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4 01:17:50
Name 가스불을깜빡했다
Subject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이제까지 [매치 무패]를 이어오던 오버워치 월드컵 대표팀이 4강에서 미국에게 3:1 패배

올해 담원과 그리핀을 압도적으로 찍어눌렀던 LCK 최상의 전력 SKT도 G2에게 3:1 패배

그나마 스타크래프트2에서 박령우가 우승하기는 했는데 이것도 세랄이 미친 포스로 날뛰다가

4강전에서 레이너에게 저저전에서 고꾸라지고 그 세랄을 고꾸라트린 레이너를 저저전에서 박령우가 깔끔하게 이긴 케이스

근데 스2는 국내 신인 선수가 없다시피 해서....

도타2, 레식, CS:GO 같이 외국에서만 즐기는 게임을 제외하면 항상 압도적인 전력을 뽐내던 한국은 이제 아쉽지만 역사의 저편으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정재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배그월드컵도 2위..
아웃프런트
19/11/04 01:19
수정 아이콘
문..호준..있어요.. 아직 현역이에요..
가스불을깜빡했다
19/11/04 01:20
수정 아이콘
카트는 스1처럼 타국과 겨루기에는 좀 그렇지 않나요 흐흐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4 01:21
수정 아이콘
롤뿐만 아니고 다른 종목에서도 우리 한국 성적이 안좋았군요.
2019년은 이스포츠 팬들에게는 아픔의 해가 되겠네요...
신예은팬
19/11/04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게댓글에도 썼지만 한국이 게임잘한다는거에 예전부터

그다지 공감안가는 입장이었는데 그낭 잘하는 사람이

잘하는거지 그리고 막상 살펴보면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죠
19/11/04 01:30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많이 하는 흔히말해 인싸게임,주류게임에서 한국이 최강이 아니였던적 꼽기가 힘들겁니다. 근데 그게 달라지고 있으니까요.

성적 못내는 게임 살펴보면 한국인이 안하거나 주류가 아니죠.
신예은팬
19/11/04 01:33
수정 아이콘
근데 스타1도 우리나라만 계속 즐긴거죠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스타도 다른 나라도

계속 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모른다봅니다
19/11/04 01:39
수정 아이콘
굳이 스타1 얘기 하지도 않았지만 그렇게 역사의 만약에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면 한국인이 메이저 이스포츠에서 잘 안하는 카스나 도타같은 게임도 한국 국민게임이였다면 저는 짱먹었으리라 봅니다.

