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9/01 23:13:02
Name 저퀴
Subject [스타2] MVP의 리빌딩이 끝난 듯합니다.

감독부터 선수까지 다 바뀌면서, 리빌딩인지, 재창단인지 모를 MVP의 로스터가 이형섭 감독에 의해서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프로리그에서 그나마 돌풍을 일으켜봤던 신규 팀은 MVP가 유일했었죠. 하지만 선수들이 프로리그 참가에 부담을 느끼고 팀을 나왔습니다. 또한 원래 감독이셨던 임현석 감독은 TI 무대에도 도전해봤던 MVP 도타2 팀을 전담하시게 되었고요.

리빌딩된 MVP의 양적인 부분은 그럭저럭 괜찮습니다. 용병 선수들까지 합류되면서 제법 그럴 듯해보이기도 하고요. 로스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MVP
감독 : 이형섭

저그황강호 강동현 현성민
테란이정훈 최재성 김기용
플토최용화 안상원 송현덕 
* 안상원, 송현덕 선수는 용병입니다.


최근 프로리그 참가 팀들의 로스터가 대부분 8~10명 정도에서 머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고 진에어만 해도 사실상 7명 정도로 운용했던 상황도 많았던 것을 고려하면 수가 부족하진 않다고 봅니다. 여기에 CJ에서 나온 고병재 선수도 용병으로 합류를 고려 중이라고 하니, 좀 더 늘어날 수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고 성적을 기대해볼 수 있을까에 대해선 아직 회의적이네요. 팀 내 주전이라 할만한 선수 중에서 최근 개인 대회 무대에서 크게 활약해온 선수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죠. 그나마 가장 성적이 좋은 선수가 송현덕 선수 밖에 없으니까요. 객관적인 성적만을 놓고 보면 차기 시즌에서 활약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겁니다.

이제 차기 시즌 프로리그 팀 중에서 Prime과 IM을 대체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 팀 하나의 발표가 절실한 상황이네요. 특히 Prime은 후원사도 찾은 마당에, 지금 팀에 남은 선수가 얼마 없습니다. 그리고 빈 자리를 스타테일이든 어느 팀이든 간에 빨리 채워야겠죠.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한 고병재 선수도 그렇고, 얼마 전에는 방태수 선수, 그리고 최근에는 고인빈 선수까지 몇몇 선수들이 팀을 이탈하고 있죠. 아무래도 해외 무대가 선수들에게 더 매력적일 수 있고, 프로리그 일정 소화가 결코 쉬운 일도 아니죠. 거기다가 국내 무대는 세계에서 제일 치열하고요. 그렇다면 그만큼의 대우가 필요하겠지만, 모든 선수에게 만족스러운 대우가 돌아가진 않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내 시장은 협회가 주도하는 프로리그 중심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고, 해외처럼 수많은 대회가 계속 열릴 수 있는 환경도 아니라고 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 않나 싶네요. 오히려 해외에 나간다고 해서, 더 많은 기회나 실적이 돌아온다는 보장도 없는 법이죠. 해외 팀을 찾는 선수들은 많지만, 그 선수들을 찾는 해외 팀이 많은 것도 아니고요. 그냥 선수들 모두 다 많은 기회를 얻었으면 좋겠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9/01 23:22
수정 아이콘
협회에서 프로리그 성적으로 해외대회를 보내주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협회 소속 선수들은 프로리그에 집중할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지요. 협회 팀이든 해외팀이든 장 단점이 있기하지만 현 WCS방식에서는 해외대회를 많이 참가할수록 유리한 것이 사실이니까요.
카페르나
14/09/02 01:29
수정 아이콘
그래도 리빌딩 끝낸 MVP를 보니까 선수들이 기량을 끌어올린다면 어느정도 성적 내볼 수 있을만한 팀 같습니다. 과거 경력이 긴 선수들이라 다시 한 번 부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네요.
사실상 IM은 해체라고 봐야 하는 시점에서, 그를 대체할 팀이 걱정되긴 하네요.. 스타테일 역시 선수가 적은 상황이라..
더욱이 프라임은 이제 스폰 계약하고 선수들 월급도 줄 수 있게 됐다고 했는데, 선수가 없어서 큰일이네요;;;
비참한하늘이빛나
14/09/02 10:57
수정 아이콘
서성민도 MVP 나왔었나보네요.

