖에는 생각이 안 나는 상황이네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이미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지만..."
15/06/08 10:21
수정 아이콘
사실 그 뒤의 '더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 하고 싶다.'가 뽀인트 같습니다만...
15/06/08 10:23
수정 아이콘
누군가가 써주시길 바랬습니다. 관심받고싶었어요ㅠㅠ
15/06/08 10:25
수정 아이콘
옜다 관심! 하면 벌점 먹으려나요?
요즘 외로우시면 뭘 하셔야 할려나?
진짜 관심받고 싶으시면 애를 낳아보면 됩니다.
전 요즘 집에만 들어가면 애가 "노라조~~ 노라조~~~" 하는 바람에 애한테 참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만...
근데 아직 결혼 안 하셨죠? T.T
15/06/08 10:35
수정 아이콘
노총각에게 2단.. 아니, 3단크리를 날리시는군요?!
(System: 안군님의 분노 수치가 3 올랐습니다.)
15/06/08 11:33
수정 아이콘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왜냐하면 아무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전 이게 떠올랐네요
모여라 맛동산
15/06/08 10:23
수정 아이콘
와중에 이런 기사가 하나 났습니다.
뭐라도 하나 앞서고 싶어서 그랬을까요.
매우매우 유치합니다;;;

"내가 먼저 메르스 지시했거든" 박원순보다 하루 앞선 박근혜 시점 '시끌'
http://m.media.daum.net/m/media/politics/newsview/20150608001600735
15/06/08 10:28
수정 아이콘
박근혜가 진짜 허수아비라는걸 확인시켜주는 기사네요. 6월3일에 공개지시를 내렸는데 6월 7일에 정보공개를 했다네요.
이쥴레이
15/06/08 10:34
수정 아이콘
웃프네요. 박원순 시장 기자회견때 사회 혼란준다고 가열차게 까던게 정부 아니었나...
kongkaka
15/06/08 10:38
수정 아이콘
박원순이 지시발표 했을때 태클걸던 사람들은 그럼 뭐가 되는겁니까? 꼬리자르기인가..
귀가작은아이
15/06/08 10:43
수정 아이콘
제목 일침 크크크
거믄별
15/06/08 11:25
수정 아이콘
당신이 먼저했다는 그 말을 누가 믿어.
박원순 시장이 기자회견 하기 전까지만해도 유언비어, 괴담을 퍼뜨리면 처벌하겠다고 협박하던 것이 이 정부고...
병원공개는 없다고 말했던 것도 이 정부인데...

그리고 제일 모순되는 것이 회견 다음날 오전에 했던 브리핑에서 박원순 시장을 향해 혼란만 부추긴다는 말을 한 것도 이 정부인데?
The xian
15/06/08 11:39
수정 아이콘
이건 아주 간단한 언어로 설명 가능하지요. '정신승리법'입니다.
흑백수
15/06/08 15:46
수정 아이콘
제목보고 헛웃음이 크크크크크크
月燈庵
15/06/08 16:56
수정 아이콘
이러니까 역대 뉴스 댓글 중에 요새가 간만에 최고다 싶을 정도로 쌍욕이 홍수를 이루지요.

이건 좌우를 안가리고 시민들이 분노에 가득찬 모양새 입니다.

전염병 으로 인한 피해와 죽음.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공포를 개념없이 건드렸거든요.
리비레스
15/06/08 10:27
수정 아이콘
정말이지 이번 정권은...
북두가슴곰
15/06/08 10:31
수정 아이콘
뭔가 확실하게 노약자나 면역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 상대로는 확실히 안좋은 질병은 맞나 봅니다.
6번째 사망자라니......
절름발이이리
15/06/08 10:33
수정 아이콘
일단 현 정권이 못하는건 접어두고
한국에서 메르스가 이렇게 유독 잘 퍼지는건, 다인실병동/가족이 병간호하는 것이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장 정확해 보입니다. 어느 정도는 실제 능력 이상으로 까이는 면도 있는 것 같고.. 물론 능력 이전에 제대로 커뮤니케이션 못한 탓이 크겠죠.
그리고 어쨌거나 대략 다음주초 정도면 현재 정도의 열풍은 사라질 것 같네요. 13만명이 모이는 서울시 공무원시험도 그대로 집행합니다. 그래도 된다고 판단했을 것이고, 그래도 되겠죠.
15/06/08 10:34
수정 아이콘
일단 병원외감염의 사례가 나온다면 그야말로 전국이 패닉 상태로 돌입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서서히 가라앉는게 맞을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人在江湖
15/06/08 10:38
수정 아이콘
그때쯤 신문에 다윗왕의 경구가 소개될 수도 있겠군요.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호호템플러
15/06/08 10:42
수정 아이콘
한국만의 병간호 문화 때문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합니다. 사우디 사례에서도 병원 내 감염이 대부분이고, 그중에서도 단순 외래환자가 입원환자나 메르스의심 환자와 접촉한 경우보다 더 많이 걸렸습니다.

