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6/01 18:39:39
Name 어리버리
Subject [일반] 메르스로 인한 사망환자가 나왔을 지도 모른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7632119

[최초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후 유사한 증세를 앓아온 환자가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

평택의 "그" 병원에서 첫번째 감염자와 접촉 한 후 메르스와 유사한 증세를 겪으면서
경기도 지방의 병원에 입원해 있던 환자가 사망했다는 기사입니다.
이 환자는 [확진환자]가 아니라 [의심환자]로 분류되어 있던 분이라고 하네요.

사망하시기 전에 비슷한 증상을 겪으셨다고는 하지만
병원에 가게 되었던 병이 메르스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내는 병일 수도 있기에 아직 확언은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추후 조사로 메르스로 인한 1호 사망자로 결론이 내려진다면, 문제가 좀 커질 수도 있을거 같네요.
안 그래도 욕먹는 보건당국이 환자 판단 제대로 못 해서
메르스에 대한 특정 치료도 제대로 못 받고(그런게 있는지 모르겠지만) 환자가 사망하게 되었을 수도 있으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이지스
15/06/01 18:41
수정 아이콘
메르스는 알려진 바로는 치료가 없습니다
어리버리
15/06/01 18:42
수정 아이콘
저도 대강은 그렇게 알고는 있네요. 일단 외부랑 격리된 장소에서 증상을 지켜보면서 그 증상에 맞는 치료를 하고, 증상이 약화되기를 기다리는 수 밖에 없다고 듣긴 했는데 그게 사실일지를 확신을 못해서요.
얼그레이
15/06/01 19:00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직접적인 치료는 없고, 환자의 상태를 낫게 해주는 대증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메르스도 비슷한 경우죠...
아쉬운건 확실히 보건당국의 대처가 많이 느리다는거네요
8월의고양이
15/06/01 18:41
수정 아이콘
아.. 이제 슬슬 무서워지네요.
Rorschach
15/06/01 18:44
수정 아이콘
이 와중에...