LOL 등 다른 쪽은 어떤가 모르지만, 이렇게 기존 선수들이 하나도 안남고 모두 물갈이된 리빌딩은 처음 봅니다.
사신군
14/09/02 14:06
수정 아이콘
실력을 올리는데는 출전기회가보장되면 프로리그만한 무대가 없다고 보는데 장기적으로 꾸준히 경기력을 올리기도 좋고..
예전만큼 해외판이 크지않는데 지금 해외팀생각하는 무소속선수들이 예전처럼 그런 영광을 가지기 힘들지않을까..싶네요
아무래도 돈문제가 없지않겠다 싶네요..
자기실력에 자신있다면 해외리그에서 꾸준히 나오는게 아무래도 프로리그보다야 좀더 좋긴할껀데 프로리그를 운영방식도 새로 고민해봐야하는게 아닌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074 [히어로즈]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과 LOL의 비교 [56] 배두나11173 14/09/08 11173 0
55034 [스타2] MVP의 리빌딩이 끝난 듯합니다. [4] 저퀴5288 14/09/01 5288 1
54998 [기타] 겜방송 - [베스트 플레이] 소개 [9] Lainworks6233 14/08/28 6233 0
54982 [기타] 생각보단 재미있는 코어 마스터즈 리뷰 [20] Merry6298 14/08/24 6298 0
54937 [LOL] LJ리그가 도쿄게임쇼에 갑니다. [14] 라덱11537 14/08/18 11537 0
54908 [도타2] MVP피닉스의 강함의 주는 우려 [27] 사신군8002 14/08/15 8002 0
54906 [기타] 코어마스터즈 테스트 리뷰 [14] 저퀴5070 14/08/15 5070 0
54899 [기타] 기대되는 온라인 게임들 [45] 주환10325 14/08/13 10325 2
54803 [스타2] 스타2 루머와 이적 정리 [51] 사신군9180 14/08/01 9180 2
54717 [도타2] 5시간 후면 e-Sports 최고 상금의 주인공을 가리는 매치가 시작되네요. [9] 츄지핱7949 14/07/21 7949 0
54707 [히어로즈] 알파 패치 예고 - 레벨 시스템 및 보상에 대한 변동사항 [39] Aku8138 14/07/20 8138 0
54670 [도타2] 인터네셔널 2014, 총 상금 111억 돌파! [61] Leeka9263 14/07/16 9263 1
54649 [도타2] THE INTERNATIONAL 2014, PHASE 2 가 종료 되었습니다. [19] 1번7184 14/07/13 7184 1
54619 [도타2] 도타의 롤드컵, TI4. 1일차 통계 [18] Leeka6162 14/07/10 6162 0
54610 [디아3] 디아블로3, 스타2, e스포츠 이야기 함께해요 [22] 채정원10643 14/07/09 10643 4
54607 [도타2] 감상문 - 잘했어! 잘했다! MVP 피닉스 [49] 사신군9939 14/07/09 9939 0
54601 [스타2] WCS, 프로리그, 확장팩에 대해서 [19] 저퀴6228 14/07/08 6228 0
54597 [도타2] The International 2014 와일드 카드전을 앞둔 간단한 Mvp Phoenix 소개글 [31] Euphoria9825 14/07/07 9825 3
54570 [도타2] 도타2 리그 시청관련 이야기 (2) 라인별 특징만 이해해도 팀의 전략이해 할수 있다?! [2] 세이젤5891 14/07/05 5891 1
54569 [도타2] 도타2 리그 시청관련 이야기 (1) 밴픽만 봐도 양상을 알수 있다?! [2] 세이젤5791 14/07/05 5791 0
54504 [도타2] 초보자를 위한 기본 테크닉 2탄. 더블풀링, 카운터풀링 가이드 [3] 하카세7606 14/06/28 7606 2
54499 [LOL] 펌 - 롤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 [47] 주환9387 14/06/28 9387 11
54479 [도타2] 초보자를 위한 기본 테크닉 1탄. 풀링, 스택 가이드 [15] 하카세11261 14/06/26 11261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