그냥 병원 자체가 방역이 제대로 안되서 감염이 많이 된거지, 한국 특유의 문화 따질 건 아니라고 봅니다.
절름발이이리
15/06/08 10:4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병원내 감염이 대부분인데 (타국에는 드문) 가족 병간호로 인해 불필요한 병원내 감염 가능성이 늘어난거지요. 실제로 그런 사례들이 보고 되고 있고 말입니다.
애초에 '가족 병간호'란 것 자체가 '방역이 제대로 안됨'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기도 합니다.
호호템플러
15/06/08 12:07
수정 아이콘
그렇게 생각해보니 맞는 말씀이군요. 동의합니다.
15/06/08 13:43
수정 아이콘
원인 중에 하나라고 할 수는 있겠지만 그게 큰 이유라고 봐야 할 근거가 뭔가요?
절름발이이리
15/06/08 13:53
수정 아이콘
뭐 외신의 분석이기도 하고, 유독 방역을 더럽게 못해서 라고 해석하는 것보다는 개연성이 높아 보입니다.
유인나
15/06/08 14:19
수정 아이콘
이미 뉴스에서도 병원 내부 개조를 해서 공기순환이 제대로 안되서 더욱 병원 내에서 확진자가 많이 발생되는 원인이 됬다고 뉴스에 나왔죠. 지금부터라도 격리절차 제대로 진행하고 병원까지 공개했으니 아마 2주내에는 감염자의 숫자가 하락세를 띄우기만을 바래야겠죠. 더 이상 가는것 자체가 다른 내수경제나 관광쪽에도 엄청나게 타격을 주고 있어서...
sway with me
15/06/08 14:45
수정 아이콘
현재의 삼성의료원 케이스는 병동보다 응급실 현실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더 클 겁니다.
15/06/08 17:59
수정 아이콘
이리님은 의료인은 아닌걸로 알고 있는데 의료계에서 내놓고 있는 원인과 상당 부분 비슷하여 놀랍네요...
혹시 본인 머릿속에서 나온 정보라면 이미 병원 시스템에 대해서 꽤나 잘 이해하고 계신겁니다 . 크크

좀 더 보충하자면 이번 원내감염이 이렇게 판친거에 대해서 병원 내부에서는 역시 '수가' 문제가 우선임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앞서 이리님이 말씀하셨다시피 다인실 병동이 많은 것이 첫번째 이유고, 소수의 의사가 환자 다수를 빠른 시간에 봐야만 하는 시스템이 두번째 이유구요. 1인실 및 격리병동을 늘리고 의사 1인당 환자 숫자는 줄이는 것... 해결이 안된다면 솔직히 앞으로 몇년 후에는 이번 메르스 사태가 또 다시 발생할 겁니다.
스타카토
15/06/08 10:39
수정 아이콘
정보 미공개로 피해본 1인입니다.
어제 옆동에 살고계시던 고종사촌이 확진자가 되었습니다.......
정보가 일찍공개되었다면 조금더 일찍 자택격리하고 위생관리도 했을텐데..
아무런 연락도 없다가 어제 갑자기 연락오고 119고고 경찰오고....
지난주는 막내아들때문에 난리였는데..이번엔 확진자 라니.....
가족 모두 패닉상태이고 정부에 대한 분노가 극도상태입니다.
조금 정리되면 글로 한번 옮겨보겠습니다...
이게 무슨 난리인지....
nearfield
15/06/08 10:42
수정 아이콘
힘든 일이 자꾸 겹치니 얼마나 심란하시겠습니까. 건강이 제일인데 스타카토 님도 몸조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수지느
15/06/08 11:13
수정 아이콘
에고 직접적으로 피해를 보셨으니 더 화나시겠어요 별일없이 나으셨음좋겠네요
End.of.journey
15/06/08 12:17
수정 아이콘
아이구... 별 일 없으시길 바랍니다. 완쾌되실거에요.
15/06/08 13:24
수정 아이콘
아이고 잘 이겨내셔서 나중에 액땜했다 생각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15/06/08 10:45
수정 아이콘
국내 기준으로는 치사율이 더 높은거 아닌가요?