이걸 증명한게 오버워치구요.
클로로루실후르
19/11/04 08:4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성적 못 내는 게임이 더 많으면,
다른 나라는 성적 못 내는 게임이 훨씬 더 많죠.
공감의 영역을 떠나 객관적인 데이터가 압도적이었는데요.
19/11/04 01:29
수정 아이콘
철권도 한국이 주도하는 게임중 하나였는데 파키스탄으로 완벽히 넘어갔고...
다시마두장
19/11/04 03:00
수정 아이콘
크크 맞네요 사실 충격으로만 치면 이게 가장 컸던 것 같습니다.
19/11/04 01:35
수정 아이콘
하스스톤도... 원래 디펜딩챔피언까지는 아닌데 [올해도] 국제전에서 잘 안 풀려서 아쉽습니다.
곰성병기
19/11/04 01:43
수정 아이콘
올해 스2는 세랄이 작년만큼 포스는 아니었습니다
서킷 gsl선수가 동시에 나온 대회에서 세랄은 타이틀하나도 못땄죠
다시마두장
19/11/04 03:02
수정 아이콘
리프트 라이벌즈에서 중국 상대로 이겼던 그 순간이 올해 중 가장 즐거웠던 순간이 돼버렸네요. ㅠ
19/11/04 08:12
수정 아이콘
옵드컵은 조별 예선에서 프랑스에도 졌습니다. 5판 3선도 아니었고 3, 4위전에서 복수했지만 전원 리거가 아닌 팀한테 진건 충격적이었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9/11/04 08:2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이걸 보면 게임 못 하는 나라 아닌가 하는 생각이...우리나라만큼 가둬놓고 연습하는 곳도 없는데 말이죠. 어쨌든 대체적으로 인프라만큼 결과가 나온다고 생각해서 해외의 이스포츠 투자가 적극적인 것이 이런 상황을 불러왔다고 보네요. 우리나라는 하는 쪽만 하고 뭔가 좀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느낌은 덜 드는 것 같습니다. T1처럼 선수들에게 연봉을 많이 주는 그런 것만 갖고 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풍경화
19/11/04 11:09
수정 아이콘
투자한만큼 결국엔 따라오는게 맞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8628 [LOL] 마침내 우승을 목격하다 [15] 풍경10584 23/11/19 10584 31
78139 [LOL] 금2/동1, 메달 3개로 앞서가는 대한민국 E스포츠 대표팀! [68] 스위치 메이커12241 23/09/29 12241 0
78113 [LOL] [항저우AG] "인터넷 중독 우려에 e스포츠 중계 일부 중단" [37] Leeka12158 23/09/26 12158 0
78086 [LOL] TSM, LCS슬롯 Shopify Rebellion에게 판매 [11] 솔루9394 23/09/21 9394 0
77216 [LOL] 리그 오브 레전드 vs 도타2 e스포츠 [15] 만찐두빵8800 23/05/19 8800 1
77077 [LOL] 올해 롤드컵에 '버추얼 패스' 도입 예정 [40] slo starer12631 23/04/21 12631 2
76996 [LOL] 하늘을 꿰뚫은 죽창 [30] roqur10994 23/04/09 10994 10
75847 [LOL] LPL 이적시장 찌라시 정리 [21] 이거쓰려고가입17687 22/11/01 17687 2
73105 [LOL] MVP 3강타, 옛날 이야기 [33] Hell10532 21/11/24 10532 36
72980 [LOL] 전 농심,Rich선수의 오늘 방송 전문입니다( FM코리아요약) [53] Lord Be Goja16081 21/11/18 16081 12
72963 [LOL] LGD와 RNG가 팀을 매각하고 롤에서 손을 떼려 하고 있다 [18] 이호철15716 21/11/18 15716 1
72725 [LOL] 오늘 나온 이적시장 루머 [150] 라면20297 21/10/26 20297 0
72723 [LOL] 시시해서 죽고 싶어졌다.. 8강 후기, 그리고 더블엘리미네이션? [100] Peggg11311 21/10/26 11311 4
71187 [LOL] 첫 플레티넘 승급에 성공했습니다. [8] 라라 안티포바10122 21/04/03 10122 10
70107 [LOL] 시즌 11에는. [16] 좋은11404 20/11/16 11404 0
69988 [LOL] T1의 행보는 이질적이지 않나요? [37] 좋은12410 20/11/09 12410 3
69985 [LOL] 파도 파도 괴담인 T1 사태에 대해 거의 결정타급 골이 터졌습니다. [124] Initium19183 20/11/09 19183 1
69346 [LOL] 프리시즌 아이템 개편 예고 [30] 모쿠카카10391 20/09/10 10391 0
67506 [LOL] 난 이제 어떻게 되건 난 관심없다. [105] 한글날기념19292 19/12/11 19292 102
67092 [LOL] [공식]라이엇이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가능성을 일축했네요. [164] 랜슬롯11172 19/11/13 11172 0
67069 [LOL] 요새,,,내,,,동년배들,,,이정도는,,다한다,,, (심심해서 만들어본 게임플레이 영상) [9] 랜슬롯9324 19/11/12 9324 2
67051 [LOL] 롤드컵의 끝, LCK는 과연 [51] 루데온배틀마스터11181 19/11/11 11181 6
66955 [LOL] 올해 한국의 국제대회는 대체적으로 결과가 안 좋았네요 [17] 가스불을깜빡했다5808 19/11/04 580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