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6/21 03:03:19
Name kenzi
File #2 KEN_2246.jpg (271.7 KB), Download : 29
Subject [기타] 中 항저우 e스포츠 이야기


1, 인천공항서 출발하면 2시간 10분이 걸리는 중국 항저우는 상하이 근처에 있습니다. 많은 분이 이야기하기에 항저우는 호수인 서호(西湖)가 유명하니 꼭 보고 오라고 하더군요. 다른 분은 '사랑의 도시'라서 연인이 많이 온다는데 그건... 넘기도록 하겠습니다.

2, 회사 업무 차원에서 갔지만,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 항저우가 왜 이리 e스포츠에 관심을 두는지 여부였습니다. 여하튼 간에 출장 일정 중에 항저우시에서 발표한 e스포츠 타운 행사가 열려서 가보게 됐습니다.

3, 제가 중국 쪽과 교류를 하고 있지만, 나름대로 철칙을 갖고 있는데 a) '뻥카'라고 생각하면 관두고 b) 일을 진행할 때도 신중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저의 회사 중국 쪽 파트너사에도 이런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했습니다.

4, 행사는 e스포츠 타운 설명과 함께 중국 내 e스포츠 분석, 패널들이 이야기하는 중국 e스포츠로 이뤄졌습니다. 눈길을 끄는 건 진행자가 중국 도타2 최고의 호스트로 평가받는 'BBC' 촹홍쳉이라는 것이었습니다. 'BBC'를 설명하자면 도타2 TI 중국 방송팀에서 호스트를 맡고 있으며 중국어 선수 인터뷰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

내용은 화려했습니다. 항저우 시는 2022년 아시안 게임 전까지 e스포츠에 1,6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아시안 게임서는 모든 대회를 e스포츠 타운에서 치를 계획이라고 합니다. e스포츠 타운을 건설 중인 기업은 펀드로 2,500억 원을 모았다고 했습니다.  어제 기사가 나온 텐센트의 'e스포츠 테마파크'와는 다르게 쇼핑몰 등 젊은이들이 모이는 시설과 함께 e스포츠 공간을 건설하는 것 같습니다.

5, 솔직히 이야기를 들으니 무서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진짜 실천된다면 중국 e스포츠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그 쪽 관계자한테 '진짜 실천 가능한 일이냐'라고 물으니 '물론'이라고 하더군요. 행사에는 월드 사이버 아레나(WCA)를 주최하는 인촨시 관계자도 참석했습니다.

6, 다만 중요한 건 이 프로젝트는 항저우 시에 국한된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기사에 쓰지 않았는데요. e스포츠에 대한 투자는 윗선에서 나온 이야기이며 인촨시 등 중국 지방 정부에서 각자 e스포츠 타운을 건설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오늘 만난 관계자는 베이징 근처에도 e스포츠 파크를 건설될 예정이라고 하는군요.

7, 항저우시 관계자는 저한테 중국 정부가 e스포츠에 관심을 두는 이유에 대해 '젊은이들이 열광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중국 정부도 e스포츠에 젊은이들이 좋아하며 사업적으로 일을 진행하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합니다. 더불어 중국서도 게임을 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젊은 이들이 좋아하는 e스포츠는 경제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다고 합니다.

8. 다만 중국이라는 나라의 특성상. 일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선 장기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변수도 많고 앞으로 어떻게 일을 진행할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성냥에 불을 붙였는데 빠르게 '훅~'하고 꺼질 수 있는 것처럼 변화가 심할 것 같습니다.

9, 기사는 많이 썼는데 백그라운드. 뒷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가려고 적었는데 도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항상 감사드립니다(_ _);