치사율을
사망자/확진자 로 할 것이 아니라
사망자/(사망자+완치자) 로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완치자 현재까지 1명 아닌가요?
그럼 6/7 = 86% 가 맞는거 같은데요.

물론 지금 현재 다섯분 정도가 퇴원을 앞두고 계시다고 하니까
치사율은 급격히 낮아지겠습니다만은...
40%보다 치사율이 낮다고 이야기 하기에는 좀 이른 시점이 아닌가 싶네요.
절름발이이리
15/06/08 10:48
수정 아이콘
뭐 이렇게 모수가 적을 땐 확률 따지는 게 별 의미가 없죠.
15/06/08 10:57
수정 아이콘
치사율이라는 개념자체가 환자수대비 사망자라서요..
솔로10년차
15/06/08 11:38
수정 아이콘
국내기준으로는 아직 치사율이 제대로 안나온거죠.
15/06/08 12:11
수정 아이콘
치사율이 의미가 있느냐에 대해서는 말씀하신 것 처럼 의문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치사율이란 개념 자체가 (사망자/확진자) 이니 문제될건 없다고 봅니다. 치사율이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변할거고요
꾱밖에모르는바보
15/06/08 10:57
수정 아이콘
http://m.media.daum.net/m/media/culture/newsview/20150608095016224
"메르스, 14번 환자 시외버스 동승자 1명 확진 '추가 승객 파악 중'"

지역사회 감염이 등장했습니다. 이거 뭐 plague inc.로 짤방이라도 만들고 싶네요..
사성청아
15/06/08 10:58
수정 아이콘
http://news.donga.com/3/03/20150608/71693986/1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본부 기획총괄반장은 “14번 환자와 버스를 함께 탄 동승자 중 5명을 자가 격리했고 1명은 확진 판정을 내렸다”며
“하지만 대포폰 사용자 등 확인하지 못한 승객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버스감염으로 의심되는 예가 나왔습니다.

이거 증상이 심한 환자를 통해서는 밀폐공간에서 바로 전염이 가능한가봅니다.
지난 주말 부터 사람들을 가라앉게 했던 네이쳐 기사가 틀린것으로 보이는데
주의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개념은?
15/06/08 11:39
수정 아이콘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본부 기획총괄반장은 “14번 환자와 버스를 함께 탄 동승자 중 5명을 자가 격리했고 1명은 추적 중이다”라며 “하지만 대포폰 사용자 등 확인하지 못한 승객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 수중한걸 보면 확진이라는 말은 없어진것 같네요. 오타인가;;
사성청아
15/06/08 11:43
수정 아이콘
동아일보쪽 기사가 본 출처일거 같고(기사 작성시간이 새벽 3시)
다른 매체 기사들이 동아일보를 받아 적었으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각자 기사를 적은거라면
보건복지부쪽 보도자료가 이상했던 것일 수도 있구요

어느쪽이든 까여야 겠죠
버스 감염자가 오보라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념은?
15/06/08 11:48
수정 아이콘
저도 오보였으면 좋겠는데 오보일 가능성도 크다고 봅니다. 우선 수정된 것도 그렇고 최초 작성이 새벽 3시인데...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네이버든 네이트든 가장 메인에 있어야할 소식일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거 보면.... 지금으로써 가장 큰문제가 10대 감염이 아니라 병원외 감염일텐데 말이죠.
15/06/08 11:01
수정 아이콘
16세 환자 나왔다고 하네요. 변종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750804
강나라
15/06/08 11:03
수정 아이콘
정작 전국에서 13만명이 모이는 공무원시험은 그대로 강행하는건 어떻게 봐야될지 모르겠네요.