[공기전파 괴담? 복지부 산하기관이 유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6&aid=0000075383
토니토니쵸파
15/06/01 18:48
수정 아이콘
코메디군요
아리마스
15/06/01 19:05
수정 아이콘
괴담 유포자는 [[엄중처벌]]하신다고 하지 않으셨나요 ? 크크크 이게 무슨 개그랍니까
엔하위키
15/06/01 19:07
수정 아이콘
복지부 해체각이랍니다..
순규하라민아쑥
15/06/01 19:54
수정 아이콘
보건복지부니까 해체가 아니라 해부하기로 했답니다.
라디오
15/06/01 19:07
수정 아이콘
해체...
비둘기야 먹자
15/06/01 18:44
수정 아이콘
아이고 이거 어쩌나요.
15/06/01 18:46
수정 아이콘
이제 3차감염환자까지 나오면, 카오스 상황이겠네요. 덜덜
은하관제
15/06/01 18:47
수정 아이콘
예전에 신종플루 사건이 생각나네요. 그때도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았다가 확 퍼져버리고 사망자까지 나왔죠.
이번 메르스는 확실히 치사율이 높은게 사망자가 신종플루때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등장한 셈이 됐네요.
제발 더 이상의 확산은 없길 바라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iphone5S
15/06/01 18:51
수정 아이콘
슬슬 무섭네요.이런느낌은처음인데
소신있는팔랑귀
15/06/01 18:55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명복을 빕니다.
TheNeverEnders
15/06/01 18:59
수정 아이콘
보건당국이 확률만 주구장창 이야기하다가 사태가 심각해지네요.
전염률 낮다, 자가격리를 했기 때문에 확산가능성 낮다, 우리나라 의료기술이면 사망률 낮다..
이런 문제는 확률이 아니라 최악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대처하는게 맞지 않나요?
야율아보기
15/06/01 19:04
수정 아이콘
이쯤 되면 평택에 사시는 분들은 진짜 무섭겠어요.
15/06/01 19:07
수정 아이콘
제가 평택 옆에 안성 사는데 이거 진짜 출근해야되는지;;;;;;
카롱카롱
15/06/01 19:07
수정 아이콘
요새 질병은 DNA이용한 검사 해보면 금방 알지 않나요?...
어리버리
15/06/01 19:07
수정 아이콘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3346082
격리조치라는 것도 엉망이었군요. 메르스 확진 환자와 접촉한 의료진이 격리 조치 되었는데 그 격리조치 된 의료진이 오늘까지도 중환자실에 남아있는 환자를 치료했다는 기사입니다. 병원 말로는 중환자들을 옮길 병원이 구해지지 않아서 어쩔 수 없이 치료를 했다고 하고, 보건 당국도 환자 옮기는 것에 도움을 주지 않아 어쩔 수 없었다고 얘기하네요. 진짜 보건당국 이 놈들은 그 동안 뭘 한건지 의문이네요. 구멍이 숭숭 뚤리고 있습니다.
엔하위키
15/06/01 19:09
수정 아이콘
마스크 사러 갔는데 약사님이 면역력을 키워야한다고 조언해주셨네요.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신경써야겠어요.
15/06/01 19:10
수정 아이콘
약사분 집에 마스크 쟁겨놨답니다. 이 글 내려주세요. ㅠㅠ
엔하위키
15/06/01 19:11
수정 아이콘
크크 다행히 마스크는 판매하셨습니다?
그렇구만
15/06/01 19:16
수정 아이콘
근데 마스크를 쓰는게 효과가 있나요? 바이러스가 마스크는 뚫지 못하나.. 뚫지 못하더라도 1회용으로만 사용해야겠죠?
엔하위키
15/06/01 19:29
수정 아이콘
저도 과학적 근거보다는 불안심리로 착용한거라서... 효과는 모르겠네요. 이건 피지알의 관련분야 전문가분들에게 물어보는걸로 ㅠㅠ
자바초코칩
15/06/01 19:30
수정 아이콘
네. 맞는 말씀입니다.
걸렸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은 본인의 면역체계 밖에 없으니까요.
15/06/01 19:38
수정 아이콘
마스크를 쓰면 사람들이 찜찜해서 가까이 안옵니다.

따라서 의심자나 감염자도 가까이 다가오지 않습니다.

PROFIT!
어리버리
15/06/01 19:10
수정 아이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3510208
[특히 6번째 감염자(71)의 경우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감염 관련 장례절차 준비 실시"하고 서울시와 협조하고 있다는 내용도 적혀있다.]
어제 위독하다고 기사 나왔던 에크모 달고 있는 71세 감염자는 상태가 예후가 많이 안 좋으신거 같네요. 일단 준비는 하고 있어야 하니 당연한거긴 하지만요.
JazzPianist
15/06/01 19:10
수정 아이콘
답없는 정부..
Rorschach
15/06/01 19:11
수정 아이콘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7924039&cloc=olink|article|default

그냥 총체적 난국입니다. 기사의 병원이 해야 할 일을 안했을 수도 있고, 제대로 지침이 내려가지 않았을 수도 있는데 어찌되었는 그냥 총체적 난국이예요.
만약에 메르스의 감염가능시간이 생각보다 짧다면 3차 감염자들의 증상이 나오기 시작할 시점에 진짜 헬게이트가 열릴겁니다.
어리버리
15/06/01 19:15
수정 아이콘
이 환자가 어제 위독하다고 얘기 되었던 35세 남성입니다. 어제 기사에서 폐렴과 패혈증 집중 치료 받고 있다는 얘기가 나왔죠. 기사 읽어보니 초기 단계에서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한거 같네요. 격리도 안 되서 바이러스는 바이러스대로 주위에 다 뿌렸고요.
Rorschach
15/06/01 19:17
수정 아이콘
네. 저기 기사에도 보면 서울 도착해서 병원까지 간 것도 아니고 도착해서 악화되면서 119와서 데려갔다고 하죠.
이 정도면 버스에 같이 탔던 사람들도 얼른 알아내서 조취 취해야할텐데 그런게 제대로 됐을 것 같지도 않고...
어리버리
15/06/01 19:12
수정 아이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56&aid=0010176967
다행히 평택의 메르스 의심 초등학생은 검사결과가 음성으로 나왔다고 하네요. 그나마 다행이네요.
15/06/01 19:17
수정 아이콘
모레 대학치과병원을 가는데 날짜를 미뤄야할까요? 진지하게 고민되네요
수지느
15/06/01 19:26
수정 아이콘
미뤄서 큰 불편없는 일이라면 미루시는게 좋을것같아요