10, 항저우시가 e스포츠에 관심을 두는 건 알리바바 오너인 마윈이 항저우 출신이고 회사도 거기에 있다고 합니다. 삼성전자 등 주요 IT 기업이 항저우에 있다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6/21 08:07
수정 아이콘
중국은 참 대단하네요.
저 정도면 WCA급 대회를 각 도시마다 개최할 수준인 거 같은데 저대로만 진행되면 정말 압도적인 자본력으로 이스포츠 시장의 주도권을 잡아버릴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제대로 된 중국산 게임이 나와서 그걸 기반으로 한 리그가 구축되면 여러모로 흥미로워질 거 같네요.
늘 좋은 기사 잘 보고 있습니다.
도도갓
17/06/21 09: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나른한오후
17/06/21 11:50
수정 아이콘
게임을 마약취급하던 나라와는 다르게 부럽군요..
그런데 왜 우리나라는 투자하는거에 비해 잘하는 게이머가 많이 나오는지 궁금한..
네~ 다음
17/06/21 12:20
수정 아이콘
PC방 유스시스템 덕분..
시노부
17/06/22 00:36
수정 아이콘
그거 말고 할게 없어요. 게임 최전성기 연령대인 10~30대 요즘은 40,50대에 이르기까지..
돈 적게 들고, 제일 몸 편하고, 그러면서도 몰입도 있는 취미생활이 게임인지라..
17/06/23 07:50
수정 아이콘
중국도 미세먼지가 심해서 방안이 제일 안전할것 같습니다. 중국이 진짜 공기가 헬입니다. 중국한테 e스포츠가 딱 인것 같아요.
광개토태왕
17/06/21 13:05
수정 아이콘
역시 중국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254 [LOL] 농구와 가장 가까운 E스포츠 LOL [29] 기사조련가7764 17/10/20 7764 1
62129 [LOL] TPC X 후추통신 2017 롤드컵 고찰 1부 [9] 후추통9002 17/10/02 9002 4
61978 [도타2] 전 MVP Phoenix 선수들, "Team Phoenix"로 재결합? [7] Finding Joe6528 17/09/08 6528 3
61919 [기타] 배틀그라운드가 오버워치를 넘어섰네요.(pc방) [68] 티르10183 17/08/30 10183 1
61784 [도타2] The International 2017이 끝났습니다. [22] Finding Joe7728 17/08/13 7728 3
61761 [기타] 밸브가 새로운 카드게임을 발표 했습니다. [63] 벨라도타11095 17/08/09 11095 0
61718 [도타2] TI7이 오늘부터 시작합니다. [27] 벨라도타5946 17/08/02 5946 0
61669 [기타] MVP CS:GO 팀에서는 훨씬 더 심각한 일이 벌어졌었네요 [23] 파인트리8948 17/07/21 8948 4
61660 [도타2] MVP HOT6ix 출신 Shuma 선수의 한국 도타씬 실태 이야기 [19] VKRKO9153 17/07/20 9153 5
61588 [기타] 왕자영요 리그 KPL 이야기 [8] kenzi5770 17/07/10 5770 2
61568 [도타2] 마지막 한국인 팀 MVP 핫식스 해체 [64] Finding Joe10492 17/07/07 10492 2
61481 [기타] 中 항저우 e스포츠 이야기 [7] kenzi7682 17/06/21 7682 2
61471 [도타2] 인터7의 초청팀이 발표 되었습니다. [8] 벨라도타5962 17/06/19 5962 2
61383 [히어로즈] 제가 장르를 착각하고 있었네요 [116] 정신차려블쟈야10273 17/05/31 10273 4
61163 [기타] 아시안게임에 대한 이야기 [17] 성수6988 17/04/18 6988 1
60973 [스타1] 스타1 리마스터 이야기. [70] 앙큼 상큼 응큼23859 17/03/25 23859 10
60971 [기타] 블리자드를 향한 쓴소리 [83] 짱세16188 17/03/24 16188 7
60954 [LOL] 서포터로 바론스틸에 쿼드라킬까지! MVP VS KT 전 후기 [24] Leeka9064 17/03/22 9064 2
60919 [도타2] 흔한 도타의 풍경(데이터주의) [63] 루윈13359 17/03/12 13359 2
60917 [히어로즈] 왜 롤과 다르면 망겜입니까? [170] 집에서나오지맙시다16089 17/03/12 16089 46
60864 [LOL] 롤챔스 1라운드 3~10위가 결정되었습니다 [86] Leeka11936 17/03/01 11936 1
60475 [기타] 모바일 게임 베인글로리 간단 리뷰 [8] 행복한인생6738 16/12/11 6738 0
60244 [스타2] 프로리그가 망한 이유는 간단한거라고 생각합니다. [13] 엘더스크롤8570 16/10/31 857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