생각보다 사태가 심각하지 않다는건지 아니면 서울시에서 통제방법이 있다는건지, 서울시의 그간의 메르스대책에 모순되는 행동이라 좀 혼란스럽군요.
호호템플러
15/06/08 11:09
수정 아이콘
병원외 감염 사례가 없을 때 결정한 거라, 지금 시외버스 감염자 사례가 나왔으니 판단이 달라졌을 수도 있죠.
그렇다고 지금 연기하기에도 늦었을 것 같지만...
모여라 맛동산
15/06/08 11:12
수정 아이콘
이 상황은 좀 딜레마 같습니다.
취소 안 해도 말이 나오고, 취소 해도 말이 나오고...
서울시도 난감하긴 마찬가지일 듯합니다.
15/06/08 12:10
수정 아이콘
취소하자니 행정공백이 크고 수험생들 반발이 격심하고
강행하자니 감염확산이 우려되는 상황이죠.

어느쪽을 선택하든 까일겁니다.

사실 지금도 보수 언론에게는 두가지 이유로 까이고 있습니다.

1. 메르스는 그냥 독감에 불과한데 박원순이 "준전시" 운운 선동질로 국민의 혼란하게 만들고 있다.
2. 메르스는 정말 위험한데 박원순이 서울시 시험을 강행하며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있다.

도대체 어쩌라는 건지... 메르스가 위험하다는 건지 안위험하다는 건지....

그러니까 박원순 시장은 그냥 뭘하든 까이면 됩니다.
강나라
15/06/08 12:21
수정 아이콘
뭘해도 욕먹는 상황이라면 하던대로 일관되게 밀어붙이기라도 하는게 낫죠. 그리고 그 편이 욕은 훨씬 덜 먹을테고요.
15/06/08 12:25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저는 비용이 좀 들더라도 연기하는 데에 찬성하는 쪽입니다.
토다기
15/06/08 12:24
수정 아이콘
준전시상황이지만 공무원 시험은 보겠다라는 게 사실 좀 안 맞긴 하지요. 이번주가 분수령이라는 전문가 의견도 있던 데 1년에 한 번 보는 시험을 얼마 안 남고 미루거나 한다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죠.
15/06/08 11:09
수정 아이콘
대전에서 메르스 확진자가 사망했습니다. 이게 진정되고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아서 걱정되네요.
15/06/08 12:03
수정 아이콘
다음주쯤이면 현재의 열풍(?)이 사그라질것 같다는데, 정말 그랬으면 좋겠는데...확진자가 하루에 스물명넘게 생기고, 10대 확진자가 생기고 병원외 감염자가 생기는 요 상황이 별로 낙관적으로 보이지 않네요.
답답하네요...
수지느
15/06/08 11:20
수정 아이콘
젊은사람은 괜찮다와 병원외 감염은 문제없다가 동시에 깨지면 정말 조선의 위상이 지옥보다 높아지겠군요.
이번일에서 유일하게 긍정적인면을 찾아 본다면
향후 새누리 반대쪽이 대통령을했을때 이런상황에서 대처를 완벽히 해냈을경우 언론을 동원해서 과잉투자다 어쩌구저쩌구해서 흠집내기는 힘들어진다는점 일까요?
그와중에 서울시장보다 내가 하루먼저지시했다고 생색내시는 분 정말 짜증이 울컥...
FastVulture
15/06/08 11:26
수정 아이콘
과연 그렇게 흠집내기 힘들까요?...(...)
수지느
15/06/08 11:31
수정 아이콘
최소한 안한경우를 겪어봤으니 콘크리트층말고 중도의 지금 이 사태에 분노를 느끼는사람들은 동조를 안해주지않을까요?
forangel
15/06/08 12:13
수정 아이콘
과잉 대응이라고 하기보다는 김치와 된장의 면역력 강화와 장점에 대해 개인적 주장을
언론에 다루면 ok~!
모여라 맛동산
15/06/08 11:3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b=8&n=58874&c=2244108
위에 제가 댓글로 쓴 정부 발표 기사를 보면, 박근혜 대통령 대신 최경환 국무총리 대행이 나와 발표를 했습니다.
이를 분석한 기사가 있어 추가로 글을 남깁니다.