감염 이런것보다도 고민되는일인데 괜히 갔다오면 찝찝하고 불안하고해서 기분잡친채로 한두주를 보낼수있으니..

갔다오면 찝찝한 기분이 들 확률이 거의 확실시 된다면 미루시는것이 현명하지 않을까요 크크
엔하위키
15/06/01 19:30
수정 아이콘
심각하게 고통스러운게 아니라면... 미루는거 추천드립니다
마나통이밴댕이
15/06/01 19:34
수정 아이콘
확률은 낮지만 죽을 정도의 가능성이 있는 위험은 왠만하면 피하시는 게....
우와왕
15/06/01 20:04
수정 아이콘
괴담 유포하셨네요 수사 들어가신다네요
어리버리
15/06/01 20:11
수정 아이콘
수사 무서워서 기사에 나온 단어만 사용했답니다. 에휴. 그런거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짜증나긴 합니다.
세이밥누님
15/06/01 20:06
수정 아이콘
평택?! 7월에 평택해군예비군훈련장? 으로 동원가는데...
호호템플러
15/06/01 20:1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많이 퍼졌으니 사망자가 나오는 건 어찌보면 필연적인 비극이겠습니다만, 메르스 증상과 유사한 증상으로 입원한 환자가 사망할때까지도 메르스인지아닌지 제대로 검사조차 못받았다는 건 정말이지 어이가 없을 정도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682 [일반] 결국 메르스 3차 감염자가 발생했네요 [262] 수지느27288 15/06/02 27288 4
58664 [일반] 현재 확인된 메르스 발병국가 및 해외에서 보는 시각 [11] 다빈치8924 15/06/01 8924 0
58663 [일반] 메르스로 인한 사망환자가 나왔을 지도 모른답니다. [41] 어리버리10829 15/06/01 10829 0
58655 [일반] 질병관리본부, 최초감염자 메르스 검사 요청 2번 거절 [103] 두캉카12189 15/06/01 12189 2
58651 [일반] 평택 사시는 분들 메르스 조심해야겠습니다.. [18] 시드마이어7830 15/06/01 7830 1
58639 [일반] 메르스 환자 2명 위독·3명은 불안정 치료에 총력 [50] Vibe8177 15/05/31 8177 1
58614 [일반] 한때 사스 예방 모범국이었던 대한민국.. [13] 치킨과맥너겟8028 15/05/30 8028 0
58611 [일반] [펌] 메르스 사태 향후 대처 예상 [26] 삭제됨84205 15/05/30 84205 18
58601 [일반] 메르스 대책위에 한의사가 참여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152] 삭제됨12486 15/05/30 12486 2
58561 [일반] 메르스 감염 확진환자 총 9명으로 늘었습니다. [80] 동지9567 15/05/29 9567 1
58556 [일반] 메르스 의심환자 중국 출장 - 우리는 저항할 수 있는가 - [41] SG18597106 15/05/29 7106 10
58448 [일반] 중동호흡기증후군 현재 상황과 전망 [30] 여왕의심복8638 15/05/26 8638 28
58444 [일반] 네 번째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12] TheNeverEnders6448 15/05/26 644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