(뒤끝 작렬) 박, 메르스 전장에 안 나타난 5가지 이유
http://m.media.daum.net/m/media/society/newsview/20150608050407525
수지느
15/06/08 11:59
수정 아이콘
와 정말 진짜 리얼 혼또니 미국방문 강행하려는걸까요? 참모진들 뭐하는거지???????? 간보다 막판에취소하느니 그냥 일찌감치 취소하지
SuiteMan
15/06/08 12:00
수정 아이콘
진심으로 아직도 박근혜 대통령에게 실망하시는 분, 실망입니다..
15/06/08 13:52
수정 아이콘
똥을 보고도 찍어 먹어봐야 똥인지 안다는 분은 제외!
포스트잇
15/06/08 12:13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 저희 영업팀 일정이 꼬였는데 아마 다른 산업들 피해도 만만치 않을 거라고 봅니다.
forangel
15/06/08 12:17
수정 아이콘
서울-대구 를 저번주만 3회 왔다갔는데 서울역에 외국인이 현저히 줄어든게
느껴지더군요. 내국인도 줄어들어서 주말에도 표예매 하는게 널널했구요.
한달에 3-4회 이상 다니는데 요즘만큼 서울역에 사람없는거 처음 본듯..
확실히 관광쪽 산업은 직격탄이 예상됩니다.
토다기
15/06/08 12:25
수정 아이콘
지역감염자만 많이 나오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llAnotherll
15/06/08 12:46
수정 아이콘
전체 전염중 병문안에 의한 전염 비율이 어느정도일지 모르겠기에
병문안 문화도 한몫할지언정, 그런 문화가 없었더라도 어느정도로 변했을지 모르겠네요
쿠나미
15/06/08 12:52
수정 아이콘
먼저 개별적으로, 고생하시는 일선 공무원들껜 누가 될까 송구하단 말씀 먼저 드리구요...

이번 정권은 공무원조직 장악이 잘 안되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복지부동하는것 같은...
음란파괴왕
15/06/08 12:52
수정 아이콘
다음 주 초쯤 되면 이 모든 일을 해프닝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그렇게 되면 현정부와 언론에서 또 뭐라고 할지 벌써부터 머리속에 떠오르지만, 그래도 별일없이 지나가는게 훨씬 낫겠지요.
15/06/08 13:06
수정 아이콘
병원과 관련된 문화는 개판이죠.
유일하게 제대로 하는 것이라고는 본인이 아픈 경우가 아닌 이상 어린아이는 응급실이나 병원에 데리고 가는 경우가 적다는 것 뿐입니다.

밥맛이 없다고 병원식의 반찬을 같은 병동의 환자들에게 나눠주는 환자가 있질 않나(게다가 플루 환자가)
병실에 TV가 없는 경우에는 TV가 설치된 공용공간으로 드라마 보러 출장가질 않나(물론 플루 환자가)
매점 간다고 엘리베이터 타고 로비에도 줄창나가질 않나(물론 플루 환자가)
환자가 최근 홍콩에 다녀온 경력이 있다는 것을 나중에 알아내는 것은 덤이었던 것을 직접 봤죠.

그래서 메르스가 국내에 유입되면 국내 의료기관이 대처하는 것은 시스템적으로 거의 힘들다고 봤습니다. 메르스 환자들도 메르스 발병병원을 피할 것이라고 생각이 드므로 다른 종합병원에서도 격리자가 대규모로 나오는 것은 피할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Be[Esin]
15/06/08 13:11
수정 아이콘
정말 조속히 해결 됐으면 합니다.
저희 회사는 작년대비 30% 가까이
매출에 타격이 있네요.
개인사업 하시는분들 업종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요즘 어떠신가요?
Cafe Street
15/06/08 13:42
수정 아이콘
새로 가게오픈하고 하루하루 매출 늘고있어서 좋아했는데.. 저번주목요일쯤부터 매출 반토막났네요크크
Be[Esin]
15/06/08 14:21
수정 아이콘
안돼셨네요ㅠㅠ
저희 평택지점은
정말 난리에요.
5월초에 오픈하자마자 ...
스무디킹
15/06/08 13:49
수정 아이콘
저희도 성수기 접어들어서 매출이 오름세였다가 거의 반토막입니다..
네랴님
15/06/08 14:07
수정 아이콘
사람이 없어요 허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887 [일반] 사스에 대처하는 노무현과 메르스에 대처하는 박근혜 [171] 루비아이15673 15/06/08 15673 23
58881 [일반] 메르스 지역감염 첫 사례가 아니길 바랍니다.. [31] jjune10488 15/06/08 10488 0
58874 [일반] 아침부터 먹먹해지지만, 알아야 하는 메르스 진행상황. [156] The xian18565 15/06/08 18565 28
58856 [일반] 文복지 "이번에 좋은 교훈 얻었다" [71] 치킨과맥너겟10178 15/06/07 10178 15
58855 [일반] 박근혜 대통령께 바랍니다 [59] 순대없는순대국7556 15/06/07 7556 18
58852 [일반] 메르스, 중앙과 지방, 여와 야가 공동대응하기로 했습니다. [21] Alan_Baxter5237 15/06/07 5237 3
58849 [일반] 여러분들도 열등감을 느끼신적 있으신가요? [47] 도깽이6048 15/06/07 6048 0
58846 [일반] 박원순 기자회견이 계속 연쇄반응을 가져오네요 [160] 루비아이13954 15/06/07 13954 26
58845 [일반] 정부가 메르스 발생 병원을 공개했습니다. [112] 비익조11001 15/06/07 11001 1
58833 [일반] [야구] 한화vsKT 직관 후기 + 스포티비 중계진 만난썰. [11] 파쿠만사4719 15/06/07 4719 1
58832 [일반] 피지알이 아픈것 같습니다. [43] SarAng_nAmoO6843 15/06/07 6843 0
58828 [일반] 국내 메르스 환자 중 첫 완치자가 나왔습니다. [21] 토다기7717 15/06/06 7717 1
58827 [일반] [내용추가]이재명 성남시장, 메르스 의심자 직장, 거주지, 자녀 학교 공개 [146] 우리강산푸르게10757 15/06/06 10757 6
58822 댓글잠금 [일반] 네이처에 메르스 관련 기사가 떴습니다. [220] BloodElf10619 15/06/06 10619 2
58812 [일반] 삼성서울병원이 평택성모병원의 뒤를 이을 것인가? [26] 어리버리9238 15/06/06 9238 0
58804 [일반] 피춘문예 수상 결과 발표 및 읽어주신 분들께 전하는 감사 인사 [34] 리듬파워근성7702 15/06/06 7702 57
58796 [일반] 의사소통의 단절이 한국에서의 메르스 걱정에 기름을 붓는다 [과학저널 Science 뉴스] [20] 해바라기7416 15/06/05 7416 6
58795 [일반] 박 대통령 "지자체, 메르스 독자해결 하려 하면 혼란 초래" [210] 호구미16532 15/06/05 16532 3
58794 [일반] 메르스 변이 연구 결과 발표가 미루어 졌습니다. [11] 야율아보기7345 15/06/05 7345 0
58792 [일반] 보건당국, 서울의사 확진 결과 '은폐' 시인 [225] 루비아이17463 15/06/05 17463 5
58789 [일반] 새누리당 유의동 의원 능동 감시 대상자로 조치 받아 [13] 루비아이5432 15/06/05 5432 2
58787 [일반] 아재가 아니면 잘 모르는 갓난아기 정보 4가지 [49] 파란무테8672 15/06/05 8672 12
58784 [일반] 오늘의 감사한 일 [16] 좋아요4576 15/06/05 457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